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일지/한국명산

지리산 2 (07.09.12)

케인스 2008. 5. 28. 14:08

 

 

                           지리산 2 (2007.09.12)

 

 

 

           백두대간의 한쪽 끝, 어머니산  지리산(智異山, 1915m)

           

 

                 

                                         연하천(烟霞泉)대피소

 

연하천(烟霞泉/1,440m) 연기연(烟), 노을하(霞) 자에 샘천(泉) 자를 쓴다. 해발 1,400m 이상의 고산지대인데도 맑고 시원한 샘이 흐르며, 남·북·서 3면이 아늑하게 감 싸여 있는 숲 속의 연하천은 널따란 평지를 이루고 있다. 대자연(烟霞)속의 서기(瑞氣)가 어려 솟아나는 샘(泉)이 있는 곳이라 말할 만 하다. 

 

이 샘은 진주 지리산산악회의 전신인 연하반(煙霞伴)이 발견하고, 샘 이름으로 산악회 이름을 따서 지은 것이 지금까지 불려지게 되었으며, 지리산 동쪽에 연하봉(煙霞峰)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 곳의 샘을 '연하천(煙霞泉)'으로 붙인 이유라 한다.

 

                                        연하천대피소 출발 (07시45분경)

 

                 

                                       삼각봉(三角峰/1586m)

 

삼각봉(三角峰) 연하천에서 동쪽으로 조금만 올라가면 종주길에서 북쪽 심정리 마을로 내려가는 삼거리가 있다. 이곳이 하동의 화개면과 함양의 마천면, 남원의 산내면의 경계 지역이 되는 곳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산봉 이름은 없지만 삼각고지 또는 삼각봉이라 부른다. 

이 삼각고지 남쪽에 빗점골이라는 깊은 계곡이 있다. 6. 25를 전후하여 지리산이 빨찌산의 아지트가 되어 상당기간 국군의 대대적인 공비토별작전이 전개되었을 때, 이 계곡 아래 의신마을에 사령부를 차리고 있던 빨찌산 남부군총사령관 이현상(李鉉相)이 이 빗점골로 도주하였다가 이 곳에서 최후를 맞은 곳이라 한다.
 
  

 

                                       형제봉(兄弟峰/1,433m)

 

형제봉(兄弟峰) 20m가 넘는 우뚝 솟은 두 봉우리가 우애깊은 형제의 모습과 비슷하다 하여 이름 붙었다. 옛날 두 형제가 성불수도 하려고 지리산에 입산하여 도를 닦기에 온 정성을 드리는데, 심술궂은 지리산녀(智異山女)가 끈질기게 유혹하면서 방해하였다. 두 형제는 그녀의 유혹으로부터 자신들을 지키려고 서로 등을 맞대고 의지하며 부동자세로 서 있다가, 너무 긴장했던지 그대로 굳어져서 지금 형상의 바위가 되었다는 전설이 전해져 내려 오고있다.

 

 

                 

                                                  벽소령대피소 / 11시경

 

벽소령(碧宵嶺/1,350m)의 벽소라는 뜻은 푸를 벽(碧)에 밤 소(宵)로 “푸른 밤”을 뜻한다. ‘벽소령(碧宵嶺) 명월(明月)’이 지리산 10경에 들어 있으며, 푸른 밤에 밝은 달이 어우러지는 경치는 장관이라 한다. 벽소령 중천에 떠 있는 보름달은 세상 그 무엇에게도 방해를 받지 않고 오로지 달빛만을 볼 수 있어 달빛이 희다 못해 푸른 아름다운 달을 볼 수 있다고 한다. 산도 푸르고, 달빛도 푸르고, 깊은 골짜기도 푸르니, 자연히 밤도 푸르러 이곳이 곧 벽소령이 된 것이라 전한다. 

                              

                                

                                        벽소령(碧宵嶺) 명월(明月)  <참고사진>
 

 

                                          '벽소령 내음' 

 

                              이 넓은 고개에서는 저절로 퍼질러 앉아

                                    막걸리 한 사발 부침개 한 장 사먹고
                                    남족 아래 골짜기 내려다본다

                                    그 사람 내음이 뭉클 올라온다
                                    가슴 뜨거운 젊음을 이끌었던
                                    그 사람의 내음
                                    쫓기며 부대끼며 외로웠던 사람이
                                    이 등성이를 넘나들어 빗점골
                                    죽음과 맞닥뜨려 쓰러져서
                                    그가 입맞추던 그 풀내음이 올라온다
                                    덕평봉 형제봉 세석고원
                                    벽소령 고개까지
                                    온통 그 사람의 내음 철쭉으로 벙글어
                                    견디고 이울다가
                                    내 이토록 숨막힌 사랑 땅에 떨어짐이여
                                    사람은 누구나 다 사라지지만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나씩 떨어어지지만
                                    무엇을 그리워하여 쓰러지는 일 아름답구나!
                                    그 사람 가던 길 내음 맡으며
                                    나 또한 가는 길 힘이 붙는다


                                                            <이성부 시 '벽소령 내음' >

 

                                       조망(眺望) - 천왕봉

 

              

                                            벽소령대피소 출발(11시50분경)

 

벽소령 산장에서 동쪽 덕평봉으로 가는 등산로는 주능선 남쪽 사면 약 2Km가 수평으로 나 있다. 이 길은 지리산 종주 등산로가 아니라 공비토벌 당시 군인들이 닦은 도로인데 세월이 무상하여 등산객이 다닌 길만 남고 양쪽에는 관목들이 우거져 있어 도로였다는 느낌을 주지 않는다. 

 

이 도로 때문에 벽소령은 두 개가 된다. 서쪽의 원래부터 사람이 넘어 다니던 벽소령은 '큰벽소령'또는 '구벽소령'이라 하고, 2Km 동쪽의 작전도로로 넘는 고개는 '작은벽소령' 또는 '신벽소령'이라 부르게 된 것이다. 우린 '신벽소령'을 넘은 셈이다.

 

    

                            투구를 쓴 검객들이 줄지어 행진하고 있다.

 

                  

                                        선비샘(1,456m) 이정표

  

선비샘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옛 날 이 산 아래 있는 상덕평 마을에 착하고 점잖은 한 선비가 살았는데, 워낙 가난해서 이웃 사람들로부터 몹시 천대를 받다가 '죽어서는 천대를 받지 않고, 사람대접을 받는 것이 소원' 이라는 유언을 남기고 죽었다. 효자인 그 아들이 어떻게하면 아버지의 소원을 풀어 드릴까 하고 궁리한 끝에 이 샘 위쪽에 부친의 묘를 썼다고 한다. 지나던 사람들이 샘에서 물을 떠먹기 위하여 무릎을 꿇고, 머리를 숙이니 결국 아버지의 소원을 들어 준 셈이 된 것이라 전하고 있다.

 

                 

  

지금은 무덤도 없어지고, 샘도 파이프를 통해 나오는 물이지만 등반객들에게는 오아시스나 다름없다.

 

                                            선비샘 → 칠선봉

 

                                                       선비샘 → 칠선봉 

 

 

                           조망(眺望) - 왼쪽부터 천왕봉, 장터목, 연하봉, 영신봉, 촛대봉

  

"지리산국립공원은 1967년 우리나라 최초의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습니다. 면적은 471,758km2로서 백두대간의 끝자락에 동서로 길게 뻗어 있으며, 경상남도 하동, 산청, 함양, 전라남도 구례군, 전라북도 남원시 등 3개도, 1개시, 4개군, 15개 읍, 면에 걸쳐 있습니다. 천왕봉에서 노고단까지 종주능선(25.5km)에서는 삼대가 덕을 쌓아야 볼 수 있는 천왕봉 일출(天王峰日出)을 비롯하여 노고운해(老姑雲海), 반야낙조(般若落照), 벽소명월(碧宵明月), 세석철쭉 등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안내판에서..>

 

                                   산앵도나무 (칠선봉 어귀에서)

 

                           칠선봉(七仙峰)의 선녀 암봉들 : 15시20분경

 

칠선봉(七仙峰)은 전형적 육산인 지리산 주능선에선 보기 드물게도 암릉코스로 형성되어 있다. 안개 자욱한 날 일곱 개의 암봉은 마치 일곱명의 선녀가 구름 위에서 춤추고 노는 듯 하다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칠선봉(七仙峰/1,558m)

 

이정표를 주능선상의 기암 앞에 세워놓아 마치 이 암봉이 칠선봉 정상인 듯 하지만, 실은 그 지점에서 선비샘 쪽으로 마주보이는 1565m봉이 정상이라고 한다.

 

                                                조망(眺望) - 영신봉(靈神峰)           

 

                   

                                        영신봉으로 오르는 계단

 

                                            바위를 감싼 뿌리

 

                                                           아~ 천왕봉

                          

  

                                       칠선봉(七仙峰)의 암봉

  

                               조망(眺望) - 천왕봉과 장터목대피소

 

 

                                  영신봉 능선길 옆의 구절초 군락지

 

                  

                              영신봉(靈神峰/1,652m) 이정표: 16시30분경

 

영신봉(靈神峰/1,652m)은 신령스러운 봉우리라하여 이름 붙여진 것 같다. 정상에는 큰 나무는 없고 철쭉들이 큼직큼직한 바위들 사이에 군락을 이루고 있다. 

  

                                    구절초 군락지 및 뒤로 촛대봉

 

                                                    조망(眺望) -  촛대봉

 

                             세석평전과 대피소, 촛대봉 그리고 천왕봉

 

동쪽으로 대피소를 포함한 세석평전을 내려다보는 풍경과 건너편 촛농 흘러내린 듯한 촛대봉을 바라보고 그 왼쪽으로 지리산의 최정상인 천왕봉을 바라보는 경관은 일품이다.

 

                 

                                   세석평전(細石平田/1,560m)


세석평전(細石平田)을 ‘잔돌평전’ ‘세석고원’이라고도 부른다. 남쪽에서는 가장 높고 넓은 고원으로 둘레 12 km, 넓이 약 30만평에 바닥에 잔돌이 깔려 있는 위에 수십만 그루의 철쭉이 대 군락을 이루고 드문드문 구상나무가 있어 오월 말에서 유월 초가 되면 철쭉꽃이 만발한다. ‘세석평전의 철쭉’은 지리산 10경의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세석평전의 철쭉   <참고사진>

 

철쭉은 한자로 척촉(足鄭 足蜀)이라 하는데 '척촉'이 '철쭉'의 어원이라고도 한다. 이는 '발길을 머뭇거리게 한다'는 뜻이다. 산길을 가다가 철쭉꽃을 만나 그 모습이 은은하고 아름다워서 갈 길을 못 가고 머뭇거리며 넋을 잃고 바라보고 서 있는 광경을 연상할 수 있다.  1972년부터 진주 지리산산악회 주최로 '세석철쭉제'를 열어 오다가 혼잡과 철쭉 훼손의 우려 때문에 지금은 폐지되었다.

 

조선조 세종-성종간에 영남학파의 거두로 알려진 점필제(占畢齊) 김종직(金宗直)이 함양군수로 있으면서 마흔 살의 나이로 그의 제자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과 함께 성종3년(1472년) 음력 8월 14일부터 18일까지 5일 동안 지리산을 올라 두루 둘러보고 자세하게 쓴 지리산등산기행문 '두류기행록(頭流紀行錄)'에는 세석평전의 '세석(細石: 잔돌)'에 관한 내용이 보이는데 철쭉에 관한 내용이 보이지 않는 것을 보면 그 이후에 큰 산불로 일대의 무성했던 나무들이 전소하고 몇 백년을 거치면서 자생력이 강한 철쭉이 이 평전을 독점한 것이 아닌가 추정하고 있다. 

* 탁영 김일손이 사관(史官)으로 있을 때 스승인 김종직의 글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성종실록 사초(史草)에 넣었다가 연산군 때 무오사화(戊午士禍)를 입게 되며, 이미 죽은 김종직도 부관참시(副棺斬屍) 당하는 화를 입는다.
                             

 

 

                  세석갈림길 이정표(백무동, 장터목대피소,거림, 벼소령대피소) 

 

                

                                               세석대피소 

 

                                         세석대피소 도착(17시경)

 

 

 

 

지리산 2 (2007.09.12)

 

 

 

 

 

 

'산행일지 > 한국명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악산 3 (07.07.14)  (0) 2008.05.28
설악산 2 (07.07.13)  (0) 2008.05.28
설악산 1 (07.07.12)  (0) 2008.05.28
지리산 3 (07.09.13)  (0) 2008.05.28
지리산 1 (07.09.11)  (0) 2008.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