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일지/한국명산

지리산 1 (07.09.11)

케인스 2008. 5. 28. 14:04

 

 

                                           지리산 1 (2007.09.11)

 

         

산행코스: 주능선 종주 코스 (2박3일)

 

성삼재 → 노고단대피소 → 임걸령 → 노루목 → 삼도봉 → 화개재 → 토끼봉 → 총각샘 →연하천대피소 → 삼각봉 → 벽소령 →선비샘 → 영신봉 → 세석대피소 →촛대봉 → 연하봉 → 장터목 → 제석봉 → 통천문 → 천왕봉 → 장터목 → 소지봉 → 참샘 → 하동바위 → 백무동

 

동(東)에서 서(西)로 바라 본 지리산  <참고사진> 

 

 

자료:google

 

           

                                               구례 버스터미날  (03시50분경) 

 

                                  

                                               버스시간표(구례역-성삼재)

                                  

                                   성삼재(姓三峙/1090m) 휴게소   <참고사진>  

  

성삼재(姓三峙/1090m)의 지명 유래는 삼한시대때 진한군에 밀리던 마한왕이 전란을 피하여 지리산 심산유곡으로 찾아들어 달궁계곡에 왕궁을 세우고 피난할 때, 북쪽 능선에는 8명의 장군을 세워 지키게 했다고 하여 팔랑치이고, 서쪽 능선에 정 장군을 세워 지키게 했다 하여 정령치, 동쪽은 황 장군이 맡았다 하여 황영재, 남쪽능선은 가장 중요한 곳이므로 성(姓)이 다른 3명의 장군을 배치하여 방어케 하였다고 성삼재라 부르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휴게소 옆쪽으로 노고단으로 오르는 등산로가 있다.  05시경 출발.

 

                       

                                                      노고단 KBS 방송탑

 

                                  노고단 대피소/노고할매탐방안내소 (06시경)

 

지리산 신령인 노고(老姑)할매는 전설 속 인물로 예로부터 지리산을 지켜온 신으로 전해지고 있다. 할매란 할머니의 방언이지만 친근한 3개도(경상남도, 전라남·북도)의 정서를 대표하는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에 노고할매탐방안내소로 불리어 지게 되었다는데, 지리산의 역사와 문화 등을 엿볼수 있는 지리산 노고 할매 탐방안내소는 2006년 5월 노고단 대피소에 문을 열었다.

 

                      

                                                   노고단 대피소 취사장

 

                                                      노고단 대피소 앞

 

                     노고단대피소의 안내판에서.. (무등산, 섬진강, 구례읍, 화엄사)

 

                                               노고단 대피소 앞의 이정표

              노고단대피소는 사실상 지리산 종주산행의 시작이 되거나 끝이 되는 곳이다.

 

                              지리산 종주의 시작.  노고단을 향하여... (07시30분경)

  

                                                  노고단(老姑壇)/1,507m

 

노고단 천왕봉(1,915m), 반야봉(1,732m)과 더불어 지리산 3대 봉우리의 하나이다. 노고단 지역은 한 여름에도 기온이 서늘한 아고산(亞高山)지대로서, 약 30만평에 달하는 우리나라 최대의 원추리 군락과 각종 고산식물이 자라고 있다. 전망이 좋고 시원해 신라시대에는 화랑들의 심신 수련장으로 이용되었고, 1920년대에는 선교사들이 풍토병을 치료하기 위해 건물을 짓고 여름을 지냈다고 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지리산의 원추리 <참고사진>               노고단 정상의 돌탑과 노고단 석비 <참고사진>

                                                                                                       
노고단은 노고단 고개에서 완만한 경사가 서향으로 이루어진 넓은 고원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정상은 길상봉이라 한다. 1994년부터 자연휴식제가 시행되어 현재는 정상이 부분적으로 개방되고 있다. 노고단은 일찌기 신라시대부터 지리산의 산신을 모시는 민족신앙의 영지로서 해마다 봄, 가을이면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또한 지리산의 10경 중 하나로 손꼽히는 노고운해는 남해에서 조성된 운무가 파도처럼 밀려와 구름바다를 이루는 절경을 이룬다고 한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노고운해   <참고사진>

 

노고단(老姑壇)이라는 이름의 유래에는 아래와 같이 여러가지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다.

 

1) 지리산 신령인 산신할머니(노고-老姑)를 모시는 곳 (단-壇)이라 하여 노고단(老姑壇)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하기도 하며, 

2) 노고단의 '노고(老姑)'는 신라 건국 시조 박혁거세의 어머니 선도성모(仙桃聖母)를 높인 말로 '노마

     님'이란 뜻이며, 제사를 지내는 단이 있었기 때문에 '노고단'이라 한다고도 전해온다.

3) 또한 노고단(老姑壇)을 풀이하면 老는 존칭의 의미로, 姑는 마고(痲姑)를 상징하는데, 부도지(符都

     誌)에 의하면 마고는 인류최초의 인간을 탄생시킨 여신으로, 그가 살고 있는 곳을 마고성(痲姑城)

     이라 하였으며 지상 최고의 낙원이라 한다. 마고선단기(麻姑仙壇記)에는 젊고 아름다운 여인으로

     묘사되지만 오랜 전설속의 여인이므로 노고(老姑)라고 불린다고도 한다. 

 

                        

                                                    노고단고개(1,430m)

 

노고단 정상으로 향하는 입구 문이 닫혀 있다. 노고단 정상은 자연자원을 보전하기 위해 1일 4회 제한된 예약 인원에 한해서만 개방한다. 정상에는 넓고 평탄하게 닦은 마당이 있고 한가운데 큼직한 돌탑이 있는데, 청학동 도인들이 총동원되어 3일간 쌓은 것이라 한다. 돌탑의 서남쪽에는 큼직한 원석에 세로로 老姑壇(노고단)이라 새겨진 석비(石碑)가 있다.

  

                                                     노고단고개의 돌탑

 

                                       조망(眺望) -  반야봉(般若峰/1,732m)

 

반야봉(般若峰)의 명칭은 불교의 반야심경에 나오는 '지혜'를 뜻하는 말을 썼으며, 반야봉은 지리산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장엄한 지리산의 전경을 한눈으로 볼 수 있다. 봄철 반야봉 정상 주변은 온통 철쭉이 만발하여 절경을 이룬다고 한다.

 

또한 지리산의 10경 중 하나로 손꼽히는 반야낙조의 경건한 모습은 지켜보는 우리에게 무한한 감동을 안겨준다.

 

                                 

                                                     반야낙조   <참고사진>

 

조선조 성종-명종 간에 살았던 대 학자 화담(花潭) 서경덕(徐敬德)선생이 반야봉에 올라 지은 한시(漢詩)의 번역문이다.

 

지리산 우뚝 솟아 동녘 땅을 다스리니 / 올라와 보매 마음과 눈이 끝없이 넓어지네/

    험한 바위 치솟아 산 봉 들어 났으니 / 아득하게 높은 조물주의 공을 그 누가 알리오/

땅에 스민 현묘한 정기 비내리고 이슬 맺고 / 하늘에 서린 서기 인걸을 낳네/
산 찾아 온 나를 위함인지 구름, 안개 걷어주니 / 천리 길 찾아 온 내 정성 이에 통함일런가 

 

                          왼쪽부터 반야봉(1732m), 천왕봉(1915m), 삼도봉, 촛대봉

  

                                              

                                                    노고단 → 노루목

                                           산죽나무가 양 옆으로 울창하다.

  

                      

                                                         투구꽃 군락지

 

         

                                                              투구꽃

 

                                      노고단 → 노루목 사이에서 본 천왕봉

 

                                  삼도봉, 토끼봉, 뒤로는 보이지 않지만 명선봉

 

                                                      노고단 → 노루목

 

                                                      노고단 → 노루목

 

                         노루목삼거리(1,498m) : 노고단 - 반야봉 - 천왕봉 갈림길

 

                             노루목(1,550m)에서 바라보는 원시림 계곡 / 10시30분경

  

노루목(1,550m)이라는 이름은 반야봉에서 내려지르는 산줄기가 산중턱에서 잠깐 멈춘 모습이 마치 노루가 머리를 치켜들고 피아골을 내려다보는 것 같은 모습을 이루고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산오이풀

 

장미목 장미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고산지역의 습기 많은 곳에서 자란다고 한다. 꽃은 8∼9월에 가지끝에서 수상꽃차례를 이루어 핀다. 잎을 따서 손에 문지르면 오이 냄새가 난다고 하여 오이풀이라고 하며, 오이풀과 잎 모양은 같으나 꽃이 다르고 높은 산에서 산다고 산오이풀이라 한다.

  

                            삼도봉(三道峰/1,550m)의 삼도 경계 말뚝: 11시10분경

 

삼도봉(三道峰)은 북쪽이 전라북도(남원시 산내면), 서남쪽이 전라남도(구례군 산동면과 토지면), 동쪽이 경상남도(하동군 화개면)로 구분되어 있다. 원래는 '날날이봉'  '낫날봉'  '날라리봉'  '늴리리봉' 등 이라고 불렸다. 날날이는 옛날 노루목에서 삼도봉, 토끼봉, 천왕봉을 바라볼 때 그 봉우리들이 반듯하게 일직선으로 날날이 있어 이 지역의 토속어로 날날이봉으로 불리었다고 하며, 또한  정상 부분의 바위가 낫의 날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고해서 낫날봉으로도 불렸다 한다. 낫날이란 표현의 발음이 어려운 탓에 등산객들 사이에선 '낫날봉'이 '날라리봉' 또는 '늴리리봉' 등으로 더 알려져 있었다.

 

                                                        삼도봉 → 화개재

 

                                        삼도봉에서 화개재로 내려가는 계단.

  

                                        화개재(花開峙/1,315m): 11시40분경

 

화개재(花開峙) 멀리 하동군 화개가 보인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화개재는 남쪽 화개장터를 거친 생선, 해산물, 소금 등이 이 곳을 거쳐 북쪽의 운봉, 산내, 마천 등지로 공급되고, 내륙의 곡식, 산채 등 특산물이 이 고개를 넘어서 화개, 악양, 하동 등지로 공급되는 교역로였으며, 또한 물물교환의 장소이기도 하다.

 

화개재에 얽힌 설화 중 '운봉무더미'란 얘기가 있다. 운봉사람 소금장수가 일흔살 나이에 화개에서 소금을 지고 운봉으로 넘어가다 화개재에 이르러 힘에 지쳐 소금을 진채 쓰러져 죽었는데, 손자가 할아버지를 그 자리에 묻고 정성을 다해 큰 묘를 만들었다 한다. 화개재 언저리의 큰 무덤을 두고 그 소금장수의 무덤이라 해 '운봉무더미'라 부르고 있다. 이 설화에서 보듯 화개재는 해안지방의 소금이나 수산물과 내륙지방의 삼베를 비롯한 농산물을 서로 교역했던 삶의 고갯마루 역할을 했음이 잘 나타나 있다.

 

                                                        

 

                                                       화개재 고갯마루

 

                                                            뱀사골대피소(12시경)  

 

국립공원관리공단 지리산북부사무소에서는 뱀사골 대피소가 시설이 낡고 이용객이 적은데다 계곡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어 2007년 5월에 폐쇄하였으나, 산악연맹 회원들 등의 반대로 '탐방지원센터'로 다시금 자리를 지키게 되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환경오염을 이유로 문을 닫으려던 계획을 바꿔, 1985년에 지은 낡은 대피소를 철거한 뒤 현 건물의 5분의 1 크기(30㎡)로 건물을 짓고, 구조요원을 배치해 조난시 구조업무를 맡긴다. 등산객들도 폭우나 폭설 때 이곳에서 피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하지만 숙박이나 취사는 전면 금지된다고 한다.

 

                      

                                               폐쇄된 뱀사골대피소 샘물

 

                      

                                         다시 화개재로 올라와서.. (14시경)

 

                                           토끼봉(卯峰/1,533m): 15시경

 

토끼봉(卯峰)에는 '지보초'라는 풀이 군생하여 일명 '지보등'이라고도 부르지만 토끼가 많이 서식한다거나 산 모양이 토끼를 닮아서 '토끼봉'이라 부르게 된 것이 아니고, 지리산 서편의 주봉인 반야봉에서 정 동쪽에 있기 때문에 동양의 24방위(方位)로 묘방(卯方)에 해당하고, 묘(卯)는 12지(十二支)에서 토끼이기 때문에 이 봉우리를 '토끼봉(卯峰)'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연하천대피소 (17시경)

 

증축 공사가 진행 중이다. 국립공원관리공단 지리산북부사무소에 따르면 5억5000만 원을 투입해 오는 10월까지 당초 51.3㎡인 대피소 면적을 144.4㎡로 넓힌다고 한다. 이에 따라 수용 인원이 40명에서 76명으로 늘어난다고 하며, 새 대피소는 태양광 에너지가 활용되어 벽체 또한 단열층을 보강해 에너지 효율을 높일 예정이라고 한다.

 

 

 

지리산 1 (07.09.11)

 

 

 

 

 

 

'산행일지 > 한국명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악산 3 (07.07.14)  (0) 2008.05.28
설악산 2 (07.07.13)  (0) 2008.05.28
설악산 1 (07.07.12)  (0) 2008.05.28
지리산 3 (07.09.13)  (0) 2008.05.28
지리산 2 (07.09.12)  (0) 2008.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