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대흥사)-5 해남(대흥사)-5 대광명전(大光明殿) 표충사 뒤편으로 약 300m가량 들어간 자리에 자리잡고 있는 정면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의 대광명전은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94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헌종7년(1841)에 초의선사와 추사 김정희의 제자이며 전라 우수사로 해남에 내려와 있던 위당(威堂) 신관호(申.. 답사와 여행(국내)/전라남도 2007.06.15
해남(대흥사)-4 해남(대흥사)-4 두륜산(頭輪山) / 대흥사(大興寺) 무염지(無染池) '무염지(無染池)'라는 이름의 연못은 참선문구인 처염상정(處染常淨)에서 나온 것으로 ‘더러움에 물들지 않고 항상 깨끗한 곳’이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한국 차(茶)의 중흥조로 손꼽히는 초의선사(草衣禪師)가 화재로 소실된 남원 지.. 답사와 여행(국내)/전라남도 2007.06.14
해남(대흥사)-3 해남(대흥사)-3 두륜산(頭輪山) / 대흥사(大興寺) 북원 지역으로.... 가허루(駕虛樓) 가허루(駕虛樓) 뒷면 가허루 입구에서 본 천불전 가허루(駕虛樓) 현판 가허루(駕虛樓)에 걸려있는 현판의 글씨는 전주에서 활약하던 호남의 명필 창암(蒼巖) 이삼만(李三晩, 1770~1845)의 글씨입니다. 둥글게 휜 나무를 가.. 답사와 여행(국내)/전라남도 2007.06.14
해남(대흥사)-2 해남(대흥사)-2 두륜산(頭輪山) / 대흥사(大興寺) 심진교(尋眞橋)를 건너고 침계루(枕溪樓) 밑을 지나 안으로 들어가면 대웅보전(大雄寶殿)이 남쪽을 향하여 자리하고 있고, 좌우로는 범종각(梵鐘閣), 응진전(應眞殿)과 명부전(冥府殿)이 나란히 서있습니다. 대웅보전 뜰의 동서(東西)에는 승방(僧房)인 .. 답사와 여행(국내)/전라남도 2007.06.14
해남(대흥사)-1 해남(대흥사)-1 두륜산(頭輪山) / 대흥사(大興寺) 두륜산과 대흥사의 이름에 얽힌 이야기 "두륜산의 원래 이름은 '한듬' 이었는데, 국토 남단에 불쑥 솟은 그 형상에서 나온 말이라 여깁니다. 이것을 한자어와 섞어서 '대듬'이라 부르더니 나중엔 대둔산(大芚山)이라 불리게 됐고, '한듬절'은 '대듬절'에.. 답사와 여행(국내)/전라남도 2007.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