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와 여행(해외)/중국(북경-자금성)

中國(北京) - 부벽정(浮碧亭)/어화원(御花園)지역

케인스 2012. 12. 13. 00:24

 

                      부벽정(浮碧亭)

 

   중국 북경(北京)/자금성, 내정(內廷)의 어화원(御花園)

 

 

어화원(御花園) 지역

 

 

                                              어화원(御花園) 지역 위치도 <참고사진>

 

              

                                                 어화원(御花園) 지역 <google참고사진>

 

                                            어화원(御花園) 지역 평면도 <참고사진>

 

 

동쪽   <계속>

 

 

                                   어화원(御花園)지역/동쪽구역 <참고사진>

 

어화원(御花園)지역의 동쪽구역에는 퇴수산(堆秀山)과 어경정(御景亭), 이조당(璃藻堂), 응향정(凝香亭), 부벽정(浮碧亭), 만춘정(萬春亭), 정정(井亭), 강설헌(絳雪軒) 등이 있습니다.

 

 

부벽정(浮碧亭)

 

 

                                                    부벽정(浮碧亭) 위치도 <참고사진>

 

                                           부벽정(浮碧亭) <참고사진>  

 

부벽정(浮碧亭)은 어화원(御花園)의 동북쪽에 위치하며 북쪽에는 이조당(摛藻堂), 남쪽에는 만춘정(萬春亭)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그리고 서쪽구역의 징서정(澄瑞亭)과는 서로 대칭하는 위치에 있습니다.

 

           

                                          부벽정(浮碧亭) <참고사진>

 

부벽정(浮碧亭)은 명(明) 만력11년(1583)에 세웠으며, 앞쪽의 포하(抱厦)는 청(淸) 옹정10년(1732)에 첨건(添建)되었습니다.

 

      

                                          부벽정(浮碧亭) <참고사진>

 

부벽정(浮碧亭)은 방형(方形)이며, 정면 3칸, 면의길이 8m, 전면에 3칸의 포하(抱厦)가 있습니다.

 

부벽정(浮碧亭) <참고사진>

 

               부벽정(浮碧亭) 아래에는 동, 서방향으로 길다란 직사각형의 연못이 있습니다.

 

                                         

                                          부벽정(浮碧亭) <참고사진>

 

                           연못 위에는 1개의 아취형 구멍이 있는 석교(石橋)가 있습니다.

 

                                           부벽정(浮碧亭) <참고사진>

 

                             석교(石橋) 위에 부벽정(浮碧亭)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부벽정(浮碧亭) <참고사진>

 

부벽정(浮碧亭) 현판 <참고사진>

 

  

                                  부벽정(浮碧亭)과 포하(抱厦) <참고사진> 

 

부벽정(浮碧亭)과 포하(抱厦)는 녹색유리기와에 전면은 황색유리기와가 어우러져 있습니다.

 

                     

                                            부벽정(浮碧亭) <참고사진>

 

                                    지붕 위에는 유리보정(琉璃寶頂)이 얹혀있습니다.

 

                                  북쪽에서 보는 부벽정(浮碧亭) <참고사진>


동, 서 양쪽에 조각장식이 있는 석재 난간판과 석교(石橋) 난간판이 있으며, 건물의 기둥은 사각기둥입니다.


                

                                             조정(藻井) <참고사진>

 

부벽정(浮碧亭) 내 천화(天花) 정 중앙에는 쌍용(雙龍)이 여의주를 희롱하는 팔각형 조정(藻井)이 있습니다.

 

부벽정(浮碧亭) 백화천화(百花天花) <참고사진>

 

조정(藻井) 주위에는 백가지 꽃들이 그려져 있으며, 처마 밑에는 채화(彩畵)로 장식되어 있습니다. 

 

           

                                        부벽정(浮碧亭) 연못 <참고사진>

 

연못의 물은 호성하(護城河)로부터 흘러 들어오며 연못 벽에 있는 용머리를 통해 흘러 갑니다.

 

                                       부벽정(浮碧亭) 연못 <참고사진>

 

   연못에는 연꽃이 있고 물고기들이 노닐어 어화원(御花園) 의 풍취를 한층 더 높여주고 있습니다.

 

 

이조당(璃藻堂)

 

 

                                               이조당(璃藻堂) 위치도 <참고사진>

 

이조당(璃藻堂)은 어화원(御花園)의 동북쪽에 위치하며 퇴수산(堆秀山)의 동쪽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조당(璃藻堂) <참고사진>

 

이조당(璃藻堂)은 건륭년간 처음 건설하였으며, 자금성 북쪽 담에 기대어 남향으로 정면5칸, 황유리기와지붕 건물로 서쪽 벽에 작은 문이 있어 서이방(西耳房)으로 통하는 구조를 갖고있으며, 전면에는 툇칸이 있고 중앙칸으로 드나들었습니다.

 

이조당(璃藻堂) <참고사진>

 

청(淸) 건륭44년(1779)부터 이조당(璃藻堂) 실내의 서가(書架)에 "사고전서회요(四庫全書薈要)" 등 궁중의 장서를 보관하도록 하여, 황제가 이곳에 와 휴식과 열람을 할 수있도록 하였습니다.

 

이조당(璃藻堂) <참고사진>

 

이조당(璃藻堂) 내부에는 건륭황제의 글씨 "이조서화(摛藻抒華)"의 글씨 4자가 있고, 대련[庭繞芳毯鋪生意, 座有蕓編結古歡]이 있습니다. 서쬭 실내에도 건륭황제의 글씨인 “宿風”과 “從來多古意, 可以賦新詩”의 대련이 있습니다. 또한 서문 밖에도 “左右圖書 靜中涵道妙, 春秋風月 佳處得天和”이란 대련이 있습니다.

 

                                                      이조당(璃藻堂) <참고사진>

 

이(摛)의 발음인 “吃”(chi)은 '흩뜨리다', '널리 퍼뜨려 알리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조(藻)는 문화, 서적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조(摛藻)"는 '문화를 널리 알리고 전파한다'는 의미를 가지는 것입니다.

 

                                                이조당(璃藻堂) 현판 <참고사진>

 

                        이조당(璃藻堂)은 현재 고궁서점(故宮書店)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사고전서(四庫全書) 영인본(影印本) <참고사진>

 

사고전서(四庫全書)는 중국 청(淸)나라 건륭제(乾隆帝)의 명으로 편집된 중국 최대의 총서로서 건륭37년(1772)에 편찬을 시작하여 건륭47년(1782)에 완성되었으며, 궁중에서 소장하고 있던 서적 외에 전국의 민간에 소장된 서적을 전국에서 골라 모아서 경(經:경전), 사(史:역사), 자(子:철학), 집(集:문학)의 네 부문으로 나누어 정리한 뒤 3,503종, 79,582권에 이르는 총서로 묶어 사고전서(四庫全書)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사고전서회요(四庫全書薈要) 영인본(影印本) <참고사진>

 

사고전서(四庫全書)에서 더욱 정요(精要)한 것을 뽑아 사고전서회요(四庫全書薈要)를 만들었습니다.

 

사고전서회요(四庫全書薈要) 영인본(影印本) <참고사진>

 

                                                                                                                 <참고사진>

                           

건륭제가 63세가 되던 해 자신의 생전에 사고전서(四庫全書)를 완성시키지 못할것을 염두에 두고 사고전서(四庫全書)에서 더욱 정요(精要)한 것을 뽑아 463종,20,828권,11,178책의 사고전서회요(四庫全書薈要)를 만들어 건륭43년(1778) 어화원(御花園) 지역 안에 있는 이조당(璃藻堂)과 원명원(圓明園)의 동쪽 담 밖의 장춘원(長春園) 내 미유서옥(味腴書屋)에 보관하였습니다.

 

 

응향정(凝香亭)

 

                                                    응향정(凝香亭) 위치도 <참고사진>

 

                                           응향정(凝香亭) <참고사진>

 

응향정(凝香亭)의 원래 이름은 금향정(金香亭)이었습니다. 명(明) 가정15년(1536)에 세웠으며, 만력19년(1591)에 중건(重建)하였습니다. 어화원(御花園)의 동북쪽 구석에 이조당의 바로옆 동쪽에 위하며, 서북쪽의 옥취정(玉翠亭)과 서로 대칭하여 자리잡고 있습니다.

 

                                        응향정(凝香亭) <참고사진>

 

응향정(凝香亭)은 4개의 기둥으로 지어진 방형(方形)의 사모지붕 건물로 기둥 사이에는 걸터앉을 수 있는 난간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내부 천화판(天花板)에는 채색된 백가지 꽃들의 그림이 그려져 있고, 지붕은 황, 남, 녹색의 기와를 서로 번갈아가며 이어 화려하게 보입니다. 그리고 동, 서, 북쪽의 삼면(三面)이 담장과 벽에 막혀 채광이 좋지않으며 정자(亭子)로서의 실용성에 문제가 있습니다.

 

 

퇴수산(堆秀山)과 어경정(御景亭)

 

 

                                            

                                  퇴수산(堆秀山)과 어경정(御景亭) 위치도 <참고사진>

 

퇴수산(堆秀山)은 어화원 동북쪽, 흠안전(欽安殿)의 동북쪽에 위치하며 크고 높은 궁담(宮墻)에 기대어 자리잡고 있습니다.

 

 

                                           퇴수산(堆秀山) <참고사진>

 

퇴수산(堆秀山)은 명대(明代)에 처음 세웠는데, 원래 이자리에는 관화전(觀花殿)이란 건물 1좌(座)가 있었습니다. 만력11년(1583) 신종(神宗)의 명에 의해 관화전(觀花殿)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퇴산(堆山)을 개축하였습니다.

 

                          

                                           퇴수산(堆秀山) <참고사진>

 

퇴수산(堆秀山)은 명대(明代)에는 퇴수산(堆绣山)이라 하였는데, 청(淸) 건륭년간 퇴수산(堆秀山)으로 개명하였습니다. 퇴수산(堆秀山)이란 퇴산(堆山)을 만드는 장인(匠人)들이 칭하는 퇴수식(堆秀式)으로 쌓았다 하여 퇴수산(堆秀山)이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합니다.

 

퇴수산(堆秀山) <참고사진>

 

퇴수산(堆秀山)은 기이한 모양의 돌로 쌓고 계단을 만들어 이룬 인공적인 가산(假山)으로  높이는 약 10m이며 정상에 어경정(御景亭)을 앉혔습니다.

 

                     

                                       퇴수산(堆秀山) 정면 <참고사진>

 

         퇴수산(堆秀山) 하부 정면 중간에는 권동문(券洞門)이라 하는 석굴 입구 문이 있습니다.

 

   

                                       권동문(券洞門)과 "퇴수(堆秀)" 편액 <참고사진>

 

                     석굴 문 위에는 "퇴수(堆秀)"라는 만한(滿漢) 글자의 편액이 걸려있습니다.

 

                                                 "퇴수(堆秀)" 편액 <참고사진>

 

                             "퇴수(堆秀)"라는 이름은 명(明) 만력제(萬歷帝)가 내렸습니다.

 

                                    석반룡분천(石蟠龍噴泉) <참고사진>

 

퇴수산(堆秀山) 석굴 입구 좌우 양쪽 산석(山石) 사이에 동이를 지고있는 석사자 조각이 있는데, 그 동이 안에 반룡분수(蟠龍噴水)가 있습니다.

 

동쪽의 석사자 조각과 반룡분수(蟠龍噴水) <참고사진>

 

서쪽의 석사자 조각과 반룡분수(蟠龍噴水) <참고사진>

 

산 중턱 부분 세 곳에는 깊숙이 물항아리[銅缸]가 있어 예전에는 매번 사람들이 물을 길어 항아리를 채웠으며 관을 연결하여 압력에 의하여 물을 끌여들어 반룡(蟠龍)의 입으로 물이 분출되도록 하였습니다.

 

퇴수산(堆秀山) 서쪽면 <참고사진>

 

문 안쪽에는 동, 서로 관통하는 석굴이 있으며 내부에는 돌에 조각된 반룡(蟠龍) 조정(藻井)이 있습니다.

 

건륭제 어필 '운근(雲根)" <참고사진>

 

퇴수산(堆秀山)의 동쪽 하부 석벽에는 건륭황제의 어필 '운근(雲根)"이란 두 글자가 새겨져있습니다. 이는 돌로 겹쳐 쌓은 석산(石山)이 마치 구름이 층층이 겹쳐있는 듯한 아름다움을 준다고 하는 의미입니다.

 

태호석(太湖石)으로 쌓은 가산(假山) <참고사진>

 

퇴수산(堆秀山)은 비록 돌 층계로 쌓은 가산(假山)이지만  장인(匠人)들의 정교한 설계와 교묘하게 쌓은 크고 작은 형상의 각기 다른 태호석(太湖石)이 협소한 지면(地面)으로부터 하늘로 우뚝 솟아난듯  기이한 돌이 첩첩이 싸여 높고 험한 암석의 준령을 이룬 듯 합니다.

 

                                   퇴수산(堆秀山)과 어경정(御景亭) <참고사진>

 

퇴수산(堆秀山)에는 닭, 개, 돼지, 원숭이, 말, 토끼 등 12지상의 동물들을 빼닮은 작은 돌덩어리들이 서있거나 누워있는 등 각기 다른 모습으로 있어 사람들로부터 호기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습니다.

 

퇴수산(堆秀山)과 어경정(御景亭) <참고사진>

 

퇴수산(堆秀山) 밑에서 정상까지 오르는 세갈레 길이 있습니다. 동쪽과 서쪽의 산석(山石) 사이에 각각 오르는 길과 퇴수산(堆秀山) 중앙 석굴내의 계단을 이용하여 돌아 올라 정상의 어경정(御景亭)까지 갈 수 있습니다.

 

어경정(御景亭) <참고사진>

 

어경정(御景亭)에 오르면 어화원(御花園)의 전경이 한눈에 보이며, 부벽정(浮碧亭)과 징서정(澄瑞亭) 아래 연못의 물고기들이 유영하는 모습과 푸른 소나무, 비취색 향나무와 꽃과 풀 사이에 노니는 선학(仙鶴)의 모습도 볼 수 있습니다.

 

                                    자금성(紫禁城)의 전경(全景) <참고사진>

 

남쪽을 바라보면 자금성(紫禁城)의 황색유리기와지붕들이 맑은 햇살아래 반짝이는 아름다운 모습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어경정(御景亭) <참고사진>

 

이렇게 정상에서는 자금성(紫禁城)의 전경(全景)을 감상할 수 있는데 멀리 서쪽 산까지 조망(眺望)할 수 있어 음력 9월9일 중양절(重陽節)에 황제가 후비들을 이끌고 어경정(御景亭)에 올라 멀리 경관을 감상하고 즐거워하던 곳입니다.

 

궁궐의 담 위로 보이는 어경정(御景亭) <참고사진>

 

어경정(御景亭)에서는 높디높은 궁궐의 담장 넘어 궐 밖 세상을 볼 수 있었기 때문에 한번 들어오면 죽어서야 나갈 수 있다는 황실의 여인들에게는 커다란 위로가 되었던 곳이라고 전합니다.

 

                                                     어경정(御景亭) <참고사진>

 

어경정(御景亭)은 방형(方形:사각형), 4개의 기둥, 사모지붕, 비취녹색유리기와에 가장자리는 황색유리기와, 꼭대기에 유금보정(鎏金宝頂)으로 장식하였습니다.

 

                                

                                            어경정(御景亭) <참고사진>

 

     사방으로 한백옥석(漢白玉石) 난간을 두었으며 내부에는 천화(天花) 조정(藻井)이 있습니다.

 

                                                         보좌(寶座) <참고사진>

 

                      어경정(御景亭) 내부 중앙에 남면(南面)하는 보좌(寶座)를 두었습니다.

 

                                           어경정(御景亭) 현판 <참고사진>

 

   어경정(御景亭)의 이름은 명(明) 만력제(萬歷帝)가 내렸으며, 현판은 청대(淸代)에 만든 것입니다.

 

 

 

 

 

                                                        부벽정(浮碧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