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와 여행(국내)/전라남도

해남(대흥사)-3

케인스 2007. 6. 14. 17:43
                                   해남(대흥사)-3

 

 

두륜산(頭輪山) / 대흥사(大興寺) 

 

                   

                                                         북원 지역으로.... 

                                                         가허루(駕虛樓)

 

                                                    가허루(駕虛樓) 뒷면

 

 

                         

                                                 가허루 입구에서 본 천불전

 

           

                                                       가허루(駕虛樓) 현판

 

가허루(駕虛樓)에 걸려있는 현판의 글씨는 전주에서 활약하던 호남의 명필 창암(蒼巖) 이삼만(李三晩, 1770~1845)의 글씨입니다.

 

           

                        둥글게 휜 나무를 가로지른 가허루의 문턱이 눈길을 끕니다.

 

 

                                                            천불전(千佛殿)

 

천불전은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48호이며 조선 순조11년(1811)에 불탄 것을 완호(玩虎)스님이 순조13년(1813)에 다시 지었다고 합니다. 정면3칸, 측면3칸 규모의 팔작(八作)지붕, 다포(多包) 계통의 목조건물로서 높이 쌓인 장대석 기단 위에 세워졌습니다. 자연석을 이용하여 주춧돌로 사용하였으며 그 기초위에 기둥을 세웠으며, 건물 앞쪽 문에는 정교한 국화무늬, 연화무늬의 꽃살분합문을 달아 화려하게 보이도록 치장하였습니다. 건물 내부에는 장주(長柱)를 사용하지 않은 독특한 건축양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천불전이란 과거에도 천불, 현재에도 천불, 미래에도 천불이 있다는 것으로 어느 때나 무한한 부처님이 존재한다는 의미에서 세워진 건물입니다. 즉 어느 때 어느 곳에서 누구나 다 부처가 될 수 있다는 대승불교의 근본사상을 단적으로 나타난 것이 천불인 셈입니다.

 

       

                                                              천불상                                    <사진자료>

 

천불전에 안치된 천불상은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52호이며, 건물 내부 중앙에 나무로 만든 본존불을 모셔두고 주위에 옥석으로 조각한 천개의 작은 불상이 법당 내부를 꽉 채우고 있는 것이 특이하다고 하겠습니다.  제작연대는 확실하지 않지만 옥으로 만들어진 정교하고 각각 다른 형태의 상을 지닌 채 신비로움을 간직한 천불상은 불자는 물론 속인들에게도 불심을 갖게 하는듯 합니다.

 

초의선사의 스승인 완호 스님이 처음 천불전을 짓고 경주 불석산에 가서 옥석으로 천불을 조각하게 하였습니다. 이에 10명의 석공이 6년에 걸쳐 완성한 천불을 3척의 배에 나눠 싣고 울산과 부산 앞 바다를 지나 대흥사로 향했습니다. 항해 도중 한 척의 배가 울산진에서 풍랑을 만나 표류하다 일본 나가사키현(長崎縣)에 밀려가니 일본인이 3백여개의 옥불을 만나 서둘러 절을 짓고 봉안하려 하였습니다. 그러나 이 불상들이 일본인의 꿈에 나타나 '조선국 해남 대흥사로 가는 중이니 이곳에 봉안해서는 안된다'고 깨우치니 결국 일본인들은 옥 불을 거두어 해남으로 돌려 보냈다고 합니다. 이렇게 천불이 모두 돌아와 봉안된 것이 순조18년(1818)이었습니다. 이때 일본을 거쳐서 온 불상들은 밑바닥에 日자가 새겨져 있어 이를 입증하고 있다고 전합니다.   <풍계대사의 일본표해록(日本漂海錄)에서..>

 

이후 천불전에 안장된 옥불상들은 경상도 지역 신도들의 꿈에 나타나  '가사를 입혀달라'고 하였답니다.결국 신도들은 가사를 만들어 입히고 4년마다 새 가사로 갈아 입히고 있습니다. 갈아 입힌 다음 남은 가사는 모조리 신도들이 챙겨가는데 이 가사를 소지한 사람은 무병장수하고 만사형통한다고 전해 옵니다.

 

한편 천불전 북쪽 벽에는 최근까지만 해도 1794년(정조 18)에 만들어진 사천왕탱화와 1819년(순조 19)에 조성된 신중탱화가 모셔져 있었으나 지금은 보이지 않는다. 특히 신중탱화에는 증사(證師)로 초의선사의 이름이 나타나 있다. 이 두 불화는 보존상태가 비교적 양호하여 조선 후기 불화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한편 천불전 앞에는 초의선사가 직접 심었다고 전해지는 영산홍과 자산홍이 있다.

 

                       

                                                     천불전(千佛殿) 현판

 

          ‘천불전(千佛殿)’이라는 글씨는 당대의 명필 원교(圓嶠)이광사(李匡師)가 썼습니다

 

            

                                                  천불전(千佛殿) 뒷면 벽화

 

겉 벽면 3면에 걸쳐 심우도(尋牛圖 : 소의 발자국을 따라가면 소를 찾을 수 있다)와 대행보현보살(大行普賢菩薩), 대지문수보살(大智文殊菩薩)등 15개 벽화가 그려져 있습니다.

 

                                                     천불전(千佛殿) 꽃창살

 

                                              국화무늬, 연화무늬의 꽃창살  

 

                      

                                                  천불전(千佛殿) 꽃창살

 

                      

                                                  천불전(千佛殿) 꽃창살

 

                      

                                                   천불전(千佛殿) 꽃창살

 

            

                                          천불전(千佛殿) 돌계단과 괘불지주

 

                      

                                                           천불전의 봄

 

                      

                                                     천불전 시주자 명단

                                          

           

                                                         용화당(龍華堂)

 

천불전 서쪽에 있는 요사인 용화당(龍華堂)은 팔작지붕에 정면 8칸, 측면 3칸이며,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93호입니다. 이 건물은 초의선사의 스승인 완호대사가 강원으로 사용하기 위해 1811년(순조 11)에 착공하여 2년 뒤 완공한 것으로 부엌과 온돌방, 건조실 그리고 가운데의 큰 선방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용화당(龍華堂) 현판 글씨  <사진자료:부다피아>

                             

서예가 김돈희 (金敦熙 1871∼1937)가 글씨를 썼는데 김돈희는 모든 체를 두루 잘 썼으며 예서, 해서에 특히 뛰어난 일대의 대가였다고 전합니다. 서화협회회장, 조선미술전람회 심사위원을 역임했습니다.

 

           

                                                          봉향각(奉香閣)

 

                             

                                                    봉향각(奉香閣) 현판

 

                                                            승방(僧房)

 

각각의 당우들이 낮은 돌담으로 서로 연결되어있습니다.  이곳에서는 외국인 승려들도 정진 중에 있었습니다.

 

              

                                                           승방(僧房)

 

              

                                              승방(僧房) 계단 옆 동백

 

                                               승방(僧房) 계단 옆 동백

 

                                                          대흥사의 4월

                                                            산사의 아침

 

 

 

2007.04.16

 

 

 

 

'답사와 여행(국내) > 전라남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남(대흥사)-5  (0) 2007.06.15
해남(대흥사)-4  (0) 2007.06.14
해남(대흥사)-2  (0) 2007.06.14
해남(대흥사)-1  (0) 2007.05.31
해남(대흥사/유선관)  (0) 2007.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