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와 여행(해외)/중국(북경-자금성)

中國(北京) - 중화전(中和殿)/자금성 외조(外朝)

케인스 2012. 3. 23. 01:38

 

                                       화전(中和殿)

 

 

    중국 북경(北京) / 자금성, 외조(外朝)의 전삼전(前三殿) 지

 

          

중우문(中右門)을 통해 중(中和殿)으로

 

 

                       

                                                                                                       <google참고사진>  

                    태화전(太和殿) 서쪽에 있는 중우문(中右門)통하여 중전(中和殿)으로...

                

                                                      뒤돌아본 중우문(中右門)  <참고사진>

 

    

                                                          중화전(中和殿)  <참고사진>

 

                              중우문(中右門)을 지나 중화전(中和殿) 3층 기단을 오릅니다.

 

                                    중화전(中和殿)  앞에서 본 태화전(太和殿)의 뒷모습  <참고사진>

  

 

☞  중화전(中和殿)  

 

 

 

중화전(中和殿) 위치 <참고사진>

 

                              

                                                   전(中和殿) 위치 <google참고사진> 

 

   외조(外朝)의 3대전(三大殿) 중 하나이며 태화전(太和殿)과 보화전(保和殿) 중간에 위치 합니다.

    

                

                                                             중화전(中和殿)  <참고사진>

 

명(明) 영락(永樂)18년(1420)에 최초로 축조되었고, 명 초기의 명칭은 '화개전(華盖殿)'이었으나 가정(嘉靖)시기[1522~1566]에 화재로 소실되었습니다. 명(明) 가정41년(1562)에 '중극전(中極殿)'으로 개칭하였으며, 청(淸) 순치(順治)2년(1645)에 '중화전(中和殿)'으로 바꿔 부르게 되었습니다. 현재의 건물은 명(明) 천계(天啓)7년(1627) 중건 후의 모습입니다.

  

                                                                중화전 현판

 

중화(中和)’는 예기(禮記)와 중용(中庸)에서 따온 것으로 중(中)은 천하의 근본으로 치우침이 없는 것을 이름이요, 화(화)란 천하의 도리로써 온순하고 조화를 잘 이루는 것을 말하는 것이기에 "극단을 멀리하고 자신을 통제할 수 있으면 반드시 조화를 이룰 수 있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중화전(中和殿)  <참고사진> 

 

명(明), 청(淸)대 태화전(太和殿)에서 거행하는 여러 의식에 참여하는 황제(皇帝)가 태화전으로 나아가기 전 휴식하며 예부 및 의식을 집전하는 집사관들의 알현을 받던 곳입니다. 또한 황제가 천단,지단 등의 제사를 올리러 가기 하루 전 축문(祝文)을 살피기도 하였으며, 매년 2월 선농단(先農壇)에서 행해지는 친경(親耕)의식을 앞두고 황제가 직접 농기구와 종자를 살피는 행사도 이곳에서 진행되었습니다. 또한 이곳에서는 황태후에게 올릴 휘호(徽號)를 쓰는 것을 살피기도 하였습니다. 

 

옥첩(玉牒)

 

청대(淸代)에는 매 10년마다 한 번씩 황가의 족보인 옥첩(玉牒)을 편찬할 때 황제의 열람의식을 거행하는 곳이기도 합니다. 

 

                                                  

                   중화전은 황제가 개별적으로 대신들이나 외국사절을 만나기도 한 곳입니다.

 

                                     강세황(姜世晃)이 그린 자신의 초상화(1782) <참고사진>

 

조선의 문인화가 표암(豹菴) 강세황(姜世晃:1713~1791)이 연행사의 부사로 자금성에 갔을 때(1784) 청(淸 )건륭제(乾隆帝) 앞에서 그림을 그려 격찬을 받은적이 있습니다.

 

           

                                                광서제(光緖帝) <참고사진>

 

청나라 말기 광서제(光緖帝)는 19세기 말 청일전쟁에 패하자 전통적인 정치체제와 교육제도의 개혁이 필요함을 깨닫고, 변법자강운동(變法自彊運動)을 펼쳤으나, 서태후(西皇后)의 세력에 의해 실패하고 이곳에 유폐된바 있습니다.

                              

                                      

                                                                3층 기단 위의 중화전(中和殿)  <참고사진>

 

       중화전(中和殿)은 태화전(太和殿), 보화전(保和殿)과 같은 3층 기단 위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중화전(中和殿)  <참고사진> 

 

높이 27m, 한 변이 약 28m의 정방형 단층4각모임지붕 건물로 지붕의 선이 간결하고 아름답습니다.  정면 5칸, 측면 5칸, 지붕에는 황유리기와를 얹었습니다.

 

보정(寶頂)  <참고사진>

 

사각지붕 중앙에는 동(銅) 재질에 금도금을 한 보정(寶頂)이 있습니다. 이 유금보정(鎏金寶頂)에는 용(龍)이 조각되어 있습니다.

 

         

 

중화전의 남쪽과 북쪽에는 각 3개의 계단이 있고, 동쪽과 서쪽에는 각 1개씩의 계단이 있습니다. 남과 북쪽 계단 3개 중 가운데 계단 사이에는 운용문(雲龍紋)이 조각된 답도(踏道)가 있습니다.

 

                                                                 답도(踏道)  <참고사진>

 

답도(踏道)의 가장자리에는 권초문(卷草紋, 당초문)이 엷게 조각되어 있습니다. 단폐석(丹陛石) 이라고도 칭합니다.

 

 태화전과 같은 꽃살문  <참고사진>

 

                                      화전(中和殿)의 8개의 척수(脊獸)  <참고사진>

 

                            

                                                    화전(中和殿) 내부 관람  <참고사진>

   

                                                        중화전(中和殿) 내부  <참고사진>


옥좌 뒤 2단의 금칠된 병풍은 아래는 봉황, 윗단에는 용이 조각되어 있습니다. 바닥에는 벽돌 바닥재인 금전(金磚)을 깔았으며, 보좌 앞에 향정(香鼎)을 놓고, 향정 안에는 단향목(檀香木)을 사릅니다.

 

녹단(甪端) <참고사진>

 

보좌 양쪽으로는 '홍라탄(紅萝炭)'이라고 하는 목탄(木炭)을 피우는 동훈로(銅薰爐)와 상상 속의 신수(神兽) 녹단(甪端)이 있는데, 전설에 따르면 신수는 하루에 18,000리를 달리고 사방 각 언어에 능통하며, 아무리 먼 곳에서 일어난 일이라도 알고 있고, 성품이 충직하여 황제가 나라를 잘 다스려 안정시키는 것을 도왔다고 합니다.

 

                       

                                      교자(轎子)를 타고있는 서태후(西太后) <참고사진>

 

뜰 양 쪽엔 속칭 '교자(轎子)'라고 하는 황제용가마 견여[皇帝御用肩舆]를 배치해 둡니다. 황제는 중화전에서 8인용 교자(轎子)를 타고 태화전으로 나아갔으며, 의식이 끝나면 다시 중화전에 돌아와 잠시 쉰 후에 가마를 타고 후궁(後宮)으로 돌아갑니다.

 

                                        윤집궐중(允執厥中) <참고사진>

 

건륭황제가 쓴 친필 편액입니다. '윤집궐중(允執厥中)' 이란 "집중해서 진실로 중도를 지켜라" 라는 의미로 "정성과 진심으로 공정한 길을 가야만 나라를 잘 다스릴수 있다"는 뜻입니다. 

 

                

                                                         보화전(保和殿)으로..

 

 

 

 

 

 

                                                  화전(中和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