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와 여행(국내)/서울특별시

서울(남산한옥마을)

케인스 2008. 5. 16. 18:05

 

                            서울(남산골한옥마을)

 

 

서울 중구 / 남산골한옥마을

 

 

                                                       남산골한옥마을

 

우리 민족과 서울의 상징인 남산은 옛 이름을 목멱산이라고 하였으며, 도성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어 남산으로 불리어 왔다. 남산 북쪽 기슭 한옥마을이 들어선 필동(筆洞) 지역은 조선시대에는 흐르는 계곡과 천우각(泉雨閣)이 있어서 여름철 피서를 겸한 놀이터로 이름있던 곳이다. 또한 청학이 노닐었다고 하여 청학동(靑鶴洞)으로도 불렸다.

 

청학동은 신선이 사는 곳으로 불리울 만큼 경관(景觀)이 아름다워 한양에서 가장 경치 좋은 삼청동(三淸洞), 인왕동(仁王洞), 쌍계동(雙溪洞), 백운동(白雲洞)과 더불어 한양 5동(漢陽五洞)으로 손꼽히던 곳이다.

 

이곳의 옛 정취(情趣)를 되살려 골짜기를 만들고 물을 흐르게 하였으며, 정자(亭子)를 짓고, 나무를 심어 전통정원(傳統庭園)을 조성하였다. 또한 7,934㎡(2,400평) 대지 위에 서울의 팔대가(八大家) 중 하나였던 박영효 가옥(朴泳孝 家屋)으로부터 일반평민의 집에 이르기까지 전통한옥(傳統韓屋) 다섯 채를 옮겨놓았다.   <한옥마을 홈..>

 

 

                           ~~~~~~~~~~~~~~~~~~~~~~~~~~~

 

      

 

                                                남산골한옥마을종합안내도

 

1.  정문(正門)                    2.  관리사무소(管理事務所)               3.  종합안내도(綜合案內圖)

4.  계류(溪流)                    5.  천우각광장(泉雨閣廣場)               6.  천우각(泉雨閣)

7.  청학지(靑鶴池)             8.  한옥마을(韓屋村)                         9.  청류정(聽流亭)

10. 화장실(化粧室)            11.  관어정(觀魚亭)                           12.  관어지(觀魚池)

13.  망북루(望北樓)           14.  타임캡슐(Time Capsule)              15.  피금정(披襟亭)

18.  서울남산국악당(南山國樂堂)

 

 

정문(正門)

 

          

                                                            정문(正門)  

 

 

계류(溪流)

 

 

          

                                                           계류(溪流)

 

남산골 전통정원 내에는 그간 훼손되었던 지형을 원형대로 복원하여 남산의 자연식생인 전통 수종을 심었으며, 계곡을 만들어 물이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하였고 또한 정자, 연못 등을 복원하여 전통양식의 정원으로 꾸며 남산 기슭의 옛 정취를 한껏 느끼도록 하였습니다.

 

 

천우각(泉雨閣)

 

          

 

          

                                                         천우각(泉雨閣)

 

 

천우각광장(泉雨閣廣場) 

 

 

          

                                                   천우각광장(泉雨閣廣場) 

 

 

 청학지(靑鶴池) 

 

          

 

                       

 

          

                                                         청학지(靑鶴池) 

 

 

청류정(聽流亭)

 

 

          

 

     

                                                        청류정(聽流亭)

 

남산은 그 자연의 경치가 아름다워 선인들이 각종놀이와 여가생활을 위하여 골짜기마다 정자를 짓고 수려한 경관을 찾는 많은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던 곳이었습니다.

 

 

일석이희승(李熙昇)선생학덕추모비

                

 

                      

                       일석이희승선생학덕추모비(一石李熙昇先生學德追慕碑)

 

딸깍발이란 옛날 남산골 샌님의 별명이다. 이말은 청렴(淸廉)과 결백(潔白) 그리고 절조(節操)를 생명으로 한 우리 선비들 모습을 가리키기도 한다. 일석(一石)선생의 수필 '딸깍발이'로 하여 널리 알려진 이 말은 선생의 별명으로도 불린다. 여기에 후학(後學)들이 이 빗돌을 세우는 뜻은 옛날 딸깍발이 정신을 새삼 마음에 새기고 선생의 고결(高潔)한 일생을 본받고자 함이다.

 

        

 

이희승(李熙昇)  /  1896.6.9 ~ 1989.11.27  
 
국어 학자. 조선어학회 간사 및 한글학회 이사에 취임, 조선어학회사건으로 복역하였습니다.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에 재직, 동아일보사 사장(1963)을 지냈으며, 저서로는 《국어대사전》, 작품《박꽃》,《벙어리 냉가슴》《소경의 잠꼬대》 등이 있습니다.

 

 

수도방위사령부터

 

                

                                         

 

                                                     수도방위사령부터

 

수도방위사령부는 1961년 6월1일 부로 이곳에 창설되어 1963년에 수도경비사령부로 개장되었으며 1984년에는 52, 56사단, 57사단을 에속받아 수도방위사령부로 증편되었다.  이곳은 1991년 3월까지 주둔하였으며 1991년 3월에 남태령으로 이전하였다.

 

                                                  서기 2006년 12월1일 건립

 

 

관어정(觀魚亭)과 관어지(觀魚池)

 

                                   

          

 

     

                                               

          

                                                   

 

 

망북루(望北樓)

 

 

          

                                                         망북루(望北樓)

 

                                    

                                               망북루(望北樓)에서 본 남산

 

 

타임캡슐(Time Capsule)

 

 

                           

                                        서울천년타임캡슐광장비 

  

전통정원 남쪽에 서울정도 600년을 기념하는 타임캡슐을 1994년 11월29일 지하 15m 지점에 매설하였습니다. 보신각종 모형의 타임캡슐 안에는 서울의 도시모습, 시민생활과 사회문화를 대표하는 각종 문물 600점을 수장함으로써 현 시대의 사회상이 400년 이후 2304년 11월29일 후손들에게 공개하도록 하였습니다.

 

          

                                                  서울천년타임캡슐광장

 

4,960평방미터의 광장은 시민 공모 작품 중 최우수작을 채택 하여 '시간의 영속성'의 의미를 지니고 있는 운석에 의한 분화구 모양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원형광장은 외경 42m, 내경 27m, 깊이 5.7m이며, 중앙판석은 지름 7.5m, 두께 0.7m의 화강암으로 설치되었습니다.

 

                                                           

                        타임캡슐 지하 광장 정문에 새겨진 김영삼 전 대통령의 글씨

 

           [祝 서울定都六百年 / 一九九四年十一月二十九日  大統領   金永三] 
 

                       

                                                   타임캡슐지하광장입구                       


 

캡슐의 형태 

 

보신각종을 본뜬 모양으로 직경 1.3m, 높이 1.7m, 무게 2.5톤의 크기이며, 500ℓ(4개의 용기로 구성)의 용량으로 FRP외장스테인레스 특수강(STS 316L), 유리섬유, 실리카 등으로 구성된 5중 구조로 만들어 진공처리(1/1000mmhp) 및 아르곤가스 주입 보전하였다고 합니다.
 

 

          

 

타임캡슐 안에는 '94 서울의 인간과 도시를 대표할 수 있는 문물 600여점이 들어있습니다. 수장품은 시민 공모로 제안된 품목[시민응모: 2,440명, 12,676점] 중 시민위원회에서 선정한 벼, 보리, 밀 등의 볍씨를 비롯 버스 토큰, 우황청심환, 성수대교 붕괴 사건을 다룬 신문보도, 중앙일보, 조선일보 등입니다.

 

                       

 

                       -캡슐 디자인 설계 및 제작 : 현대정공(주)

                       -수장품 수집 처리 및 기록집 발간 : (주)금강기획

                       -광장기본설계 : 건축가 이종상

                       -광장실시설계 : 도화종합기술공사

                       -광장시공 : 신일종합건설

 

 

피금정(披襟亭)

  

 

          

                                                         피금정(披襟亭)

 

 

남별영터․남소영터(南別營址․南小營址) 

 

                                    

 
남별영과 남소영은 수도방위의 임무를 띤 조선 후기의 군사주둔지이다. 남별영은 금위영, 남소영은 어영청의 분영으로 각각 설치되었다. 남별영의 남쪽과 남소영의 북쪽에는 큰 군수창고가 있었다. 

 

남별영 내에는 물 흐르는 골짜기에 천우각(泉雨閣)란 정자가 있어서 여름이면 장안에서 피서와 놀이터로서 유명했으며, 석벽에는 ꡐ아계(溪)ꡑ의 큰 각자가 있어 명소였음을 전해 준다. 이곳은 일제가 한국침략을 노골화하면서 한국주차대사령부(韓國駐箚隊司令部)를 설치한 곳이기도 하다.  

 

 

서울남산국악당(南山國樂堂)

 

 

          

                                               서울남산국악당(南山國樂堂)

 

          

                                                서울남산국악당(南山國樂堂)

 

                       

                                          서울남산국악당(南山國樂堂) 옆모습

 

                                    

                                          서울남산국악당(南山國樂堂) 뒷모습

 

 

한옥마을(韓屋村) 

 

 

 

                                    한옥마을 전통한옥 참고사진   <한옥마을 홈>

 

 

                                                      한옥마을(韓屋村) 

 

7,934㎡(2,400평) 대지 위에 서울의 팔대가(八大家) 중 하나였던 박영효 가옥(朴泳孝 家屋 )으로부터 일반평민의 집에 이르기까지 전통한옥(傳統韓屋) 다섯 채를 옮겨놓았다.

 

이들 한옥들에는 집의 규모와 살았던 사람의 신분에 걸맞는 가구(家具)들을 예스럽게 배치하여 선조들의 생활모습을 직접 보고 알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전통공예관(傳統工藝館)에는 무형문화재(無形文化財)로 지정된 기능보유자들의 작품과 관광기념상품을 늘 전시하고 있다.  <한옥마을 홈..>

 

 

전통한옥현황 

 

정원의 북동쪽 7,934m²(2,400평) 대지에는 시내에 산재해 있던 서울시 민속자료 한옥 5채를 이전 복원하고 이 한옥에 살았던 사람들의 신분 성격에 걸맞는 가구 등을 배치하여 선인들의 삶을 재조명 하였으며, 전통공예관에는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기능보유자들의 작품과 관광상품을 항시 전시, 판매하고 있다.

 

 

       순정효황후 윤씨친가 (純貞孝皇后 尹氏 親家)

 

안채·사랑채·대문간채가 연결된 'ㅁ'자 평면
건평 224.79㎡(68평)
 

이 가옥은 조선 제27대 순종(純宗)의 황후(皇后)인 윤씨가 열세 살에 동궁(東宮)의 계비(繼妃)로 책봉되기 전까지 살았다고 하는 집을 복원해 놓은 것이다. 그러나 건축양식으로 볼 때 1907년 순종의 즉위로 윤씨가 황후가 된 이후인 1910년대 부원군(府院君)의 궁(宮) 집으로 새롭게 중건(重建)된 것으로 추정된다.  
 
원래의 집은 종로구 옥인동 47-133번지에 있는데, 집이 너무 낡아 옮기지 못하고 건축양식 그대로를 본떠 이곳에 복원(復元)하였다. 집의 평면은 'ㄷ'자형 몸채 앞쪽에 사랑채를 두어 전체 평면은 'ㅁ'자형이다. 몸채와 사랑채 쪽은 지붕에 단차이(段差異)를 두었고, 사랑채 대청 부분은 바깥에서 볼 때 중층(重層)으로 꾸며져 있는데 이것은 지형(地形)을 살린 구성이다.  
 
장대석 기단(長臺石基壇), 방형초석(方形礎石), 초익공(初翼工), 운공(雲工)을 사용한 점, 후면과 측면 툇마루 바깥쪽으로 설치한 정자(井子) 살창, 사괴석(四塊石)과 전돌(塼石)을 사용한 화방벽(火防壁)이 설치된 점 등에서 최상류층의 저택임을 알 수 있으며, 언뜻 보면 별궁(別宮)의 면모를 보이기도 한다. <한옥마을 홈..>

 

                              

 

                                             

 

             

 

         

 

            

 

                                            

 

                              

 

             

 

     

 

 

 

해풍 부원군 윤택영댁 재실(海豊府院君 尹澤榮宅 齋室)

 

지정번호 : 서울시 민속자료 제24호
사당채와 몸채로 구성된 '元(원)'자 평면
연면적 218.18㎡(66평)
 
 이 가옥은 조선 제27대 순종(純宗)의 장인(丈人) 해풍부원군 윤택영이 그의 딸이 동궁(東宮)의 계비(繼妃)로 책봉(冊封)(1906)되어 창덕궁(昌德宮)에 들어갈 때 지은 집으로 전한다. 동대문구 제기동 224번지에 있던 것을 이곳 남산골 한옥마을에 이전 및 복원하였다. 
 
이 집의 평면은 우리나라에서 보기 드문 '元(원)'자 모양인데 제일 윗터에 사당(祠堂)을 배치하고 그 아랫터에는 몸채를 두었다. 사당은 1960년 4·19 혁명 때 불에 타서 없어졌던 것을 복원하였으며, 사당 앞에 두 단의 석축(石築)을 쌓아 화계(花階)를 구성하였다.  
 
몸채는 일고주오량가(一高柱五樑架)이고 앞채는 삼량가(三樑架)이다. 장대석(長臺石) 기단(基壇)과 방형초석(方形礎石), 그리고 일부에는 굴도리를 사용하여 집의 격식(格式)을 높였다. <한옥마을 홈..>

 

             

 

 

             

 

 

                                                          

 

                                         

 

                                                          

 

                                         

 

                                                          

 

                        

 

                        

 

                                                   

 

 

 

                  

 

            

 

                              

 

           

 

                           

 

                                

 

                                

 

                                               

 

                                

 

             

 

                              

 

             

 

                              

 

                              

 

             

 

 

 

 

      부마도위 박영효 가옥(駙馬都尉 朴泳孝 家屋)

 

지정번호 : 서울시 민속자료 제18호
안채·사랑채·별당채로 구성
연면적 323.96㎡(98평)
 
 
서울 팔대가(八大家) 중의 하나로 전해지는 이 가옥은 조선 제25대 철종(哲宗)의 딸인 영혜옹주의 남편 박영효 (1861∼1939)가 살던 집이다. 종로구 관훈동 30-1번지에 있던 것을 이곳 남산골 한옥마을에 이전, 복원하였다. 
 
이 가옥은 처음에는 안채, 사랑채, 별당채, 대문간채, 행랑채로 구성되어 있었다. 복원당시 안채만 남고 모두 없어졌던 것을 한옥마을을 조성하면서 사랑채와 별당채를 복원하였다. 
 
안채는 ('') 자형 몸채에 'ㅡ'형 행랑간이 붙어 '' 형으로 되어 있으며, 부엌과 안방이 모두 같은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것은 개성(開城)을 중심으로 한 중부지방형(中部地方形)으로 서울의 주택에서는 보기 드문 형태이다. 
 
장대석(長臺石)을 사용한 기단(基壇), 칠량가(七樑架)의 가구(架構), 6칸 크기의 부엌 등에서 대가(大家)의 면모를 느낄 수 있으며, 파련각(波蓮刻)한 보아지와 파련대공(波蓮臺工)을 사용하고, 마루밑 고막이 벽에 투공문양(透孔紋樣) 벽돌을 사용하여 환기공(換氣孔)을 설치한 점 등은 일반 민가에서는 보기 드문 것들이다.  <한옥마을 홈..>

 

                      

 

           

 

                       

 

                       

 

                       

 

                                    

 

          

 

          

 

                       

 

                       

 

                                    

 

 

 

        오위장 김춘영 가옥(五衛將 金春榮 家屋)

 

지정번호 : 서울시 민속자료 제8호
 'ㄷ'자형 안채에 'ㅡ'자형 사랑채 연결
건평 82.46㎡(25평)
 
 
이 가옥은 조선말기 오위장을 지낸 김춘영이 1890년대 지은 집이다. 종로구 삼청동 125-1번지에 있던 것을 남산골 한옥마을에 이전, 복원하였다. 'ㄷ'자형 안채에 'ㅡ'자형 사랑채를 연결시켜 ('') 형의 평면을 이루고 있으며, 안채 대청은 오량가(五樑架)이고 나머지 부분은 모두 삼량가(三樑架)이다. 
 
판대공(板臺工)을 사용하고 홑처마로 꾸미는 등 전체적으로 평민주택(平民住宅)의 양식을 보이고 있지만, 안방의 뒤쪽 벽, 즉 길가에 면한 부분에 사괴석(四塊石)과 전돌(塼石)을 사용하여 화방벽(火防壁)을 쌓아 집의 격조를 더 높인 것이 특징적이다.  <한옥마을 홈..>

 

          

 

          

                                                               사랑채

 

                       

                                                                안채

 

                                    

                                                               

 

 

         도편수 이승업 가옥(都邊首 李承業 家屋)

  
지정번호 : 서울시 민속자료 제20호
안채·사랑채
건평 119㎡(36평)
 
 
이 가옥은 조선말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에 의하여 경복궁(景福宮)이 중건(重建)될 때 도편수(목수의 우두머리)였던 이승업이 1860년대 지은 집으로 중구 삼각동 32-6번지에 있던 것을 이곳 남산골 한옥마을에 이전, 복원하였다. 
 
대문간채와 행랑채가 안채와 사랑채를 둘러싸고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안채와 사랑채만 남아 있다. 
 
안채는 '丁(정)'자형이고 사랑채는 'ㄴ'자형의 평면이다. 안채에서 부엌과 안방쪽은 반오량(半五樑)으로 꾸며 전후면(前後面)의 지붕길이를 다르게 꾸민것은 특색이 있는 구조이다. 대청과 건넌방쪽은 일고주오량가(一高柱五樑架)로 구성되어 있다.   <한옥마을 홈..>

 

                       

 

             

 

                              

 

                                            

 

             

 

                                             

 

 

 

 

                            공예상품관

 

오랜 역사 속에서 맥을 이어온 찬란한 민족문화는 훌륭한 전통공예의 뿌리를 내렸다. 우리 민족은 각 시대마다 이웃을 통해 들어온 외래문화를 우리의 토착문화 속에 적절히 소화시키면서 독창적인 문화를 창조해 냈다. 그 가운데서도 공예문화는 생활 습성에 알맞는 쓰임새대로 다양하게 다듬고 꾸며 만들어 사용하면서 대대손손 꽃피워 왔다. 
 

옛 서울 양반마을의 정취가 서려있는 남산골 한옥마을에 우리 전통 공예품의 정수를 한자리에 상설 전시하는 전통공예관은 '한국전통공예의 멋과 아름다움'을, 또 생활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서울장안의 명소가 되어 국내인은 물론 외국 관광객이 이곳에서 한국의 전통 생활문화의 정취를 한껏 느낄 수 있으며, 우리의 전통공예가 관광상품이 되어 세계 속에 널리 소개될 것이다. 
 
 전통공예 종목을 크게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1. 도자공예 : 청자(靑磁), 백자(白磁), 분청사기(粉靑沙器), 옹기(甕器), 토우(土偶)
 2. 금속공예 : 유기(鍮器), 청동입사(靑銅入絲), 장도(裝刀)
 3. 목칠공예 : 목기(木器), 칠기(漆器), 목조각(木彫刻), 떡살,
                   다식판(茶食板), 능화판(菱花板), 죽물(竹物), 인형, 탈(假面)
 4. 복식공예 : 자수(刺繡), 매듭, 침선(針線), 직물(織物), 장신구(裝身具)
 5. 지 공 예 : 지물(紙物), 부채(扇子), 연(鳶), 지화(紙花), 지탈(紙假面),
 6. 초고공예 (草藁工藝) : 화문석(花紋席), 등메
 7. 피모공예 (皮毛工藝) : 가죽공예, 붓(毛筆), 갓, 망건(網巾), 탕건(宕巾)
 8. 각골공예 (刻骨工藝) : 화각공예(華角工藝), 궁시(弓矢)
 9. 악기공예 : 북, 장고, 가야금, 거문고, 징, 꽹과리, 태평소, 기타 악기
10. 옥석공예 : 옥제품, 벼루, 수석, 기타 석공예    <한옥마을 홈..>

 

          

 

                      

                                              전통공예관

                                        전통공예작품과 관광상품 전시·판매

            

                       

 

 

                                 ~~~~~~~~~~~~~~~~~~~~~~~~~~~

              

 

           

                                                        공동마당

 

                                    

                                                             디딜방아

 

                      

                                                           관리사무소

 

           

                                                     한옥마을 입구 정문

       

 

 

                                       

2008.05.07

 

 

 

 

 

 

 

 

'답사와 여행(국내) > 서울특별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정원박람회, 월드컵공원, 선유도공원)  (0) 2015.10.14
도선사(道詵寺)/서울  (0) 2013.11.20
서울(유강원유적)  (0) 2008.03.16
서울(안산)  (0) 2008.03.12
서울(서대문형무소)  (0) 2008.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