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와 여행(국내)/전라남도

해남(대흥사)-2

케인스 2007. 6. 14. 01:14

                                                     해남(대흥사)-2

 

 

두륜산(頭輪山) / 대흥사(大興寺) 

 

심진교(尋眞橋)를 건너고 침계루(枕溪樓) 밑을 지나 안으로 들어가면 대웅보전(大雄寶殿)이 남쪽을 향하여 자리하고 있고, 좌우로는 범종각(梵鐘閣), 응진전(應眞殿)과 명부전(冥府殿)이 나란히 서있습니다. 대웅보전 뜰의 동서(東西)에는 승방(僧房)인 세진당(洗塵堂)과 백설당(白雪堂)이 있습니다. 한편 응진전 앞에는 보물 제320호인 삼층석탑이 단정하게 자리잡고 있습니다.

  

                                                대웅보전(大雄寶殿)

 

전면에 장대석(長臺石)으로 높이 쌓은 단 위에 기단(基壇)을 마련하고 정면 5칸, 측면 4칸의 다포계(多包系) 팔작지붕 건물을 지었는데, 귀기둥을 제외한 전면기둥 상부(上部)에는 용두(龍頭)를 새기고 쇠서에도 연꽃을 새겨 조선 후기적 특징을 보였다. 건물 전면에는 각 칸마다 빗살무늬의 2분합문(二分閤門)을 달았으며 가운데 현판(懸板)은 조선 후기의 명필인 원교(圓嶠) 이광사(李匡師) [1705-1777] 선생의 글씨이다. 안에는 목조삼존불(木造三尊佛)을 봉안하고 있다.  <안내판에서..>

 

대웅보전은 언제 처음 지어졌는지는 잘 알 수 없으나 《대둔사지/권2》와 《대둔사대웅전중건기》에 의하면 현종8년(1667)에 심수대사(心粹大師)에 의하여 3년만에 중건되었다 합니다. 지금의 건물은 고종 광무3년(1899)에 대웅전이 서 있던 북원 전체가 불에 타자 광무5년(1901) 법한(法翰)대사가 화주가 되어 새로 지은 것이라고 하며, 또 1967∼1969년 사이에 기와를 새로 얹고 단청을 하기도 했습니다. 
 

           

 

대웅보전 현판은 인근 신지도(新智島)에서 귀양살이 하던 원교(圓嶠) 이광사(李匡師)의 글씨로서 길게 뻗은 획에 구불구불한 특유의 필법이 잘 드러나 있습니다. 여기에는 추사 김정희와의 일화가 얽혀 있는데, 헌종6년(1840)에 제주도로 귀양 가던 길에 초의선사를 만나러 대둔사에 들렀던 김정희는 이광사 글씨가 촌스럽다고 타박하며 대웅보전 현판을 떼어내라고 하였답니다. 그로부터 8년 뒤 김정희는 유배가 풀려 한양으로 돌아가다가 다시 대둔사에 들러 이광사의 현판을 다시 찾아 걸도록 하였다고 하니 그동안 이기적인 마음이 평정되었던 것은 아닌지 생각해 봅니다.

 

                                                   목조삼존불(木造三尊佛)

      

대웅보전에는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아미타, 약사여래가 좌우로 협시한 목조삼세불이 있습니다. 조선 영조년간 조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삼세후불탱화는 1901년(광무 5)에 봉안된 것으로, 취운 혜오(翠雲慧悟)가 1901년에 쓴 <대웅보전중수기>에 의하면 관찰사 윤웅렬(尹雄烈)과 해남군수 이용우(李容愚)가 대웅보전의 중건 때 대시주가 되었다고 했는데, 후불탱화의 화기에도 도감(都監)으로 이들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대웅보전(大雄寶殿) 닫집과 천장

 

                                                        백설당(白雪堂)

 

                                          현재는 강당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사진자료:부다피아>

                   백설당의 현판은 해사(海士) 김성근(金聲根)님의 글씨로 알려져 있습니다.

 

               

                                      무량수각(無量壽閣) 현판

 

백설당(白雪堂) 내부에는 ‘무량수각(無量壽閣)’이라고 쓴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글씨의 현판이 걸려 있습니다. 추사가 제주도로 귀양가면서 써 주고간 글씨로 획이 기름지고 구성의 변화가 두드러져있다고 평가 받고 있습니다. 글씨 끝에는 노원이라는 낙관이 있는데 추사는 약 60여개의 호가 있었으며 그 중 추사나 완당을 자주 사용하였고 노원이란 호는 나이가 들어 사용하였다고 합니다.

 

                  

                                                   대웅보전 돌계단 머릿돌

 

                  

                               대웅보전 돌계단 머릿돌은 돌사자의 모습이라고 합니다.

 

                       

                                                           돌사자 옆모습

                            

                                         

                                                                                   <사진자료>

                              대웅보전 기단 모서리에 있는 차일고리를 입에 문 돌짐승

 

                       

                                                      대웅전 시주자 명단

 

                                          침계루와 백설당 사이에서 본 대웅보전

 

                             

         대웅보전 옆에는 범종각, 응진전이 나란히 자리하고 있습니다. 멀리 삼층석탑도 보입니다.

 

                                                          명부전(冥府殿)

 

명부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형태의 건물로서 3면의 아래쪽은 벽체로 마감되어 있습니다. 저승의 명부를 상징하는 불전을 이르며 심판관인 시왕(十王)을 모시고 있다고 해서 시왕전(十王殿)이라고도 하며, 지장보살을 주불로 모시고 있다고 해서 지장전(地藏殿)이라고도 부릅니다. 

 

                                          

                 명부전의 현판은 해사(海士) 김성근(金聲根)님의 글씨로 알려져 있습니다.

 

 

명부전 안에는 지장보살좌상을 비롯하여 시왕상 10체, 무독귀왕과 도명존자, 동자상 11체, 승상·판관상 각 1체, 또다른 판관상 10체, 녹사·사자·인왕상 각 2체가 있으며, 불화로는 1901년에 조성된 지장후불탱화가 있습니다. 그 밖에 1906년(광무 10)에 쓴 <두륜산대흥사명부전헌답기> 현판이 걸려 있다.

 

                  

                                                         범종각(梵鐘閣)

 

                        

                                                              범종(梵鐘)  

   

                                           응진당(應眞堂)과 산신각(山神閣)

 

응진당은 주심포식 맞배지붕에 정면 5칸, 측면 3칸으로 산신각을 겸하고 있어 왼쪽 3칸은 응진당, 오른쪽 2칸은 산신각입니다. 응진당 안에는 석가부처님을 중심으로 문수·보현보살의 석가삼존상을 비롯하여 나한상 14체 및 동자상·시자상·사자상·인왕상이 각각 2체씩 있고, 불화로는 후불탱화인 영산회상도와 나한도 4폭, 사자도 2폭이 있습니다.  산신각에는 1901년에 조성된 독성도와 산신도가 있습니다. 

 

                       

                                                          응진당 현판                  <사진자료>

 

                  응진당 현판 역시 해사(海士) 김성근(金聲根)님의 글씨로 알려져 있습니다.

 

                 

                             응진전 내부의 석가모니불, 문수보살, 보현보살  <사진자료>

 

       

                                                  응진전 내부의 16 나한상                    <사진자료>

 

                          

                                                          산신각 현판      <사진자료:부다피아>

 

          

                                                1901년 조성된 산신탱과 독성탱        <사진자료:한성대>

 

                              응진전(應眞殿) 앞 삼층석탑(三層石塔) / 보물 제320호

 

탑이란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한 것으로 불교의 상징적인 신앙대상이다. 이 석탑은 높이 4.3m로 신라 석탑의 전형적인 형태를 따라 만들어졌다. 이 탑은 현재 대둔사내에 있는 응진전에서 조금 비켜진 곳에 자리한다. 탑의 형식은 부분적으로 간략하게 처리되었으나 신라 석탑의 전형적인 구조를 잘 나타내고 있으며 돌을 짜 맞추는 방법에 있어서 매우 단정하고 온아하며 세밀함을 보여준다.

 

1967년 1월에 탑을 해체, 보수하는 과정 중 기단부분에서 높이 12cm의 동(銅)으로 만든 여래좌상(如來坐像) 1구(軀)가 발견되었다. 이 탑은 대둔사가 자리한 대둔산 정상 부근에 세워진 보물 제301호 대둔사 북미륵암 삼층석탑과 함께 신라 석탑의 영향이 한반도 서남해안까지 전파되었음을 알려주는 것으로 그 의미가 크다. 이 탑은  1963년 1월 21일에 보물로 지정되었다.  <안내판에서..>

 

                                                       대흥사 삼층석탑

 

탑의 조각수법이 세련되고 정교한 편이지만 옥개석의 간략한 층급받침이라든가 낙수면의 끝을 위로 처들인 조각 수법으로 보아 신라 말기의 작품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전하는 말로는 신라의 자장율사가 중국에서 가져온 석가여래의 사리를 봉안한 사리탑이라고 합니다. 

 

               

                                                대흥사 삼층석탑 옆의 철쭉

 

 

                        

                        

                                                       대흥사 삼층석탑

 

탑의 형태는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신라의 일반형 석탑이다. 아래·위층 기단은 각 면의 가운데와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조각하였다. 탑신부의 각 층 몸돌에도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다. 지붕돌은 처마가 두껍고 윗면은 경쾌하게 곡선을 그리고 있으며, 밑면에는 4단의 받침을 두었다.

정상에는 머리장식으로 몸돌로 보일만큼 큰
노반(露盤:머리장식받침) 위에 복발(覆鉢: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 앙화(仰花:솟은 연꽃모양의 장식), 보륜(寶輪:바퀴모양의 장식) 등이 올려져 있다.

탑신은 1층 몸돌에 비해 2층 이상의 몸돌 높이가 크게 줄었으나, 넓이는 거의 줄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통일신라의 석탑양식을 따르고 있으나 기단의 가운데기둥수가 하나로 줄어들고, 지붕돌 밑면의 받침수가 4단인 점 등으로 보아 통일신라 후기에 세워진 작품으로 추측된다. 대둔산 정상부근에 세워진
대흥사북미륵암삼층석탑(보물 제301호)과 함께 통일신라의 석탑양식이 서남단 지방에까지 전파되었음을 알려주는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문화재청>

 

                      

                                                  대흥사 삼층석탑과 응진전

 

              

                                                          요사채의 굴뚝

 

                      

                                          백동백 뒤로는 요사인 세진당(洗塵堂)

 

                

                                                        대흥사의 백동백

 

 

 

2007.04.16

 

 

'답사와 여행(국내) > 전라남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남(대흥사)-4  (0) 2007.06.14
해남(대흥사)-3  (0) 2007.06.14
해남(대흥사)-1  (0) 2007.05.31
해남(대흥사/유선관)  (0) 2007.05.31
해남(미황사)  (0) 2007.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