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와 여행(해외)/중국(북경-자금성)

中國(北京) - 보화전(保和殿)/자금성 외조(外朝)

케인스 2012. 3. 24. 01:24

 

 

                                       화전(保和殿)

 

 

    중국 북경(北京) / 자금성, 외조(外朝)의 전삼전(前三殿) 지

 

 

☞  보화전(保和殿) 

 

 

보화전(保和殿) 위치 <참고사진> 

 

                         

                                        전(保和殿) 위치 <google참고사진> 

 

 

보화전(保和殿) <참고사진> 

 

보화전(保和殿)은 명(明) 영락(永樂)18년(1420)에 세워졌으며, 명 초기의 명칭은 '근신전(謹身殿)'이었으나 가정제(嘉靖帝)시기에 화재로 소실되었습니다. 명 가정41년(1562) 건물을 다시 세우고 '건극전(建極殿)'으로 개칭하였습니다.

 

         

                                                                                                                     <참고사진> 

청(淸) 순치(順治)2년(1645) 보화전(保和殿)으로 개칭하였으며, 청(淸) 건륭년간(1736~1795)에 중수하였습니다. 

 

보화전 현판 <참고사진>  

 

‘보화(保和)’라는 용어는 역경(易經)에서 따온  것으로 우주(宇宙)간 만물의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참고사진> 

명(明)과 청(淸) 양대 보화전(保和殿)의 용도는 같지 않았는데, 명대(明代)에는 큰 의식을 치르기 전 황제가 의복을 갈아입던 장소로 사용되었으며, 황후나 황태자의 책립도 이곳에서 이루어졌습니다.

 

연회(宴會)의 한 장면 <참고사진> 

 

청대(淸代)에는 매년 제석(除夕), 음력1월15일에 황제가 소수민족의 왕공과 대신들을 초대하여 연회(宴會)를 베풀었으며, 공주가 시집갈 때 부마와 3품 이상 관원에게 연회를 베풀기도 하였습니다.

 

전시(殿試) 모습 재현 <참고사진> 

 

          또한 이곳에서 18세기 후반부터는 과거(科擧)의 최종 시험인 전시(殿試)가 열렸습니다.

 

                      

                                             만한전석(滿漢全席) <참고사진> 

 

보화전(保和殿)에서의 연회는 "만한전석(滿漢全席)"이라하여 만주족과 한족의 최고요리가 차려졌습니다.

 

                                                                                                          <참고사진> 

한편, 청초(淸初)시기에는 내정(內廷) 후삼궁(後三宮)의 수리로 순치제(順治帝)가 순치3년(1646)부터 13년(1656)까지 보화전(保和殿)에서 거주하였는데 그때 이름을 '위육궁(位育宮)'이라 하였습니다.

 

순치제(順治帝) <참고사진> 

 

                                     순치제의 혼례(婚禮)도 이곳에서 치루었습니다.

 

강희제(康熙帝) <참고사진> 

 

또한 강희제(康熙帝)도 마찬가지로 강희 즉위부터 강희8년(1669)까지 이곳에서 거주하였으며 그때 이름은 '청녕궁(淸寧宮)'이라 불렀습니다.

 

                                                                                                         <참고사진> 

보화전은 황유리기와를 얹은 2층팔작지붕의 장방형 건물로 정면9칸(약50m), 측면 5칸(약20m), 높이 29.5m, 면적 1,240㎡ (약 375평) 규모의 건물입니다. 정면 중앙 5칸은 출입문이 달려있고 양측면 2칸씩은 창호로 되어있으며, 양측면은 벽으로, 뒷문은 중앙 3칸을 제외하고 전부벽으로 처리하였습니다. 

 

                                                             보화전(保和殿) <참고사진>  

 

태화전, 중화전, 보화전은 3층의 기단으로 모두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 기단 위에는 1,142개의 망주(望柱)가 있고 망주 밑에는 배수용 석조용두(石雕龍頭)가 있습니다.

   

 

   보화전(保和殿)의 척수(脊獸) <참고사진> 

 

                                                              주춧돌 <참고사진> 

 

                                 우리나라의 화강암과는 달리 대리석을 사용하였습니다.

                           

                                                보화전 앞쪽의 답도(踏道) <참고사진> 

 

 

                                                 보화전 옆 유금동항(流金銅缸) <참고사진>  

 

태화전의 것과 마찬가지로 방화수(防火水)를 저장하였으며, 200냥의 금으로 입혀졌고 무게는 약 2.5톤에 달한다고 합니다.

 

  

                             손잡이 장식                   <참고사진>     겨울철 결빙(結氷) 방지 화구(火口)

 

 

        

                                                       보화전 내부 감상  <참고사진>

 

                                                        보화전(保和殿) 내부 <참고사진> 

 

보화전(保和殿) 중앙에는 보대(寶臺)를 설치하고, 그 위에는 금칠용문병풍과 보좌(寶座)를 두었습니다. 보좌 위쪽에는 건륭제(乾隆帝)가 친히 쓴 편액이 걸려 있고, 보좌 뒤 벽면에는 금빛 운룡도가 그려져 있습니다. 또한 전각 내에는 특수 기법을 활용하여 전면의 기둥을 없앰으로써 넓은 내부공간을 확보하고 있는 점이 특이합니다.

 

                                              황건유극(皇建有極) <참고사진> 

 

황건유극(皇建有極)이란 건륭제(乾隆帝)의 친필 편액이 걸려 있는데, "천하를 다스리는 최고의 준칙은 천자가 결정한다"는 뜻으로 황권을 강조하는 의미가 담겨져 있습니다.  

 

                                                                                                                                 <참고사진> 

역시 바닥에는 벽돌 바닥재인 금전(金磚)을 깔았으며, 보좌 앞에 향정(香亭)을 놓고, 보좌 양쪽으로는 동훈로(銅薰爐),  녹단(甪端)을 배치하고 있습니다.   

 

                                                보화전 천장의 천화(天花)  <참고사진> 

 

    

후좌문(後左門)과 후우문(後右門)

 

 

후좌문(後左門)과 후우문(後右門)  위치 <참고사진>

      

                            

                                    후좌문(後左門)과 후우문(後右門) 위치  <google참고사진> 

 

                                                                        후좌문(後左門) <참고사진> 

 

                                                                    후좌문(後左門) 현판 <참고사진> 

 

                                                       후우문(後右門) <참고사진> 

 

                                                   후우문(後右門) 현판 <참고사진> 

 

      후우문(後右門)에서 본 중화전 서쪽의 서각(西閣: 현재 역대예술관)과 중우문(中右門) <참고사진> 

 

 

숭루(崇樓) 

 

 

숭루(崇樓) 위치 <참고사진> 

 

                                  

                                          숭루(崇樓) 위치 <google참고사진> 

 

숭루(崇樓) <참고사진> 

 

숭루(崇樓)는 자금성 삼대전(三大殿)의 네군데 사방 구석에 사각 형태의 건물로 폐쇄되어 있어 내부가 어둡습니다. 청대(淸代)에는 내무부(內務府)의 창고방으로 사용하였습니다.  

 

    

                                                태화문 서쪽의 숭루(崇樓) <참고사진>  

 

 

곁문을 통해 보화전 뒤쪽으로

 

 

                     좌측으로 보이는 보화전 서쪽 곁문을 통하여 보화전 뒤로 이동 <참고사진> 

 

보화전 서쪽 곁문 <참고사진> 

 

                                     보화전 서쪽 곁문을 통해 보화전 뒤쪽으로... <참고사진> 

 

                                   보화전(保和殿)의 뒤 벽면에 새겨진 꽃 문양 <참고사진> 

 

 

                                               뒤에서 본 보화전(保和殿) <참고사진> 

 

 

대석조(大石雕)

 

 

대석조(大石雕) 위치 <참고사진> 

 

                                  

                                                  대석조(大石雕)위치  <google참고사진> 

 

 

                                             보화전 뒤의 운용대석조(雲龍大石雕) <참고사진> 

 

보화전 뒤 계단 중앙에는 하나의 커다란 돌 덩어리에 구름, 9마리의 용, 해수(海水),산애(山厓) 등이 조각되어 있는 어로석(御路石)인 답도(踏道)가 있는데, 이를 운룡석조(雲龍石雕) 도는 운룡대석조(雲龍大石雕)라 부르고 있습니다.

 

                                                                                                          <참고사진> 

9마리의 용이 구름, 바다,산들 사이를 유유히 나르며 여의주를 희롱하는 모습을 새긴 운용석조는 명초에 새긴 것인데 청나라 건륭황제가 이 문양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 하여 0.38cm를 깍아내고 새로 조각한 것이라 합니다. 아마도 이때 깍아낸 돌의 무게까지 합치면 돌 전체의 무게는 300톤이 넘었을 것으로 보고있습니다.

 

           

                                                    운룡대석조(雲龍大石雕) <참고사진> 

 

운룡석조는 길이 16.57m, 폭 3.07m, 두께 1.7m, 무게 200여t의 큰 애청석(艾靑石)으로 만들어졌으며 자금성에서 제일 큰 돌조각입니다.

 

                            

                                                            대석조(大石雕) <참고사진> 

 

명나라 기록에는 이 돌은 북경에서 100여리 떨어진 서쪽의 방산(房山)석굴에서 나온 것으로 석굴 밖으로 끌어내기까지 1만 여명의 민간인과 6천여명의 군졸이 투입되었습니다.

 

           

                                                무게 200여톤

 

무게 200여톤의 돌을 다시 자금성까지 옮기기 위하여 길을 닦고, 동원된 민간인의 식수를 위해 1리(里, 중국의 1리는 500m)마다 우물을 팠으며, 겨울이 오기를 기다렸다가 물을 퍼올려 얼음길을 만들었는데, 이에 동원된 민간인이 수만을 헤아렸습니다.

 

 

이 얼음길을 통해 돌을 끌어 오는 데는 또다시 5만여 명의 민간인과 1천여마리의 노새가 소요됨으로써 운룡석조(雲龍石雕) 하나를 완성하는데 모두 10만 여명을 헤아리는 인력에 백은(白銀) 11만 냥의 비용이 들어 갔다고 전합니다.

           

                                                     보화전 뒷면과 대석조(大石雕) <참고사진> 

 

 

 

▶ 건청문광장(乾淸門廣場)으로..

 

 

 

 

 

                                         화전(保和殿)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