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와 여행(해외)/중국(북경-자금성)

中國(北京) - 오문(午門)/자금성 정문

케인스 2012. 1. 11. 21:32

 

                                                       오문(午門)

 

 

    중국 북경(北京) / 자금성(紫禁城) 정문, 자금성(紫禁城) 지역

 

      

☞  (午門) 

 

 

오문(午門) 위치 <참고사진>

 

                                               오문(午門) 항공사진  <google자료사진> 

                                                        

                                                                                                  <참고사진>

          

          

                                           'ㄷ'자형으로 이루어진 오문(午門) <참고사진>

 

      

                                                              오문(午門) 

 

자금성의 정문(正門)에 해당하는 오문(午門)은 명(明 )영락(永樂)18년(1420)에 세워졌으며, 수차례에 걸친 화재로 청(淸) 순치(順治)4년(1647)에 중건된 후, 가경(嘉慶)6년(1801) 보수공사를 하였습니다.

 

                                        오문(午門)의 옛 사진 <참고사진>

 

오문(午門)은 동,서,북 삼면의 성대(城臺)가 서로 연결되어 방형의 광장을 둘러 싸고 있는 형국입니다.북쪽 돈대 위 중앙에는 황색 기와 이중처마의 9칸 문루(門樓)가 있고 그 좌우로 종루(鐘樓)와 고루(鼓樓)가 있습니다.

 

안시루(雁翅樓)와 궐정(闕亭)

 

동, 서 돈대 위에는 각13칸의 긴 건물인 동,서 안시루(雁翅樓)가 자리잡고 있으며, 그 끝에는 각기 이중처마의 사각형 누각인 궐정(闕亭)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1910년의 오문

      

 

                                                     오문(午門) 전경도 <참고사진>

 

오문(午門)은 자금성의 정남(正南) 방향에 있는 남쪽의 대문(大門)이며, 하부 12m 돈대(墩臺)까지 포함하는 총 높이가 37.95m입니다.

 

  

                                                 오문(午門)의 중앙 문루(門樓)

 

중앙에 있는 문루(門樓)는 정면9칸(60.05m), 측면5칸(25m), 황색 유리기와의 중첨무전정(重檐廡殿頂) 형태의 건물입니다.

 

중첨무전정(重檐廡殿頂) 건물

 

전람관으로도 활용하고 있는 문루(門樓)의 내부 모습

 

자금성(紫禁城) 4대문

 

남쪽의 오문(午門)과 함께 자금성의 북쪽에는 신무문(神武門), 동쪽에 동화문(東華門), 서쪽에는 서화문(西華門)이 있습니다.

 

                                                  

                                                  오(午)는 남(南)쪽을 의미합니다.

 

                             

                                                             오문(午門) 현판

 

 

오문(午門) 문루(門樓)에서 본 광장  <참고사진>

 

 

                   

                                           오문(午門)의 5개 문동(門洞)  <참고사진>

 

오문(午門)에는 5개의 문동(門洞: 아치형 통로)이 있고, 중앙의 문[중문(中門) 속칭 어로문(御路門)]은 황제 만이 이용할 수 있는 문이며, 황제외에는 황후가 시집올 때 한 번, 보화전에서 황제의 집전으로 치러지는 전시(展試)에 1, 2, 3등 합격자들이 벼슬길에 오를 때 한 번만 사용이 가능했습니다.  

 

 

            좌문[東門]은 문무대신들이 사용하고 우문[西門]은 종실왕공들이 사용하였습니다.

 

좌액문(左掖門)

 

동, 서 액문(掖門: 곁문)은 평소에는 열지 않았으며, 황제가 태화전에서 중요한 의식을 거행 할 때 문무백관이 양쪽 액문으로 출입하였습니다. 황제 외에는 가마나 말에 올라 오문을 통과할 수 없었기에 걸어서 출입하였습니다.

 

 

 

     

                                 오문(午門) 광장(廣場)에 진열되어 있는 대포(大砲)  <참고사진>

 

      

                                                              오봉루(五鳳樓)  <참고사진>

 

오문(午門) 위에는 5개의 누각이 솟아 있어 그 기세가 웅장하고 아름다우며, 봉황이 날개를 펼친 모양을 닮았다고 하여 '오봉루(五鳳樓)'라 불리기도 합니다. 

 

          

                                                     종루(鐘樓)와 고루(鼓樓)  <참고사진>

 

중앙의 성루(城樓) 양 옆의 누각은 종루(鐘樓)와 고루(鼓樓)입니다. 황제가 천단(天壇), 지단(地壇), 사직단(社稷壇) 에 제사 지내러 갈 때는 종을 울리고, 태묘(太廟)에 제사 지내러 갈 때는 북을 쳤으며, 나라의 큰 의식을 행할 때는 종과 북을 함께 울려 그 위엄을 과시하였습니다.

 

강희남순도(康熙南巡圖) 중 오문(午門) 앞 [강희28年(1689)]

 

    

                                                      오문(午門)의 중앙 누각

 

5개의 누각 중 중앙에 자리한 가장 큰 누각에는 옥좌가 마련되어있으며, 오문 앞의 광장은 약 3,000평의 크기 입니다.

 

                                

                                          오문에서의 열병식 그림(청나라)  <자료사진>                                   

 

오문(午門)에서는 황제 참석하에 입춘에 춘병(春餠:봄떡)을, 단오날에는 양고(凉糕:붉은색의 콩떡)를, 중양일(9월9일)에 화고(花糕:꽃떡)를 하사하는 의식을 행하는 곳이며 또한 출병과 개선의식, 전쟁포로 접수의식, 조서발표, 음력 10월1일에 발표하는 다음해 달력 공표의식인 반삭전례(頒朔典禮)가 치러졌던 곳입니다.

 

                                                                                                            <자료사진>

                     한편 잘못을 저지른 신하에게 태형(笞刑) 등의 처벌을 하였던 곳입니다.

 

오문의 붉은 대문  <자료사진>

 

    

                                                                          홍문동정(紅門銅釘)

 

오문의 붉은 대문에는 동정(銅釘)과 도깨비 얼굴 모양의 초도(椒圖)가 장식되어 있는데, 초도(椒圖)’란 용의 아홉째 아들을 이르는 말로서 초도는 남이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좋아하지 않아 문을 지키는 수호신으로 사용됩니다. 얼굴이 마치 ‘후추나무’와 같이 맵고 흉하게 생겼다고 붙여진 이름입니다.

 

                       

                    1961년 전국중점문물보호지역 지정 팻말 '고궁(故宮)' <오문 중앙문 입구>

 

 

                                                     오문(午門)에서 본 단문(端門)  <자료사진> 

 

                                                                               오문 중앙문의 빗장  <자료사진> 

 

                             

 

오문(午門)의 문(門)은 동, 서 돈대 하부에 곁문인 액문(掖門)이 하나씩 있어 정면에서 보면 3개 같지만 뒷면에서 보면 5개의 문이 나란히 보입니다. 그래서 "명삼암오(明三暗五)"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오문(午門)의 뒷면 <참고사진>  

 

태화문에서 바라보면 5개의 문동(門洞)이 나란히 보이는 오문(午門)의 뒷모습이 한 눈에 들어옵니다.

 

 

                                          오문(午門) 성루(城樓)의 뒤쪽  <참고사진>

 

                

                                               오문(午門)의 홍예문(虹霓門) <참고사진>

 

성루(城樓)를 오르는 마도(馬道)  <참고사진>

 

    

                                            오문(午門)에 연결된 자금성의 성벽 안쪽

 

 

사행록(使行錄)에 실린 오문(午門)

 

 

죽천행록(竹泉行錄)

 

오문(午門)은 1624년 10월13일부터 1625년 2월27일까지 반정(反政)으로 권좌에 오른 인조(仁祖)의 즉위를 승인받기 위해 북경에 머물렀던 정사(正使) 죽천(竹泉) 이덕형(李德泂, 1566-1645)을 비롯한 조선 사신(使臣)들의 이야기를 담은 국문 사행록(使行錄)인"죽천행록(竹泉行錄)"이 발견되며 아래의 내용으로 인해 주목을 받았던 장소입니다.

 

죽천행록(竹泉行錄)

 

사행록(使行錄)을 보면 북경에 도착한지 보름이나 지났지만 황제에게 연통을 놔 줄 대신을 찾지 못해 이덕형은 매일 아침마다 자금성 남쪽에 있는 오문(午門)에 엎드려 입궐하는 대신들을 붙들고 황제를 배알케 해달라고 통 사정을 했다고 전합니다. 또한 조선의 사신들은 다른 나라의 사신들 처럼 오문(午門) 밖에서 조회(朝會)하였는데, 이덕형이 "소신의 나라가 본디 예의 지방으로 천하에 유명하오니 오랑캐와 한 반열에 서기는 부끄럽사오니 청컨대 오문 안에서 조회하여지이다." 라고 주청하여 겨우 황제(皇帝)의 허락을 받았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황제 알현 장면

 

독일의 Franz Xaver Habermann(1721-1796)가 출판한 『Optica』라고 하는 도록에 수록된 그림으로 북경 자금성 오문 앞에서 사신이 황제를 알현하는 장면입니다.

 

열하일기(熱河日記)

 

1780년 중국 청나라에 다녀온 감상을 적은 '연암 박지원(朴趾源:1737~1805)의 열하일기'에서..  

 

열하일기(熱河日記)

 

"오문(午門)은 홍예문(虹霓門)이 셋으로 깊기가 굴속에 들어가는 것처럼 되어 여럿이 떠드는 소리가 마주 쿵쿵 울려 요란하게도 웅성거렸다."

 

오문(午門) 성대(城台) 중앙의 문동(門洞) <참고사진>

 

 

 

 

 

                                                        오문(午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