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와 여행(해외)/중국(북경-자금성)

中國(北京) - 태화전(太和殿)/자금성 외조(外朝)

케인스 2012. 3. 21. 15:24

 

 

                                                태화전(太和殿)

 

 

    중국 북경(北京) / 자금성, 외조(外朝)의 전삼전(前三殿) 지

 

 

☞  삼대전(三大殿)/전삼전(前三殿)  

 

        

삼대전(三大殿)/전삼전(前三殿) 위치 <참고사진>

 

                                                 삼대전(三大殿)  <google참고사진> 

 

                           

                                                      삼대전(三大殿)  <참고사진>

 

3층의 기단 위에 남쪽으로부터 태화전, 중화전, 보화전의 순서로 나란히 서 있는 이 3개의 궁전을 삼대전(三大殿) 이라 부릅니다.

                       

                   동일한 3층 기단위 일직선 상에 위치하고 있는 3대전(三大殿) <참고사진>

 

                                                        

 

土(토) 자 위에 3개의 전(殿)이 들어선 모양으로 음양오행설에 입각해 만들었다고 하며, 모든 건축이나 계단이 다 홀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흙[土]은 황토색을 나타내어 음양의 중심이며, 붉은 담벼락에 노란색 지붕은 천자의 상징입니다.

 

 

☞  태화전(太和殿)

 

 

태화전(太和殿) 위치 <참고사진>

 

                       

                                                      태화전(太和殿)  <google참고사진> 

 

   

                                                      태화전(太華殿) 위치도  <참고사진>

 

          태화전은 자금성의 정전(正殿) 답게 남북 주축선 상의 주요 위치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자금성(紫禁城)의 정전(正殿) 태화전(太華殿)  <참고사진>

 

태화전은 명(明) 영락(永樂)18년(1420)에 건설하여 '봉천전(奉天殿)'으로 불렀습니다. 가정(嘉靖)41년(1562) '황극전(皇極殿)'으로 개칭하고, 청(淸) 순치(順治)2년(1645) 현재의 '태화전(太和殿)'으로 부르게 되었으며 "금란전(金銮殿)" 또는 "금란보전(金銮寶殿)" 이라는 별칭도 가지고 있습니다. 여러차례 화재를 당하였고 또한 여러번 중건하였는데, 지금의 태화전은 청(淸) 강희(康熙)34년(1695) 중건 이후의 모습입니다.

    

    

                       태화전(太華殿)과 중우문(中右門) 그리고 중좌문(中左門)  <참고사진>

 

동서 63.96m,  남북37.17m, 높이35.05m(3층기단높이 8.13m포함),  면적2,377㎡(약720평)의 태화전은 백옥석(白玉石/흰대리석) 으로 만든 3층의 기단 위에 놓여있고, 자금성 내 최대 규모의 전각으로 정면11칸, 측면 5칸 건물입니다. 지붕은 황색 유리기와로 되어있으며 72개의 기둥이 6열로 지붕을 떠받치고 있으며, 외관과 내부 모두 붉은색으로 칠해져 있습니다.

 

                                                

                                                         태화전 현판  <참고사진>

 

"태화(太和)"란 주역(周易)에서 따온 말로 우주간의 일체 사물의 상호관계가 조화를 이룬다는 뜻으로 천지만물이 지극히 조화를 이룬 상태를 의미합니다.

 

                                          태화전(太和殿) <참고사진>

 

태화전은 명(明),청(淸) 양시대 국가의 중요하고 경사스러운 의식을 행하던 장소로서 명(明), 청(淸)대 24명의 황제들이 이곳에서 즉위, 결혼, 황후책립, 군사출정, 그외 새해와 동지의 제사, 만수절(萬壽節: 황제의 생일)이나 황태자의 탄생 축하, 장원급제 발표 등 국가적 행사를 이곳에서 거행하였습니다. 또한 황제가 문무관원들로부터 조하를 받고 왕공대신들에게 연회를 베풀기도 하였으며, 청초(淸初)에는 과거시험인 전시(殿試)를 이곳에서 보기도 하였습니다. 연회 때에는 실내에 108개, 실외에 176개의 식탁을 차려 놓을 수 있었다고 합니다.

     

                               태화전에서의 광서제 대혼도(光緖帝大婚圖)  <참고사진>

 

금, 은, 비단, 말 등 준비된 각종 예물을 갖고 황후를 모시러 가기 위한 혼례단의 출발 직전 모습.   

 

                               태화전에서의 광서제 대혼도(光緖帝大婚圖)  <참고사진>

 

혼례단과 함께 입성하는 황후를 영접하기 위해 대기중인 모습의 그림과 같이 공식 행사에는 산(傘), 개(盖), 기(旗), 과(瓜), 부(釜), 월(鉞), 단선(團扇) 등과 같은 의장구가 진열되고 문무 백관은  계급에 따라 양쪽에 자리하고, 각국 사절들도 지정된 위치에서 행사를 치렀습니다.

  

    

                            황제만이 다닐 수 있는 태화전(太和殿) 어로(御路)  <참고사진>  

 

태화전(太和殿)의 기단(基壇) <참고사진>

 

태화전의 기단은 황제의 황궁만이 가질 수 있는 최고 등급에 속하는 화려한 구조물로서 한백옥석(漢白玉石/흰대리석)으로 세워진 높이8.13m의 3층 기단 입니다.

 

      

                                                                 망주(望柱)

 

기단(基壇) 용(龍)과 봉황(鳳凰)이 교대로 조각되어 있는 1,488개의 망주(望柱: 기둥석)로 둘러 있습니다.

 

                                               태화전(太和殿)의 3층 기단(基壇)

 

삼대전의 주위를 돌아가며 난간을 설치하였으며 난간 아래에는 배수용 석조용두(石雕龍頭)가 있는데 이수(螭首)라고 부릅니다. 우기에 비가오면 1,142마리의 용의 입에서 일제히 물을 토해내는 장관이 펼쳐집니다. 이를 '천용토수(千龍吐水)'라고 이릅니다.

 

                             

                                                 석조용두(石雕龍頭),  이수(螭首)

 

       

                                       태화전 답도(踏道)의 반룡(磻龍) 조각 <참고사진>

 

삼대전(三大殿) 기단 전후에는 3좌의 돌계단이 있고, 어로(御路)인 중간계단 사이 커다란 어로석(御路石)에 반룡(磻龍)과 파도 및 구름 문양이 조각되어 있는데, 쌍용이 여의주 희롱하고 있는 모습의 답도(踏道) 입니다. 여의주는 상서(祥瑞)로움을 나타내고, 쌍용 중 한마리는 천제(天帝)를 의미하며, 또다른 한마리는 제왕(帝王)을 의미 하는데, 제왕은 하늘의 명(命)을 받아 나라가 평화롭고 백성을 편안하게 한다는 뜻을 나타낸 것입니다. 답도(踏道)를 또한 답타(踏跺), 단폐석(丹陛石) 이라고도 칭합니다.

 

                                  

                                                                                                  <참고사진>

                       아래쪽 산과 바다의 조각은 국토의 영원함과 확고함을 나타낸것입니다. 

  

      

                                       화전(太和殿)의 기단(基壇)과 월대(月臺)  <참고사진>

 

태화전의 앞에는 넓고 평평한 월대(月臺)가 있으며, 월대 위에는 일구(日晷: 해시계)와 가량(嘉量: 표준계량기)이 하나씩 있고, 동구(銅龜: 청동거북)와 동학(銅鶴: 청동학) 각 한쌍이 서로 마주 대하고 있으며 동정(銅鼎: 청동향로)이 18개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일구와 가량은 황권의 상징으로서 정확함과 공평함을 뜻하며 황제의 공명정대한 정치를 나타내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거북과 학은 장수를 상징하여 강산이 만대까지 유구함을 의미합니다. 18개의 대형 청동향로는 청나라 때 전국 18개 행정구역[省]을 상징하는 것입니다. 한편 월대(月臺)를 단폐(丹陛)라고도 합니다.

 

                                           

                                                      가량(嘉量)  <참고사진>                                        

 

대리석으로 만든 석정(石亭)의 창속에 주조된 중국의 고대 계량도구인 가량(嘉量)이 있습니다. 가량은 용량 단위를 표시하는 기구로서 휘(解, 10말), 두(斗, 말), 승(升, 되), 합(合, 홉), 약(龠, 반홉) 등 고대의 표준량기(標準量器)인 다섯 등급의 용량 단위를 새겨 놓고 있습니다.  

 

일구(日晷)  <참고사진>

 

해시계인 일구(日晷)는 자금성이 북위 40도에 위치함에 따라 청석질(靑石質)의 둥근 돌 시계판을 40도 각도로 기울여서 고정시켜 놓고 그 중심에 구리로 만든 바늘대를 수직으로 꽂아 만들었습니다. 바늘대의 주위에는 시간 표시금이 그어져 있고 12지(支)가 새겨져 있어 해가 움직임에 따라 바늘대가 시간 표시금에 그림자를 드리움으로써 시간을 나타내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황제는 정확한 시간을 세상에 알려야 할 책무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해시계는 나라가 관리하는 중요한 기기 중의 하나였습니다. 

 

        

                                                      동구(銅龜)와 동학(銅鶴)  <참고사진>

 

 기단 위에는 동(銅)으로 만든 거북[龜]과 학(鶴)이 한쌍씩 놓여 있는데  장수를 상징하고 있습니다.

 

      

                                                동정(銅鼎: 청동향로) <참고사진>

 

18개의 대형 청동향로는 청나라 때 전국 18개 행정구역[省]을 상징합니다. 청동향로의 석대좌 윗면에 구름 속에서 노는 용을 조각하였으며 옆면에는 격자문처럼 보이는 회문과 운룡문, 여의두문 등을 조각 하였다. 행사 때 마다 단향(檀香)과 송지(松枝)를 태웠다고 합니다.

 

 

 

 

                                                  유금동항(流金銅缸) <참고사진>

 

태화전, 보화전, 건청문 좌우에는 개당 200냥의 금으로 도금된 청동 물항아리 30여개가 배치되어 있었는데, 1900년 8개국 연합군의 북경 침공시 금만 전부 벗겨가고, 현재는 긁힌 자국만이 남아있습니다.

 

                                                 화전(太和殿)의 척수(脊獸)  <참고사진>

 

척수(脊獸)를 지붕의 추녀마루에 두면 화재를 예방한다는 속설이 있습니다. 앞에서 부터 선인기봉(仙人騎鳳: 봉황을 탄 신선), 용(龍), 봉황(鳳凰), 사자(獅子), 해마(海馬), 천마(天馬), 압어(押魚: 비늘 가진 짐승), 산예(狻猊: 용의 여덟째 아들),  해치(獬豸: 선악을 가릴줄 아는 동물), 두우(斗牛: 이무기와 닮고 뿔이 두개고 물을 좋아함), 행십(行什: 원숭이를 닮은 동물)으로 부릅니다. 척수는 그 크기와 개수에 따라 건축물의 등급과 서열을 나타내는데 태화전에 11개, 건청궁에 9개, 교태전에 7개가 있으며, 동서육궁에 각 5개씩 두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를 잡상(雜像)이라 부르며 벽사(僻邪)의 기능을 한다고 믿었는데 중국과는 그 모양과 명칭이 다릅니다.

  

                                                           태화전 내부 감상  <참고사진>         

                                                                 

                  

                                                   금칠로 장식된 태화전 판문  <참고사진>  

 

  태화전의 내부 <참고사진>

 

태화전 내부의 72개의 기둥 중 중앙 보좌(寶座) 양측의 직경 1m짜리의 6개 기둥은 용이 기둥을 휘감고 승천하는 모습을 조각하고 금박을 입혀 이를 '반룡금칠대주/반룡금주(蟠龙金漆大柱/蟠龙金柱)' 라고 합니다. 나머지 기둥에는 부식방지를 위해 붉은 옷칠을 하였으며, 이렇게 모든 내부 장식이 매우 호화스럽게 꾸며져 있습니다. 

 

          

                                            금전(金磚) <참고사진>

 

전내의 바닥에는 벽돌 바닥재인 금전(金磚: 0.62m×0.62m)이 깔려 있는데, 이는 소주(蘇州)지방에서 진흙과 유동나무 기름을 이용하여 만들어 불에 굽고 그림 무늬를 넣어 특수 제작한 것이라고 합니다.

 

                                                        태화전의 내부  <참고사진>

 

기둥들 사이 중앙에는 2m 높이의 대리석 계단인 "수미단(須彌壇)"(우주의 중심을 상징하는 단)이 있고 그 위에 아홉 마리 황금 용이 새겨진 보좌(寶座) 가 있습니다. 그 위쪽의 “건극수유(建極綏猷)” 편액은 건륭황제의 친필을 복제한 것입니다.  

 

                                                       건극수유(建極綏猷)  <참고사진>

 

건극수유(建極綏猷)”란 천자는 위로는 하늘의 뜻을 따르고 아래로는 민의를 따라야 한다는 의미로 "제왕은 나라를 세워 잘 통치하여야 하며, 백성에 대한 책임을 져야한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최고황권의 상징 보좌(寶座) <참고사진>

 

보좌(寶座) 뒤에는 금칠한 병풍이 있고, 옆에는 향을 태우던 코끼리 모양의 향로가 있는데 코끼리 뱃속에는 풍년을 상징하는 오곡이 들어 있습니다.

 

                 

                                                           보좌(寶座)  <참고사진>

 

수미(須彌座) 자리에 앉은 보좌(寶座)의 등받이에는 진주와 금으로 도금한 아홉마리의 용(龍) 문양이 새겨져 있습니다. 이것은 황제가 신의 아들이거나 용의 아들이라는 믿음 때문이라 합니다

 

                         

                                                             보좌 앞 장식품  <참고사진>

 

보좌 앞 양쪽으로는 보상(寶象: 진귀한 코끼리), 녹단(甪端: 진리 만을 취하는 길상의 동물), 선학(仙鹤), 그리고 향정(香亭), 네가지의 장식을 서로 대칭되게 놓아 두었습니다. 보석으로 치장한 보상(寶象)은 높고 크고 위엄을 나타내기에 국가의 안정과 권력의 공고함을 상징하며, 녹단(甪端)은 전설 속의 상서로운 동물이며, 선학은 장수(長壽)를 상징합니다. 

 

                                               

                                     상상 속의 신수(神兽) 녹단(甪端)의 모양  <참고사진>

 

                                            보좌 양쪽으로 보상(寶象)과 녹단(甪端)  <참고사진> 

 

조정(藻井)  <참고사진>

 

천장 중앙 부분에 "조정"(藻井,소란반자)이라고 하는 장식 천장은 위쪽은 원형을 아래쪽은 방형을 띄고 있으며, 상,중,하의 세 부분으로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 앞부분 아랫층은 방형으로 직경 5.94m, 높이 57cm이고, 중간층은 아래 방형과 겹쳐 보여 팔각형으로 보이며 직경 3.2m, 높이 57cm이고, 상층은 원형으로 직경 3.2m, 높이 72.2cm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참고사진>

천장의 조정(藻井) 중앙 명경(明鏡) 부위에는 봉황에 둘러싸인 2 마리의 금빛 용(용과 봉황이 결합하면 천하무적이라고 함)이 입에 큰 보주(寶珠)를 물고 용틀임하고 있습니다. 이 보주는 자금성 내에 남아 있는 보물 가운데 가장 진귀한 것 중 하나로 "헌원경"(軒轅鏡)이라고도 하는데, 천제가 사는 자미궁의 170개 별 중 한 별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황제의 정통성을 나타내며, 벼락으로부터 옥좌를 보호하는 의미도 갖고 있습니다.

 

태화전 천장의 천화(天花)  <참고사진>

 

태화전 내부 단청 <참고사진>

 

유금두공(溜金斗栱) <참고사진>

   

   

                                        올림픽 준비를 위해 공사중인 태화전(太和殿)

 

 

중좌문(中左門)과 중우문(中右門)

 

 

                   

                                        중좌문(中左門)과 중우문(中右門) 위치 <참고사진>

 

                                    

                                    중좌문(中左門)과 중우문(中右門) 위치  <google참고사진> 

 

    

                           태화전(太和殿) 좌, 우의 중좌문(中左門)과 중우문(中右門)  <참고사진>

 

                                                             중좌문(中左門)  <참고사진>

 

                                                    중좌문(中左門)현판 <참고사진>

 

        중우문(中右門)  <참고사진>

 

중우문(中右門)은 중좌문(中左門)과 함께 태화전의 서, 동쪽에 위치하며, 태화전에서 중화전으로 가기위해 거쳐야 하는 문입니다.

 

            

                                 중우문(中右門)현판                          중우문 좌,우의 석대(石臺)

 

 

 

 

 

 

 

 

                                                   태화전(太和殿)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