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와 여행(국내)/서울특별시

서울(원통사)

케인스 2008. 2. 2. 19:24

 

                        서울(원통사) 

 

 

서울 도봉구 / 원통사(圓通寺)

 

 

                                                         원통사(圓通寺)

 

원통사(圓通寺)는 서울시 도봉구 도봉산에 자리한 대한불교 조계종 조계사의 직할사찰로서 관음보전, 약사전, 삼성각, 정혜료, 종각 그리고 자연동굴의 나한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라시대 경문왕3년(863)에 도선국사가 이곳 도봉산에 절을 창건하여 원통사라 하였으며, 고려 문종7년(1053)에 관월(觀月) 운개(雲開)스님이 중창하였고, 조선 태조원년(1392)에 천은 득일스님이 삼창하였다. 그후 조선영조때 유물스님이 중수하고 절 이름을 보은사(報恩寺)라 바꾸었다. 또한 조선 순조10년(1810)에 청화스님이, 고종24년(1887)에 응허 한규스님이 중창하였다. 

 

순조 때 청화스님이 중창 후 나라에 큰 경사가 있자 '나라와 산천의 은혜를 갚았다'는 뜻으로 보은사(報恩寺)라 부르기도 하였다. 원통(圓通)이란 '절대의 진리는 모든 것에 두루 통한다'는 뜻으로 관음보살의 덕을 칭송하여 일컫는 말이다.

 

원통사는 예로부터 좌우에 수락산과 삼각산을 거느리고 한강을 바라보는 도봉산의 최고 길지에 자리잡은 수행기도처로 알려져 왔다. 조선초기의 무학대사를 비롯해서 근대에는 만공 · 동산 · 춘성스님 등 선지식이 이곳에 머물면서 큰 깨달음을 얻었으며, 많은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관음기도 도량으로도 유명하다. 또한 조선 영조 때 영의정을 지냈던 조현명, 서명균 등이 나라의 일을 이야기하며 심신을 닦았던 곳으로 당대 유학자들 사이에 명소로 이름 높았다.  <자료:전통사찰 및 도봉문화원>

 

 

                                   ~~~~~~~~~~~~~~~~~~~~~~~~~~~


 

 

                                                    원통사(圓通寺) 전경

 

원통사(圓通寺)는 남향하여 자리하고 있는데 등산로를 따라 경내에 들어서려면 좁은 입구 오른쪽으로 범종각(凡鐘閣)이 눈에 들어옵니다. 범종각을 지나 북쪽으로는 대웅전(大雄殿)이 있고, 서쪽으로 요사인 정혜료(定慧寮)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정혜료의 오른쪽 뒷편으로는 위로 올라가는 계단이 있고, 이 계단을 올라서 왼쪽으로 가면 굴 법당인 나한전(羅漢殿) 이 있으며, 오른쪽으로 올라가면 커다란 바위위에 약사전(藥師殿)이 있습니다. 이 바위에는 상공암(相公岩)이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고 약사전 뒤로는 사찰에서 가장 높은 곳에 삼성각(三聖閣)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원통사의 건물들은 모두 최근세에 지어진 것이지만, 고색이 깃든 석축과 석물들, 요사의 주초석, 그리고 수령 600여년의 느티나무등에서 원통사의 역사를 짐작하여 볼 수 있습니다.

  

           

                                                  암벽에 붙여놓은 알림판

 

원통사로 오르면 먼저 앞쪽으로 보이는 암벽 아래에 기와로 덮어놓은 샘물이 보입니다. 아마도 물이 말라버린 것 같습니다. 그 위로 알림 현수막이 있는데...   물이 많이 부족한 듯 합니다.

 

                                                   알림

 

본 사찰 지형이 암석위에 위치해 있어 물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참배객들께 많은 편안을 드리고 싶지만 사정상 소량의 식수만 제공하오니 많은 이해와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대한 불교 조계종 원통사 주지 합장

          

                      

                                                                샘물

 

샘물 입구가 메마른것 같아보여 아마도 샘물이 말라버린 듯 합니다.

 

  

                                                           원통사 입구

 

보통 사찰의 입구와는 다르게 좁고 아담한 산사(山寺)의 입구로 올라서려면 원통사를 소개하는 안내판과 원통사 현판이 달린 범종각(凡鐘閣) 옆을 통과해야 합니다.

 

                       

                                                   원통사(圓通寺) 현판

 

1982년 성해(性海) 스님이 원통사 현판을 쓰셨다고 합니다.

 

                                                         대웅전(大雄殿)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의 팔작지붕 건물로 1929년에 처음 건립된 이후 몇 차례 중수가 되었습니다. 정면에는 대웅전(大雄殿)  현판과 6점의 주련(柱聯)이 걸려있습니다. 안에는 석가모니불좌상과 관음보살좌상, 지장보살좌상의 삼존상이 봉안되어 있으며, 불화로는 근래에 조성한 아미타후불탱과 신중탱, 수월관음도 등이 봉안되어있습니다.

 

   

                                              

                                                      대웅전 주련(柱聯)

 
                                 見聞覺知無障碍      보고 듣는 데 걸림이 없으면  
                                 聲香味觸常三昧      세사에 부대껴도 그대로 삼매. 
                                 如鳥飛空只?飛        새들이 하늘을 날 때 그냥 날듯이 
                                 無取無捨無憎愛      취함도 버림도, 사랑도 미움도 말지니.
                                 若會應處本無心      경계에 부딪쳐도 무심하다면 
                                 始得名爲觀自在      그가 바로 관자재보살일진저.
 

 

전등록(傳燈錄) 권5에 전해오는 사공 본정(司空本淨·중국 당나라·667-762)의 게송입니다. <자료: 현대불교신문> 

 

          

                                            대웅전의 삼존상과 아미타후불탱

 

가운데 석가모니불좌상과 오른편에 관세음보살좌상, 왼편에 지장보살좌상의 삼존상이 봉안되어 있습니다.

 

                                   

                     신중탱 <자료사진:전통사찰>                 수월관음도 <자료사진:전통사찰> 

 

                      

                                                     대웅전(大雄殿) 현판 

 

          

                                                   대웅전(大雄殿)의 풍경

 

          

                                                   대웅전(大雄殿)의 추녀

 

                       

                                                  

                       

                                                    대웅전의 취두(鷲頭)

 

용마루 양쪽으로 용머리 모양의 장식이 올라가는데 이를 취두(鷲頭)라고 합니다. 타 건물과 달리 취두의 모양이 특이합니다.

 

                                                       정혜료(定慧寮)

 

종무소(宗務所)와 요사(寮舍)로 쓰이고 있는 정혜료(定慧寮)는 정면 6칸의 팔작지붕의 건물입니다. 대 사찰의 크고 잘 꾸민 요사에 비해서는 너무나 서민적이고 정감있는 요사채입니다. 그래서 더욱 좋습니다.

                                                    

                                                

                        요사(寮舍)의 주초석이 원통사의 역사를 대변해 주고 있습니다.  

 

                      

                                                           정혜료 현판

 

                      

                                                        나한전(羅漢殿)

 

정혜료 뒤에 있던 작은 동굴을 확장하여 조성한 굴법당입니다. 안에는 근래에 조성한 석가모니불좌상과 가섭·아난존자입상, 16나한상 등이 각 층으로 구분되어 모셔져 있고  감실안에는 10대제자상이 그리고 하단에는 인왕상 두분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 동굴에서 조선의 태조 이성계가 기도를 했다고도 전한다.

 

                       

                                     동굴 입구 위 바위에 붙여진 나한전(羅漢殿)

 

            

                                                             동굴 입구

 

                                                          나한전 내부

 

                                                         약사전(藥師殿)

 

정면 1칸 측면 1칸 규모의 맞배지붕 건물이며 이 약사전 아래에 있는 큰 바위에는 상공암(相公岩)이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는데, 이는 태조가 이곳에서 기도를 마치던 날 천상의 상공(정승)이 되어 옥항상제를 배알하는 꿈을 꾸었다하여 새긴 것이라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상공암(相公岩)

 

                                                         약사전(藥師殿)

 

약사전 내부에는 최근에 그려진 약사여래탱화와 용왕탱화가 모셔져 있습니다. 약사전의 건물도 근래에 지어진 것입니다.  

 

          

                                                           약사여래탱

 

                   

                                                  용왕탱 <사진자료: 전통사찰>

 

                       

                                                           약사전 현판

 

                                                         삼성각(三聖閣)

 

삼성각(三聖閣)은 원통사 전경이 보이는 곳에 자리한 근래에 지어진 전각으로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1988년에 조성한 칠성탱화, 산신탱화, 독성탱화와 독성상이 봉안되어 있습니다.

 

                       

                                                        삼성각(三聖閣)

 

지붕에서 비가 새는지 천막을 덮어두었습니다. 어쩐지 마음에 와닿는 요사이 보기드문 사찰입니다.

 

           

                                                           삼성각 칠성탱화

 

                                

                                                             독성탱화

                              

                                     

                                                          삼성각 현판

 

                                                         범종각(凡鐘閣)

 

정면 1칸 측면 1칸 규모의 청기와 사모지붕 건물로 1987년 조성한 범종이 봉안되어 있습니다.

 

          

                                                          범종 과 당(撞)

 

                         

                                                           용뉴(龍뉴)

 

범종을 메달기 위한 목적으로 종 위쪽에 만들어놓은 장치를 종뉴(鐘뉴)라 하는데, 대부분 용의 형상을 취하고 있어 용뉴(龍뉴)라고도 합니다.

 

                       

                                                 원통사와 우이암(牛耳岩)

 

원통사 삼성각 뒤에 있는 관음바위가 소의 두 귀를 닮았다고 하여 우이암이라고도 합니다. 우이암으로 인해 우이동이 생기게 된 의미가 있는 바위입니다.

 

          

                                                         우이암(牛耳岩)

 

 

               관음봉(?)  <사진자료: 백야님>                                            사모봉(?)  <사진자료: 백야님>

 

본래는 바위의 모습이 부처님을 향하여 기도하는 관음보살을 닮았다고 해서 관음봉(觀音峯) 혹은 사모관대를 쓰고 있는 모습이라 하여 사모봉이라 불렀다고 합니다.  보는 방향에 따라 그 느낌이 달라져 비슷해 보이기도 합니다. 

 

          

 

호랑이, 코끼리, 두꺼비, 코뿔소, 학 등 각종 동물의 형상을 한 바위들이 관음봉을 향해 머리를 조아리고 있다고 여깁니다. 그래서인지 사람들은 이곳을 천혜의 관음성지라고 믿고 있습니다. 

 

                                 

 

도봉산 소귀바위[우이암]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원통사 주변에는 두꺼비, 학, 독수리, 거북등 108종류의 형상을 갖춘 바위가 장관을 이루고 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원통사에서 바라보면 서울 동북부, 마들벌 뒤로 팔당댐, 예봉산, 검단산, 용문산, 수락산, 불암산, 아차산, 그리고 초안산 사이사이로 동양 최대의 밀집도를 자랑한다는 상계동 아파트 단지를 비롯한 도봉구, 노원구 일대가 눈 아래에 펼쳐집니다.

 

                      

 

원통사 대웅전 오른쪽 뒤편에는 119 산악구조대의 파견소가 있어 등산객의 안전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밑에서 본 원통사

 

 

참고사진

 

 

          

                                             장군봉 (원통사 가는 길에서)

 

          

                                                               우이암

 

                   

                                                 우이암과 왼쪽 밑의 원통사

 

                       

                                           은행나무(보호수)

 

높이 25m, 둘레 10.7m, 수령 830년이며, 보호수로 지정된 은행나무입니다. 원통사 오르는 등산길 초입에 있습니다.

 

                      

              정헌대부한성판윤남궁공휘숙신도비(正憲大夫漢城判尹南宮公諱淑神道碑)

 

원통사 오르는 길 한쪽에 있는 정헌대부 한성판윤 남궁공휘숙 신도비(正憲大夫漢城判尹南宮公諱淑神道碑)가 있습니다. 남궁숙(南宮淑)은 성종22년(1491)에 태어나 명종8년(1553)에 사망하였는데, 자는 숙부(淑夫)이며 강원도 관찰사 남찬(南璨)의 아들로 조선 중기의 문신입니다.


중종23년(1528)에 생원(生員)이 되고 1536년에 홍문관 부정자(弘文館副正字)에 이어 지평(持平) · 사간(司諫)을 역임하였습니다. 명종 2년(1547) 좌부승지(左副承旨)가 되었으며 같은 해 상호군(上護軍)에 제수되었습니다. 1548년 황해도 관찰사로 부임했으며 1549년 전라도 관찰사로 나아갔습니다. 명종 5년(1550)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에 제수되었고 1552년에 함경도 관찰사가 되었으나 탐학이 심하다는 대간(臺諫)의 탄핵을 받고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체직되었다. 궁사(弓射)에 능하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수(螭首, 지붕돌)                                          귀부(龜趺, 거북받침)

 

 

 

2008.02.02

 

'답사와 여행(국내) > 서울특별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연산군묘)  (0) 2008.02.02
서울(정의공주묘)  (0) 2008.02.02
서울(몽촌토성)  (0) 2008.01.27
서울(방이동 고분군)  (0) 2008.01.27
서울(석촌동 고분군)  (0) 2008.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