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와 여행(해외)/중국(북경-자금성)

中國(北京) - 건청문(乾淸門)광장/자금성 외조(外朝)

케인스 2012. 3. 28. 01:24

 

 

                               건청문(乾淸門)광장 

  

 

    중국 북경(北京) / 자금성, 외조(外朝)의 전삼전(前三殿) 지 

 

 

  

☞  건청문광장(乾淸門廣場) 주변 외조(外朝) 

  

 

건청문광장(乾淸門廣場) 위치 <참고사진>

 

                                                                                                  <참고사진>

건청문(乾淸門)광장은 외조(外朝)와 내정(內廷)의 경계가 되는 지역으로 명, 청 시대에는 항상 경계가 삼엄했던 곳입니다.

 

 건청문(乾淸門)광장 주변 <google참고사진>

 

건청문(乾淸門)광장 주위 외조(外朝) 구역의 융종문(隆宗門), 경운문(景運門), 군기처(軍機處), 군기장경치방(軍機章京値房), 구경치방(九卿値房), 대루치방(待漏値房)을 살펴봅니다. 

                                          

 

융종문(隆宗門)

 

 

융종문(隆宗門) 위치  <참고사진>

 

                                            융종문의 위치 <google참고사진>

 

 

                                                       융종문(隆宗門)  <참고사진>

 

융종문(隆宗門)은 건청문광장(乾淸門廣場) 서쪽에 있으며 서향(西向)으로 정면5칸, 측면3칸으로 황유리기와의 팔작지붕 형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광장 동쪽에 있는 경운문(景運門)과 서로 대칭되게 서 있습니다.

 

                                                                                                       <참고사진>

융종문(隆宗門)은 명(明) 영락(永樂)18년(1420) 건설되었으며, 만력(萬歷)26년(1598) 11월 중수하였습니다. 청대(淸代)에는 순치(順治)12년(1655)에 크게 고친바 있습니다.

 

                   

                                                              융종문(隆宗門)  <참고사진>

 

융종문(隆宗門)은 수레가 다닐 수 있도록 문 안팎으로 계단이 없으며 북쪽으로는 군기처(軍機處)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 문은 내정(內廷)과 외조(外朝) 서로(西路) 및 서원(西園)의 중요한 통로였습니다. 문 밖 서쪽에는 자녕궁(慈寧宮)이 있으며, 청대 강희(康熙), 옹정(雍正), 도광(道光) 등의 황제들이 사망한 후 관이 이문을 통하여 들어와 문 안에서 애도 의식을 거행한 바 있습니다.

 

                                                                                                         <참고사진>

융종문은 경운문과 함께 외조와 내정으로 통하는 중요한 문이었기에 일명 '금문(禁門)'이라 불렀으며 왕공대신이라 할지라도 당직을 서는 대신과 황제가 부른 사람 이외에는 출입할 수가 없었습니다.

             

가경제(嘉慶帝) <참고사진>

 

가경(嘉慶)18년(1813) 하북, 산동 등지에서 임청(林靑)과 이문성(李文成)을 영수로 하는 천리교(백련교의 일파) 교도들이 반란을 일으켜 무공이 뛰어난 200여명의 결사대가 북경에 잠입하였습니다. 그들은 환관과 내통하여 9월14일 서화문(西華門)을 통하여 자금성을 습격하여 관군(官軍)과 치열한 공방전을 벌였으나 성공하지 못하였습니다.

 

             

                                                   융종문(隆宗門) 현판  <참고사진>

 

이 당시 결사대가 쏜 화살촉이 광장 바깥쪽에 있는 융종문 현판에 꽂혀 지금까지 남아 있어[O부분] 당시의 격전상을 대변하고 있으며 이 화살을 '19세기의 화살'이라고 부릅니다. 가경제(嘉慶帝)는 자손들이 이때의 교훈을 잊지 않도록 그 것을 남겨두게 하여 아직도 그 흔적을 볼 수 있습니다.

 

 

경운문(景運門)

      

 

경운문(景運門) 위치 <참고사진>

 

                                            경운문의 위치 <google참고사진>

 

               

                            건청문광장(乾淸門廣場)에서 보는 경운문(景運門)  <참고사진>

 

경운문(景運門)은 명(明) 영락(永樂)18년(1420)에 세워 만력(萬曆)26년(1598)과 청(淸)순치(順治)12년(1655)에 중수 하였습니다.

                                         

                                                       경운문(景運門)  <참고사진>


경운문(景運門)은 건청문광장(乾淸門廣場) 동쪽에 서향(西向)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서쪽의 융종문(隆宗門)과 서로 대칭되게 서 있습니다. 정면5칸, 측면3칸, 황유리기와의 팔작지붕의 건물입니다.

 

         

                                                              경운문(景運門)  <참고사진>

 

경운문(景運門) 안의 북쪽에는 몽고왕공대신치방(蒙古王公大臣値房) 겸 구경치방(九卿値房)이 있으며 남쪽에는 주사대루치소(奏事待漏値所) 또는 주사대루치방(奏事待漏値房)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참고사진>

    경운문(景運門) 밖 동북쪽에는 봉선전(奉先殿), 동쪽에는 구룡벽(九龍壁)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참고사진>

경운문(景運門) 역시 융종문(隆宗門)과 마찬가지로 내조 및 외조로 진입할 수 있는 중요한 문이기에 이를 융종문과 함께 '금문(禁門)'이라 불렀습니다.

 

                                                   경운문(景運門) 현판 <참고사진>

 

                                                                                                 <참고사진>

경운문(景運門) 역시 융종문(隆宗門)과 마찬가지로 호위병과 검사원이 출입하는 사람과 물품을 엄하게 감시하였는데, 경운문에서는 당직대신 3명이 궁정의 출입을 엄격히 통제하는 문금(門禁) 사무를 담당했습니다.

 

                                                                                            <참고사진>

경운문은 그 중요성으로 인해 출입증을 내주고 출입자들을 확인 하였으며, 황제의 부름을 받고 입궐하는 왕공대신의 시종들은 문으로부터 20보 밖에 서서 기다려야 했습니다. 

 

구경치방(九卿値房)대루치방(待漏値房)

 

 

구경치방(九卿値房)과 대루치방(待漏値房) 위치 <참고사진>

 

                             구경치방(九卿値房)대루치방(待漏値房)의 위치 <google참고사진>

 

경운문 북쪽의 판방(板房)은 몽고왕공대신들과 9경이 궁에 들어가기 전 대기하던 몽고왕공대신치방(蒙古王公大臣値房) 겸 9경치방(九卿値房)이었습니다. 한편 경운문 남쪽의 판방(板房)은 상소(上疏)를 위한 신하들이 대기하던 주사대루치소(奏事待漏値房) 혹은 대루치방(待漏値房)이라 합니다. 

 

 

구경치방(九卿値房)

 

 

       

몽고왕공대신치방(蒙古王公大臣値房) 겸 구경치방(九卿値房) <참고사진>

 

구경치방(九卿値房)은 대구경(大九卿)과 소구경(小九卿) 설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6부(六部:이부, 호부, 예부, 병부, 형부, 공부) 및 독찰원(督察院), 통정사(通政司), 대리사(大理寺)를 가리킵니다. 명대(明代) 대구경(大九卿)은 육부상서(六部尙書), 독어사(督御史), 통정사(通政司), 대리사(大理寺) 경(卿)을 일컫고, 소구경(小九卿)은 태상사경(太常寺卿), 태복사경(太僕寺卿), 광록사경(光祿寺卿), 첨사부첨사(詹事府詹事), 한림학사(翰林學士), 홍려사경(鴻臚寺卿), 국자감제주(國子監祭酒), 원마사경(園馬寺卿), 상보사경(尙寶寺卿)을 일컫습니다.

 

 

청대(淸代)에는 육부(六部)가 구경(九卿)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시대에 따라 구경(九卿)의 내용은 일치하지 않으며 다만 고급관원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명칭이었습니다.

 

 

 구경치방(九卿値房)은 고급관원 등이 황제를 접견하기 위해 황제의 부름을 기다리는 곳이었습니다.

 

 

대루치방(待漏値房)

 

 

                      주사대루치소(奏事待漏値房) 혹은 대루치방(待漏値房) <참고사진>

 

주사대루치소(奏事待漏値房) 혹은 대루치방(待漏値房)은 청대(淸代) 초기 황제가 아침 일찍 일어나 건청문(乾淸門)에서 어문청정(御門請政) 즉 옥좌(玉座)를 설치하고 신하들의 주청(奏請)을 듣거나 조서(詔書)를 내리기도 하는 일을 하는데, 신하들은 일찍 도착하여 건청문 밖에서 황제에게 주청하기 위해 대기하던 곳입니다.

 

                                                                                                          <참고사진>

주사대루치소(奏事待漏値房) 혹은 대루치방(待漏値房)이 정면 5칸임을 빗대어 '오칸방(五間房)'이라고도 부릅니다.

 

 

군기처(軍機處)의 군기대신치방(軍機大臣値房), 군기장경치방(軍機章京値房)

 

 

군기대신치방(軍機大臣値房), 군기장경치방(軍機章京値房) 위치<참고사진>

 

  군기처(軍機處)의 군기대신치방(軍機大臣値房) 및 군기장경치방(軍機章京値房) 위치 <google참고사진> 

 

 

                                                                                                                           <참고사진>

군기처(軍機處) 안에 군기대신치방(軍機大臣値房)을 융종문 안 북쪽에 두고, 군기장경치방(軍機章京値房)을 융종문 안 남쪽에 두었습니다. 군기처는 선통(宣統)3년(1911) 4월 책임내각(責任內閣)이 성립되면서 폐지되었습니다.

 

군기대신치방(軍機大臣値房)             

                 

                                  군기처(軍機處)의 군기대신치방(軍機大臣値房)  <참고사진>

 

12칸 크기의 융종문(隆宗門) 옆 판방(板房)인 군기대신치방(軍機大臣値房)은  후3궁(後三宮) 관리대신의 사무실, 숙직실, 군기처 등으로 사용 했습니다.

       

                                                                                                                                  <참고사진>

군기처(軍機處)는 청나라의 5대 황제인 옹정(雍正, 재위 1723~1738)이 군사에 관한 일을 적시에 신속하게 처리하고자 침궁(寢宮) 근처인 이곳에 설치한 것으로 황권을 강화하는데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군기처 입구 <참고사진>

 

옹정(雍正) 년간에는 몽고의 준가르 부족과의 전쟁에 관련된 군사보고가 많았지만, 내각사무처의 위치가 태화문 밖에 있었기에 군사기밀을 유지하거나 황제가 신속히 명령을 내리는 것이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옹정(雍正)7년(1729) 서북지역에 군대를 동원할 일이 생기자 군기방(軍機房)를 신설했습니다.

 

  

                                                                                                                               <참고사진>

건륭제(乾隆帝) 즉위 후 군기방(軍機房)을 '총리처(總理處)'로 이름을 바꾸었으며, 옹정(雍正)10년(1732)에는 판리군기처(辦理軍機處)로 이름을 다시 바꾸고, 군기처(軍機處)라 줄여 불렀습니다.

 

    

내부 모습 <참고사진>

 

군기처(軍機處)의 군기대신(軍機大臣)은 내각의 대학사(大學士), 육부상서(六部尙書), 시랑(侍郞) 중에서 특별히 선발하는 사람으로 만주 귀족이 많았습니다. 

 

황제에 관한 일을 위해 사용되는 문방사보(文房四寶) <참고사진>

 

수석 군기대신을 '영반(領班)'이라 하고, 그 밖에 경력과 지위에 따라 군기대신, 군기대신 상행주(上行走) 등이 있었습니다. 군기대신의 정원은 없었으며 많을 때도 6~7명 정도 였습니다.

 

 

군기장경치방(軍機章京値房)

 

 

군기장경치방(軍機章京値房) <참고사진>

 

       군기대신(軍機大臣) 밑에는 군기장경(軍機章京)을 두었으며, 이들이 사무를 보던 곳입니다.

 

 

군기장경치방(軍機章京値房) <참고사진>

 

군기장경치방(軍機章京値房)에는 만주족(滿州族)과 한족(漢族) 2반(班) 각 8명이 조서(詔書) 쓰기, 서류기재, 상주문(上奏文) 심사 같은 사무를 담당하였습니다. 

  

군기장경치방 옆 우물  <참고사진>

 

 

 

 

 

 

                                      건청문광장(乾淸門廣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