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와 여행(국내)/전라남도

강진(다산초당)

케인스 2007. 10. 15. 01:13

 

                                                   강진(다산초당) 

 

 

  

          

                                                         

강진버스터미날

 

이곳 버스터미날(시외.군내)에서 다산초당 앞[귤동(橘洞)]을 지나는 버스가 하루에 십여차례 있습니다.

 

    

                                              

다산초당 입구 귤동(橘洞) 표지판

 

강진읍에서 남서쪽으로 약10여분 구강포를 끼고 달려오면 다산초당 올라가는 길 입구의 도암면 만덕리 귤동마을을 만나게됩니다.

 

                      

                                          

약 100m 더 가면 다산유물전시관 입구

 

                      

                                                     

다산유물전시관    <참고사진>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만덕리에 있는 다산유물전시관은  다산초당 남쪽 700m 지점에 있으며, 연건평 409㎡, 총소장품 72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1999년 8월7일 다산 정약용선생의 생애와 업적 등을 기리기 위하여 설립하였습니다. 영정, 다산연보, 가계도, 학통, 다산의 일생, 다산의 업적과 유물 등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선생 영정(影幀)   <참고사진>

 

본관        : 나주(羅州)  

관명        : 약용(若鏞)
호           :  
다산(茶山) /삼미자(三眉子) /사암(俟菴) /자하도인(紫霞道人) /탁옹 /태수
당호        : 여유당(與猶堂)
자           :  미용(美鏞) / 송보(頌甫)

시호        : 문도공(文度公) - (박학다식하니 文이요, 마음이 뜻을 제압 할 수 있으니 度라 하였다)

출생지     : 경기 광주(현재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출생~사망  : 1762년(영조 38년) ~1836년(헌종2년)

주요저서  : 목민심서(牧民心書), 경세유표(經世遺表), 흠흠신서(欽欽新書)

   

           

                                                   만덕산(萬德山) 안내도

 

            

    : 다산초당         : 백련사      

 

만덕산은 강진읍 남쪽에 위치하여 마을 뒷산처럼 야트막한 산으로 깃대봉(해발 408.6m)이 정상입니다. 산기슭에는 천년 고찰 백련사와 다산선생의 실학정신이 깃들어 있는 다산초당 등 역사적 자취를 더듬어 볼 수 있습니다.

 

 

                                        

정다산 유적지(丁茶山遺蹟地)안내도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 선생은 조선 말기 당대 실학(實學)을 집대성한 대학자입니다. 순조(純祖) 원년(元年: 1801) 신유교옥(辛酉敎獄: 천주교도 박해)으로 인하여 경상도 장기(長)를 거쳐 강진(康津)에 유배되어 18년간 귀양생활 중 강진읍 동문 밖에서 8년간 머물다가, 순조8년(1808) 봄에 외가(外家) 해남윤씨(海南尹氏)가 거주하는 도암면(道岩面) 만덕리(萬德里) 귤동(橘洞) 다산초당(茶山草堂)으로 거처를 옮겼습니다. 

 

  

                                        다산초당가는 귤동(橘洞)마을 입구

 

'귤동(橘洞)]'이라는 이름은 예로부터 마을에 유자나무가 많아 붙여진 이름으로, 지금도 가을이면 집집마다의 담장에 노란 유자들이 주렁주렁 달려 있어 골목길이 환한 느낌을 받는다고 합니다. 오른쪽 표지판은  만덕산 등산 안내도입니다.

 

 

                

                                         

         입구 오른쪽으로 펼쳐진 갈대숲

 

8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이 마을 앞 뻘밭에는 드넓은 갈대밭이 장관을 이루었다고 합니다. 밀물 때면 바닷물이 마을 앞까지 들어왔으며, 간척사업으로 갈대밭이 농경지로 바뀌었다는군요. 갈대밭은 겨울이면 강진만을 찾는 철새들의 보금자리였으며, 다산초당보다는 가을이면 누렇게 물결치는 갈대밭을 보기 위해 이곳을 찾는 사람들이 더 많았을 정도였다고 합니다.    

 

    

                                

                  귤동 마을 뒤 멀리 만덕산      

 

마을 뒤 멀리 만덕산 기슭에는 다산초당이 있으며, 멀리 만덕산 깃대봉이 보입니다. 귤동마을은 7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60여 가구가 넘을 정도로 제법 큰 마을이었으나, 지금은 민가들이 몇 채 안될 뿐더러 다산초당으로 올라가는 입구 쪽에는 현대식 건물들이 들어서서 옛날의 정취를 많이 잃고 있습니다.

                   

                                                    

                                                  다산 정약용선생 유적비

 

귤동마을 입구 왼쪽으로 다산 정약용선생 유적비가 있습니다. 1976년 정다산유적복원위원회(丁茶山遺蹟復元委員會)가 구성되어 전남 강진군 도암면 율동의 다산(茶山) 초당(草堂)주변 조성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1977년 동암(東菴)·서암(西菴), 천일각(天一閣)을 건립하고 귤동의 입구(入口)에 「다산정약용선생유적비(茶山丁若鏞先生遺蹟碑)」를 세웠습니다. 유적비 왼편으로는 '다산유적비건립협찬자방명록'이란 작은 석비가 있습니다.

                                                   

            

초당가는 길 옆 정미소??  오래된 그리고 어디서 많이 본듯한 느낌을 주는 곳입니다.

 

     

                                        

2층 공장 건물의 지붕이 이채롭습니다.

 

                       

                                         

전통찻집 앞에서 부서지는 전통마을

 

                                                       

길 가 담장의  동백

 

강진군에서는 마을에 유자나 귤을 심으라고 권장한다지만, 봄이면 유자나무를 대신해 동백나무들이 빨간 꽃을 달고 나그네를 맞아 줍니다.

 

                  

 

                     

 

 

                                                           

윤종진의 무덤 

숲길 따라 오르면 길 오른편으로 다산선생의 제자이며, 외가친척인 윤종진(尹鍾軫)의 무덤과 동자석(童子石)이 보입니다. 윤종진은 원래 다산초당의 주인이었던 처사 윤단(尹)의 손자입니다.

 

                      

                                         

묘 앞에 있는 귀여운 동자석(童子石) 한 쌍

 

그 얼굴형이 아주 야무지면서도 귀엽고, 귀가 크고 볼이 넓으며 눈동자가 은행알 같은 이런 형태의 석인상은 강진, 해남, 장흥 지방의 양식이다.  <유홍준의 '나의문화유산답사기'에서 발췌..>

 

                     

               

                                    초당으로 가는 돌 계단 소나무와 대나무가 울창하여 초당가는 오솔길은 어둡고 서늘하여 혼자 오르기에는 을씨년스러웠습니다. 동백나무가 우거져 온통 하늘을 가리고 있는 조금 가파른 비탈길을 따라 오르면 어둠속에서 다산초당이 나타납니다.

 

               

                                 정다산 유적(丁茶山遺蹟) 안내판

 

소재지: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만덕리 339-1 (사적 제107호)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 선생이 유배되어 살면서 실학(實學)을 집대성한 곳이다. 선생은 순조(純祖) 원년(1801) 신유교옥(辛酉敎獄)으로 인하여 장기(長기)를 거쳐 강진(康津)에 유배되어 18년간 귀양생활을 하였는데, 외가인 해남 윤씨가 거주하는 이곳에서 11년을 지냈다.

 

다산 선생은 강진만이 한 눈에 굽어 보이는 만덕산 기슭에 자리한 초당에서 후진을 가르치고 저술에 전념하였다. 특히 백성을 다스리는 책인 <목민심서(牧民心書)>를 비롯하여 <경세유표(經世遺表>, <흠흠신서(欽欽新書)> 등 500여권에 달하는 저서가 이곳에서 완성되었다.       지금의 다산초당은 다산유적보존회가 1958년 옛터의 주춧돌 위에 기와집으로 다시 세운 것이다. 이 건물의 좌우에는 복원한 동 서암이 있다. 초당 뒤 언덕 암석에는 다산이 직접 깍은 '정석(丁石)'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으며, 왼쪽으로는 자그마한 연못이 있다. 앞뜰에는 차를 달였다는 '청석'이 있고, 한 켠에는 '약천'이라는 약수터가 있어 당시 유배 생활을 짐작케 한다.

   

<정다산 유적 안내판에서...> 

 

                                                           서암(西庵)

 

1808년 다산선생 유배당시 지어진 초막(草幕)으로 윤종기(尹鐘基), 윤종벽(尹鍾碧), 윤종상(尹鍾祥), 윤종진(尹鍾軫) 등 18명의 제자들이 거처하던 곳이다. 다성각(茶星閣)이라고도 하며 허물어져 없어진것을 1975년 강진군에서 건립하였다.   <안내판에서..>

 

                                 

                                                           

서암(西庵)

 

                                                     

뒷쪽에서 본 서암(西庵)

 

         

 

서암(西庵)을 다성각(茶星閣)이라고도 하였으며, 다성각(茶星閣)이란 현판이 걸려있습니다. 다산 정약용선생이 차[茶]를 좋아했음을 말해 주는 듯 합니다. 그가 유배에서 풀려 고향으로 간 후, 강진의 18 제자들은 다신계(茶信契)를 맺어 해마다 새 차를 스승에게 보냈다고 합니다.

 

                                                      다산초당(茶山草堂)

 

처사 윤단(尹慱)이 초가로 건립하여 후손을 가르치던 서당(書堂)으로 사용하였으나 다산 정약용선생이 1808년 봄 이곳으로 옮겨와 유배가 끝나 고향으로 돌아가던 1818년 8월까지 18명의 제자와 함께 강학(講學)을 하던 곳이다. 1936년 무너져 없어진 것을 1957년 해남 윤씨의 협조를 받고 정다산 유적 보존회가 복원하면서 지붕을 기와로 덮었다. 다산초당(茶山草堂)이란 현판은 추사 김정희 선생의 친필을 모각(模刻)한 것이다.  <안내판에서..>

   

                                                                                 

    

                        다조(茶)  <참고사진>                                         다산초당 정면 초당 앞 마당의 바위는 솔방울을 태워 차를 달이던 곳이라 하여 다조(茶竈: 차 부뚜막)라고 불립니다.

 

                        

                                             

 '다산초당(茶山草堂)' 현판  '다산초당(茶山草堂)' 현판은 추사의 글씨를 여기저기서 집자해 만든 것입니다.

 

                  

     

                          

초당의 굴뚝                                                    초당의 아궁이

 

                          

                                                               약천(藥泉)   <참고사진>

 

초당 뒤편에 1808년 다산선생이 직접 파서 만들었다는 샘으로, 가뭄에도 마르지 않는 시원한 약수 샘이라하여 약천(藥泉)이라 불립니다. 다산선생은 이 물로 차를 끓여 마셨다고 합니다.

                                                                           

                                        연지석가산(蓮池石假山)

 

1808년 봄 다산선생이 초당(草堂)으로 이주 후 연못을 넓히고 탐진강가에서 돌을 주워다 산처럼 봉(峰)을 쌓고 주변에는 백일홍과 대나무를 심었다.

 

산속에 있는 물을 나무로 만든 홈통을 거쳐 연못으로 흐르게 하여 비류폭포(飛流瀑布)를 만들고 연못에는 잉어를 길렀던 곳이다. 다산사경(茶山四景) 중 하나이다.  <안내판에서..>

 

            

                                                  

연지석가산(蓮池石假山)

 

돌로 조성한 가산(假山: 가짜 산)이 있는 연못으로 풀이 할 수 있겠습니다. 연못의 형식은 천원지방(天圓地方: 하늘은 둥글고 땅은 평평하다) 사상과 음양이론을 바탕에 둔 사상적 배경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물을 끌어들여 만든 연지(蓮池)

 

다산 정약용선생이 유배에서 풀려나 3년째 되는 1821년, 당시 육순 때 '자찬묘지명(自撰墓誌銘)'이라고 하는 자신의 묘지명을 스스로 지었습니다. 이 글에는 당시의 다산초당 모습이 그려져있습니다.

 

"무진년(1808) 봄에 다산으로 거처를 옮겼다. 축대를 쌓고 연못을 파기도 하고 꽃나무를 벌여 심고 물을 끌어다 폭포를 만들기도 했다. 동서(東西)로 두 암(庵)을 마련하고 장서 천여 권을 쌓아두고, 저서로서 스스로 즐겼다. 다산은  만덕사의 서쪽에 위치한 곳인데 처사 윤단의 산정(山亭)이다. 석벽에 '정석' 두 자를 새겼다."

 

           다산 정약용선생이 초당에 머물던 시절 손수 썼다고 하는 정석(丁石)이란 암각 글자입니다.

 

서쪽 돌병풍인 절벽에 쓴 두 글자 ‘정석’은 그 의미가 너무 어려워 설명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정씨(丁氏)인 자신의 바위라는 뜻도 있겠지만, 친히 쓴 글씨에 석수(石手)로 하여 새기게 했으니 다산초당의 모든 유적에서 진짜는 바로 그 두 글자입니다. 중국의 고사(故事)에 정씨(丁氏)의 많은 사람이 신선이 되었다는 설화가 전해져 소동파(蘇東坡)·미불(米芾)·도잠(陶潛) 등의 시문을 인용하여 ‘정석’이라는 글자를 새겼으며, 거기에는 신선이 학으로 변해 그 바위로 날아와 앉았다는 뜻으로 정씨가 바위의 주인이라는 뜻으로 사용했다는 것입니다. 초가이던 초당도 새로 기와로 바꿔 지은 것이니, 다산초당에 있는 진짜 다산의 흔적은 바로 석벽에 새긴 ‘정석’ 두 글자일 뿐입니다.      <정다산학술재단이사장 박석무>

 

                 

 

               

                                                           정석(丁石)  

 

자연석에다 다산 선생께서 직접 친필로 써서 새긴 것이며 해배(解配: 유배에서 풀려남)를 앞두고 발자취를 남기는 뜻에서 새겼다 함.

   

(표지판에서..>

 

                                                    

옆에서 본 동암(東庵)

 

                                                동암(東庵)

 

다산 선생이 유배생활 중 초막(草幕)을 짓고 거처하셨던 곳이며 목민심서(牧民心書), 흠흠신서(欽欽新書), 경세유표(經世遺表) 등 500여권의 책을 저술하시어 우리나라의 실학(實學)을 집대성한 곳이다. 일명 송풍암(松風庵)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동암 근처에 소나무들이 무성하여 솔바람이 불어오는 암자라 하여 불리우게 되었다고 한다. 허물어져 없어진 것을 1976년에 강진군에서 복원한 건물이다. 다산동암(茶山東庵)이란 현판은 다산 정약용선생의 친필이며 보정산방(寶丁山房)이란 현판은 추사 선생의 글씨를 모각(模刻)한 것이다.  <안내판에서..>

                     

    

 

'보정산방'(寶丁山房: 정약용을 보배롭게 모시는 산방) 현판은 추사 김정희의 중년 글씨를 새긴 것입니다. 정약용 선생님의 24년 연하인 추사 김정희선생은 친구 초의선사와 더불어 정약용선생을 따르며 몹시 존경했다고 합니다. 한편 동암에는 다산의 글씨를 집자한 '다산동암(茶山東庵)'이라는 현판도 나란히 함께 걸려 있습니다.

 

                   

                                                    

송풍암(松風庵) 비(碑)

 

동암(東庵)을 일명 송풍암(松風庵)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동암 근처에 소나무들이 무성하여 솔바람이 불어오는 암자라 하여 불리우게 되었다고 합니다.

 

     

  

                                                  초의선사의 다산초당도                                    

                                                  

본래의 다산초당은 말 그대로 조촐한 초가삼간이었습니다. 초의선사의 '다산초당도'에는 초당과 동암이 모두 초가로 그려져 있고, 연지석가산 연못 아래에 지금은 없는 작은 연못이 하나 더 그려져 있습니다. 이 그림을 바탕으로 하는 다산초당이 복원되었으면 하고 바랍니다.

 

 

 

    

                                                          

천일각(天一閣)     <자료사진>

 

천일각(天一閣)이라는  정자는 다산 선생이 유배생활을 하던 당시에는 없었던 정자입니다. 이 자리는 유배생활을 하던 다산 선생이 가족이 그리울 때 나와 앉아 마음을 달랬던 자리로 알려져 있습니다.  천일각에서 눈앞으로 펼쳐지는 잔잔한 바다 위 점점이 떠있는 작은 섬들과 강진만의 풍경은 시원하기 이를데 없습니다.  날씨가 좋으면 멀리 완도 쪽 다도해가 한 눈에 들어오기도 한답니다.

              

            

                                   

대낮에도 그늘이 짙은 초당으로 오르내리는 숲길

 

 

 

 

다산4경

 

다산초당에는 다산선생의 채취가 남아있는 다산4경이 있는데, 정석바위, 약천, 다조, 연지석가산을 이르며 모두 다산 선생의 유배생활과 관련이 있는 것들입니다. 

 

정석(丁石) : 다산초당 뒤쪽에 있는 바위인데 바위에 '정석(丁石)'이란 글씨가 새겨져 있습니다.

 

        죽각(竹閣)서편 바위가 병풍같으니

        부용성(芙蓉成)꽃주인은 벌써 정씨(丁氏)에게 돌아왔네

        학이 날아와 그림자지듯 이끼무늬 푸르고

        기러기 발톱 흔적처럼 글자는 이끼속에 또렸하다.

        미로(迷路)처럼 바위를 경배하니 외물(外物)을 천시한 증거요

        도잠(導潛)처럼 바위에 취했으니 제몸 잊은 것을 알리라

        부암(傅巖)과 우혈(禹穴)도 흔적조차 없어졌는데

        무엇하러 구구하게 또 명(名)을 새기리오

  

약천(藥泉) : 다산초당 건물 뒤에 있는 샘으로 다산 선생이 직접 파서 만든 샘이라 합니다.

 

        옥정(玉井)이 흐레는 없고 모래만 깔렸으니

        한바가지 떠마시면 찬하(餐霞)보다 상쾌하다오

        처음엔 돌틈의 승장혈(承漿穴)을 찾았는데

        도리어 산중에서 약닳이는 사람이 되었네

        길을 덮은 연한 버들 비스듬히 물에 떠있고

        이마에 닿은 작은 복숭아 거꾸로 꽃을 달고 있네

        담도 삭이고 묵은 병도 낫게하는 약효는 기록할 만하고

        나머지 또 길어다가 벽간다(碧磵茶)끓이기에 좋다오

 

 

다조(茶) : 초당 앞에 있는 널찍한 반석으로 이곳에서 다산 선생이 이 돌을 부뚜막 삼아 불을

                     지펴 차를 끓여 마시던 곳이라고 합니다. 

 

        푸른 돌 평평히 갈아 붉은 글자 새겼으니

        차 끓이는 조그만 부뚜막 초당 앞에 있구나

        반쯤 다문 고기목 같은 아궁이엔 불길 깊이 들어가고

        짐승 귀 같은 두 굴뚝에 가는 연기 피어나네

        솔방울 주어다 숯 새로 갈고

        매화꽃잎 걷어내고 샘물 떠다 더 붓네

        차 많이 마셔 정기에 침해됨을 끝내 경계하여

        앞으로는 단로(丹爐)를 만들어 신선되는 길 배워야겠네

 

연지석가산(蓮池石假山) : 초당 옆에 있는 연못과 연못 가운데에 있는 아주 작은 섬으로 다산

                     선생이 탐진강가에서 직접 돌을 주워다 만든 것이라고 전합니다. 이 연지 옆으로

                     만덕산 기슭인데 대나무로 홈통을 만들어 산에서 흐르는 물이 연못으로 들어가게

                     해놓았다. 연못 주변에는 백일홍과 대나무를 심어 운치를 더하게 하였습니다.

 

        갯가의 괴석 모아 산을 만드니

        진짜 산보다 만든 산이 더 멋지구나.

        가파르고 묘하게 앉힌 삼층탑 산

        오목한 곳 모양 따라 한가지 소나무를 심었네

        서리고 휘감긴 묘한 모습 지봉석을 쭈그리고 앉힌 듯

        뾰족한 곳 얼룩 무늬 죽순이 치솟은 듯

        그 위에 산 샘물을 끌어다 빙둘러 만든 연못

        물밑 고요히 바라보니 푸른 산빛이 어렸구나

 

 

 

다산팔경(귤동8경)

 

귤동마을에서 내려다본 8가지 경승


         桂梁鳴潮(계량명조): 해창의 썰물모양

         竹嶼歸帆(죽서귀범): 칠량앞 대섬의 돗배

         沙峯霽月(사봉제월): 군동 금사봉의 떠오른 달

         天台晩雲(천태만운): 정수사 뒷산 천태봉의 해질녘 구름

         龍浦漁火(용포어화): 도암 용산리 앞바다 고기잡이 불

         牛島炊煙(우도취연): 가우도 밥짓는 연기

         茶山晴嵐(다산청람): 다산초당의 아지랑이

         冠岳積雪(관악적설): 천관산에 쌓인 눈

 

 

 

 

 

 

2007.04.16

'답사와 여행(국내) > 전라남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진(백련사)  (0) 2007.12.17
강진(무위사)  (0) 2007.10.20
해남(녹우당)  (0) 2007.06.22
해남(대흥사)-5  (0) 2007.06.15
해남(대흥사)-4  (0) 2007.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