진도(홍주) 진도(홍주) 진도홍주(珍島紅酒) / 지방무형문화재 제26호 전국적으로 이름이 잘 알려져 있는지는 의문이지만, 진도 홍주는 그동안 민속주로서 꾸준히 그 명맥을 유지해 오며 많은 애주가들로부터 사랑받고 있다고 합니다. 이번 진도 여행에서 처음 홍주를 맛보았습니다. 그 맛이 부드럽고 품격이 있어 .. 답사와 여행(국내)/전라남도 2007.05.28
진도(금골산) 진도(금골산) 금골산(金骨山) 금골산(金骨山) 운림산방을 거쳐 해남 우항리 공룡화석지로 이동하는 차창 밖으로 보이는 금골산입니다. 답사를 위한 시간적인 여유가 없어 자세히 볼 수는 없었지만 육안으로 본 금골산만으로는 허전하여 자료를 찾아 관련 문화재를 감상하여 보도록 하겠습니다. 금골.. 답사와 여행(국내)/전라남도 2007.05.18
해남 우항리(공룡화석지) 해남 우항리(공룡화석지) 우항리 공룡화석지(恐龍化石地) 해남 황산면 우항리 해안가에 9천만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새발자국, 나무줄기화석, 공룡발자국 등이 남아있습니다. 특히 놀라운 것은 우항리의 물갈퀴새 발자국 화석은 세계 최초로 알려진 미국 에오새 지방의 신생대 지층보다 무려 4천만.. 답사와 여행(국내)/전라남도 2007.05.17
진도(운림산방) 진도(운림산방) 운림산방(雲林山房) / 지방기념물 제51호 서화 예술이 발달한 진도에서도 대표적인 서화예술가로 꼽히는 분은 조선 후기 남화의 대가로 불리는 소치(小痴) 허련(許鍊)선생(1808~1893)입니다. 소치는 스승인 추사 김정희가 붙여준 호이며, 커서는 당나라 남송화와 수묵산수화의 효시인 왕유.. 답사와 여행(국내)/전라남도 2007.05.17
진도(소포리) 진도(소포리) 소포리(素浦里) 진정한 진도의 가치는 소리, 장단, 춤 등 우리의 고유 가락이 잘 어우러져 그것이 진도인들의 일상적인 삶속에 녹아있다는데 있다고 이야기 합니다. 밭에서 김메는 아주머니, 어물전에서 생선파는 할머니까지 소리를 청하면 즉석에서 구성진 남도 민요를 들을 수 있는 유.. 답사와 여행(국내)/전라남도 2007.05.16
진도(세방낙조) 진도(세방낙조) 세방낙조(細方落照) 진도군 지산면 세방리에 위치하며, 한반도 최남단 '제일의 낙조 전망지'로 이름난 곳으로 해질 무렵 섬과 섬 사이로 보이는 일몰의 장관은 일품이라는데, 멋진 낙조를 감상하려면 운이 따르는가 봅니다. 마치 아무에게나 보여주지 않는다는 듯 아쉽게도 해질 무렵 .. 답사와 여행(국내)/전라남도 2007.05.16
진도(동석산) 진도(동석산) 동석산(銅錫山) 동석산은 진도군 지산면 심동리에 위치한 거대한 바위산으로 253m의 산에 불과하지만 바위의 능선이 설악산 공룡능선을 닮은 듯 아름다웠습니다. 서남쪽의 조도에서 바라보면 어머니가 아이를 안고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하며 방향에 따라서는 연꽃이 피어있는 모습, 울.. 답사와 여행(국내)/전라남도 2007.05.16
진도(남도석성) 진도(남도석성) 남도석성(南桃石城) / 사적 제127호 남도석성은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남동리에 있으며 백제 시대 매구리현의 중심지였던 곳으로 여겨지는데, 고려 원종때 배중손 장군이 삼별초군을 이끌고 진도로 남하하여 이곳에 성을 다시 쌓아 대몽항쟁의 근거지로 삼고 최후까지 격전을 벌인 .. 답사와 여행(국내)/전라남도 2007.05.16
진도(남진미술관) 진도(남진미술관) 남진미술관(南辰美術館) 진도읍에서 서남쪽에 위치한 남진 미술관은 서예가 장전(長田) 하남호(河南鎬)선생이 사비를 들여 1989년 11월 29일 800여평의 대지 위에 100평의 본가, 연원관, 양서제, 그리고 150평에 지상 3층으로 세운 미술관입니다. 이곳에는 장전 선생이 소장해오던 작품들.. 답사와 여행(국내)/전라남도 2007.05.04
진도(용장산성) 진도(용장산성) 용장산성(龍藏山城)/사적 제126호 용장산성은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용장리에 위치하며, 고려의 삼별초가 몽고의 침략에 대항하여 나라를 지키고자 고려 원종11년(1270) 8월부터 9개월 동안 항몽의 근거지로 삼았던 곳입니다. 1225년 고려에 왔던 몽고 사신이 귀환하다 피살되자 몽고는 .. 답사와 여행(국내)/전라남도 2007.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