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와 여행(해외)/중국(북경-자금성)

中國(北京) - 강설헌(降雪軒)/어화원(御花園)지역

케인스 2012. 12. 7. 00:16

 

                      강설헌(降雪軒)

 

   중국 북경(北京)/자금성, 내정(內廷)의 어화원(御花園)

 

 

어화원(御花園) 지역

 

 

                                        어화원(御花園) 지역 위치도 <참고사진>

 

             

                                      어화원(御花園) 지역 <google참고사진>

 

                                      어화원(御花園) 지역 평면도 <참고사진>

 

 

☞ 동쪽

 

 

                                             어화원(御花園)지역/동쪽구역 <참고사진>

 

어화원(御花園)지역의 동쪽구역에는 퇴수산(堆秀山)과 어경정(御景亭), 이조당(璃藻堂), 응향정(凝香亭), 부벽정(浮碧亭), 만춘정(萬春亭), 정정(井亭), 강설헌(絳雪軒)  등이 있습니다.

 

 

강설헌(絳雪軒)

 

                                                

                                                    강설헌(絳雪軒) 위치도 <참고사진>

 

                                                       강설헌(絳雪軒) <참고사진>

 

강설헌(絳雪軒)은 어화원(御花園)의 동남쪽에 자리하고 있는 소형 전각(殿閣)으로 명(明) 영락18년(1420)에 세웠으며 어화원(御花園)의 경치를 감상하며 휴식을 취하는 곳입니다.

 

                                                           강설헌(絳雪軒) <참고사진>

 

강설헌(絳雪軒)은 뒤쪽에 동쪽의 궁중 담에 기대어 지었져 서향이며 정면5칸, 황유리기와 지붕건물입니다. 전면에 포하(抱廈) 3칸이 접해있어 평면이 “凸”자(字) 형 건물입니다.

 

 

                                            강설헌(絳雪軒) 전면의 포하(抱廈) <참고사진>

 

강설헌(絳雪軒) <참고사진>

 

강설헌(絳雪軒)의 내부에는 건륭제(乾隆帝)의 어서(御書)인 “視履考祥”(시리고상:지난 일을 돌아보고, 좋고 나쁨을 세심하게 살펴라)이란 편액(匾額)이 걸려있는데 『주역』이괘(履卦)의 “視履考祥,其旋元吉”(시리고상 기선원길)에서 인용하였습니다.

 

                      강설헌(絳雪軒) 현판 밑의 고궁상점(故宮商店) 현판<참고사진>

 

                         상점은 없어져야 하며 내부는 고증을 거쳐 원상복귀 되어야 합니다!!!

 

강설헌(絳雪軒) 현판 <참고사진>

 

 

강설헌(絳雪軒) 앞 유리화단(琉璃花壇)

 

 

유리화단(琉璃花壇) 위치도 <참고사진>

 

강설헌(絳雪軒)과 유리화단(琉璃花壇) <참고사진>

 

                              강설헌(絳雪軒) 앞 유리화단(琉璃花壇) <참고사진>

 

 

유리화단(琉璃花壇) <참고사진>

 

강설헌(絳雪軒) 앞에는 유리화단(琉璃花壇)이 조성되어 있는데 하부(下部)는 5가지 빛갈의 유리(琉璃) 벽돌로 수미좌(須彌座) 형태로 되어 있는데 용(龍)과 서번련(西番蓮) 문양의 도안이 있고 상부(上部)에는 비취색 난간판이 있고 자주색의 망주(望柱)를 둘렀습니다.

 

        

                                                         서번련(西番蓮) <참고사진>

 

기단과 난간 사이에는 한백옥(漢白玉) 돌로 처리하여 그 색채의 대비가 강렬하며 궁중화단의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강설헌(絳雪軒) 앞 유리화단(琉璃花壇) <참고사진>

 

                            

                                                                                 모란꽃 <참고사진>

 

유리화단(琉璃花壇)에는 돌을 쌓아 산을 만들었으며 모란꽃 등 귀한 꽃나무가 심어져 있는데 해마다 봄이면 모란과 함께 주위를 온통 붉게 물들였으며, 해당화의 꽃이지면 그 잎을 모아 나무뿌리 가까이에 묻어 주었다고 합니다.

 

                                                        해당화(海棠花) <참고사진>

 

원래 강설헌(絳雪軒) 앞에는 5그루의 해당화(海棠花)가 있었는데 꽃잎이 나부끼어 떨어질때 마다 꼭 설화(雪花:눈꽃)조각이 내리는 것 같아 강설헌(絳雪軒)이라 이름 붙였다고 전합니다.

 

                                    강설헌(絳雪軒) 앞 유리화단(琉璃花壇) <참고사진>

 

                                                        태평화(太平花) <참고사진>

 

청말(淸末) 서태후의 지시로 하남지방의 서성화(瑞聖花) 즉 태평화(太平花)를 이곳으로 옮겨와 해당화(海棠花) 대신 심었다고 합니다.

 

 

강설헌(絳雪軒) 앞 목변석(木變石)

 

 

                                                목변석(木變石) 위치도 <참고사진>

 

                              목변석(木變石)과 유리화단(琉璃花壇) <참고사진>

 

유리화단(琉璃花壇) 앞에는 고목(古木)과 같은 진기한 철회색(鐵灰色)의 돌 기둥 목변석(木變石)이 서있는데 건륭제(乾隆帝) 어제(御題)인 시구(詩句)가 조각되어 있습니다.

 

                     

                                          목변석(木變石) <참고사진>

 

목변석(木變石)의 길이 130cm, 폭 27cm, 두께 10cm의 돌이 연꽃을 조각한 한백옥좌대(漢白玉座臺)에 서 있는데, 썩은 나무기둥 같은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목변석(木變石) <참고사진>

 

목변석(木變石)은 흑룡강에서 출토된 것으로 건륭황제가 특히 좋아하였으며 목변석(木變石)에는 목변석을 노래하는 그의 시<永木變石(영목변석)>이 새겨져 있습니다.

 

                                                어화원3기석(御花園三奇石)

 

                  

                 배두석(拜斗石)  <참고사진>   해삼석(海參石)    <참고사진>   목변석(木變石)

 

 

어화원에는 태호석(太湖石, 강소성 태호에서 나는 돌로서 주름과 구멍이 많아 정원을 꾸미는데 흔히 쓰임)을 주재료로 한 분재 모양의 작은 경치가 40여 군데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특히 기이한 것으로 해삼석(海參石), 배두석(拜斗石), 목변석(木變石)을 꼽는데, 이를 일컬어 어화원의 3기석이라고 합니다.

 

 

강설헌(絳雪軒) 앞 용조괴(龍爪槐)

 

  

                                                      용조괴(龍爪槐) 위치도 <참고사진>

                               강설헌(絳雪軒) 앞 용조괴(龍爪槐) <참고사진>

 

   회화나무를 중국에서는 ‘괴수(槐樹)’라 하여 최고의 나무로 꼽아 궁궐 내 정원에 즐겨 심었습니다.

 

         

                                             용조괴(龍爪槐) <참고사진>


회화나무의 가지들이 꼬불꼬불하게 우산처럼 밑으로 늘어져 자라는 이 나무를 '용조괴(龍爪槐)'라 하는데, 나무의 모양이 용의 발톱을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별칭입니다.

 

                                                      용조괴(龍爪槐) <참고사진>

 

일반적으로 용조괴(龍爪槐)는 꼬부라지고 늘어지는 형태로 변이된 나무의 가지나 눈을 채취해서 접을 붙인 것입니다.

 

                                             용조괴(龍爪槐) <참고사진>

 

이 곳의 용조괴(龍爪槐) 역시 괴목(槐木)의 변종으로 둘레 80cm, 퍼져있는 면적이 80평방미터(약25평)에 달하는데 괴목의 윗부분이 큰 우산과같아보여 기세가 광대합니다.

                                               

                                                     용조괴(龍爪槐) <참고사진>

 

용조괴(龍爪槐)는 콩과식물이며 8월쯤 연한 황백색 또는 녹색을 띤 흰꽃[괴화(槐花)]이 활짝 피고, 꽃들이 지고 나면 염주 알처럼 생긴 열매가 영급니다.

 

                                                   용조괴(龍爪槐) <참고사진>

 

회화나무의 꽃봉오리는 쌀의 모양과 비슷하여 괴미(槐米), 피고 나면 괴화(槐花)라고 하며, 열매를 괴실(槐實)이라고 합니다. 꽃에는 많은 꿀을 함유하고 있고, 꽃을 괴황(槐黃)이라고도 합니다

 

 

학권(鶴圈)

 

                                                          

                                                  학권(鹤圈) 위치도 <참고사진>

 

원래 이 곳은 난간으로 둘러쌓여 있었는데 해방 후 학과 사슴을 기를 수 없어 원래의 모습을 잃었습니다. 지금은 학권(鹤圈)의 옛 장소에 높고 큰 태호석(太湖石) 1개가 우뚝 솟아 있는 모습으로 서 있습니다.

 

                                                 학권(鹤圈) <참고사진>

 

강설헌(絳雪軒) 앞쪽에 한백옥석(漢白玉石)으로 에워싼 수미좌(須彌座) 고대(高臺)와 커다란 태호석(太湖石) 그리고 작은 부채꼴의 한백옥(漢白玉) 석교(石橋)가 있는데 그 모양이 정교하고 아름답습니다.

 

                                                        학권(鹤圈) <참고사진>

 

청대(淸代) 때 황제가 이곳에서 학(鶴)을 기르던 곳이며, 학유(鶴囿)라고도 합니다. 한편 서쪽구역의 대칭되는 곳에는 황제가 사슴[鹿]을 기르던 녹권(鹿圈)이 있습니다. 학권(鹤圈)이란 "학록동춘(鶴鹿同春)"이란 글귀에서 그 의미를 취하였다 합니다.

 

                                              

                            학록동춘(鶴鹿同春)의 의미를 새긴 목판화(木版畵) <참고사진>

 

고대 중국에서는 사슴을 '신령스럽고 장수하는 짐승으로 여겼으며, 사슴 '녹鹿(lu)'은 벼슬 '녹祿(lu)'과 음이 같으며 '학鶴(he)'은 합할 '합合(he)'과 음이 비슷하고, 또한 '육합六合(천,지,동,서,남,북 - 곧 온 세상)이 봄이라는 의미와 부귀장수를 의미하기에 "학록동춘(鶴鹿同春)"이란 젊음을 유지하며 부귀롭게 장수하기를 바라는 뜻을 강하게 표현하였으며, 이것은 궁극적으로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평안하기를 바라는 의미와 통한다고 여겨집니다.

 

수미좌(須彌座) 고대(高臺) 위의 커다란 태호석(太湖石) <참고사진>

 

태호석(太湖石)의 윗부분은 크고 아래부분은 작으며 凸凹형이며, 기이하고 아름답습니다. 또한 주위의 경관과 잘 어울려 기세가 범상치 않습니다.

 

태호석(太湖石) <참고사진>

 

이 태호석(太湖石)은 원래 황궁(皇宮)의 정원으로 조성되었던 원명원(圓明園)에 있었다고 합니다. 어떤 이유에서인지는 모르지만 북경 서직문(西直門) 밖의 어느 곳에 버려졌던 것이 1959년 발견되었습니다.  

 

                                                부채꼴 형태의 석교(石橋) <참고사진>

 

전체적으로는 부채꼴 형태의 작은 섬 모양으로 그 생김새가 특이하며, 돌에 새긴 조각이 정교하며, 망주(望柱) 위에 앉은 사자상(像)이 앙징 맞게 느껴집니다.

 

                                                       석교(石橋) <참고사진>

 

                        정원의 장식용인지 아니면 어떤 용도가 있는 것인지 알 수 없습니다.

 

                              태호석(太湖石) 북쪽의 좌대(座臺) <참고사진>

 

       돌로 만든 석상(石床)과 의자가 있는 것으로 미루어 휴식을 취하던 노천 쉼터인듯 느껴집니다.

 

 

정정(井亭)

 

 

정정(井亭) 위치도 <참고사진>

 

                                                  동정정(東井亭) <참고사진>

 

어화원(御花園) 내에는 정정(井亭)이 동쪽구역의 만춘정(萬春亭) 남쪽과, 서쪽구역의 천추정(千秋亭) 남동쪽에 각각 있는데, 동정정(東井亭)과 서정정(西井亭)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동정정(東井亭) <참고사진>

 

정정(井亭)은 가로, 세로 1.94m의 방형(方形)으로 중앙에 우물이 있습니다. 주위에는 물이 흐르는 구조로 되어있고, 붉은색 4개의 기둥으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조각이 되어 있는 백석(白石) 난간이 사방으로 둘러져 있습니다. 동쪽변 처마밑에는 화초 그림, 서쪽에는 대나무그림이 채화(彩畵)로 장식되어 있습니다.

 

                                         동정정(東井亭)의 지붕 <참고사진>

 

정정(井亭)은 방형의 건물에 팔각의 황유리기와지붕으로 8군데의 내림마루에는 잡상(雜像)이 배치되어 있을뿐 아니라 궁궐 내 다른 정정(井亭)보다 건축의 구조가 매우 특이하고 정교하며 화려함이 특징입니다.

 

정정(井亭) 내부 중앙의 구멍 <참고사진>

 

또한 중국 고유의 녹정(盝頂) 지붕형식으로 정상부 정 중앙에 구멍이 뚫려져 있는 것이 특징인데, 그 형상이 위 아래의 우물이 서로 대응하고 있는듯 합니다. 이러한 채광으로 인해 우물의 수면을 볼수있어 두레박을 쉽게 오르내릴 수 있습니다. 

 

중국의 녹정(盝頂) 지붕형식 <참고사진>

 

 

만춘정(萬春亭)

 

                                                      

                                                    만춘정(萬春亭) 위치도 <참고사진>

 

                                           만춘정(萬春亭) <참고사진>

 

 

만춘정(萬春亭)은 어화원 내 동쪽구역의 강설헌(絳雪軒) 북쪽에 위치하며, 명(明) 가정15년(1536)에 세웠습니다.

 

                                           만춘정(萬春亭) <참고사진>

 

청대(淸代)에는 이곳에 관우상[关帝像]이 있었고, 오행(五行)에 따르면 동쪽은 봄에 속하기에 만춘정(萬春亭)이 어화원(御花園)의 동쪽에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만춘정(萬春亭) <참고사진>

 

만춘정(萬春亭)의 윗부분은 원형(圓形), 아래쪽은 방형(方形)으로 사면 모두 포하(抱廈)가 설치되어 있고 2중의 지붕, 다각형의 정자(亭子)입니다.

 

                                                      만춘정(萬春亭) <참고사진>

 

만춘정(萬春亭)은 서쪽 구역의 천추정(千秋亭)과 구조와 장식이 완전히 동일합니다. 다만 조정(藻井)의 채화(彩畵) 등의 미세한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조정(藻井) <참고사진>

 

     

                                                         보정(寶頂) <참고사진>

 

만춘정(萬春亭)의 상부의 보정(寶頂)에 구름문양[雲紋] {혹자는 불꽃문양[火焰紋]}이 있으나 서쪽구역의 천추정(千秋亭)에는 빠져있습니다.

 

                                                만춘정(萬春亭) 평면도 <참고사진>

 

                                       만춘정(萬春亭) 횡할면도(橫割面圖) <참고사진>

 

                                                만춘정(萬春亭) 지붕평면도<참고사진>

 

 

만춘정(萬春亭) 앞 향나무[圓柏, 檜柏, 人字柏]

 

 

  

                남문(南門) 인자백(人字柏)       <참고사진>           동문(東門) 인자백(人字柏)

 

  

                북문(北門) 인자백(人字柏)       <참고사진>           서문(西門) 인자백(人字柏)

 

만춘정 4개의 문 앞에는 모두 향나무[중국명: 圓柏, 檜柏]가 있는데 그 생김새가 기이하고 특이합니다. 속칭 "인자백(人字柏)"이라고도 합니다.

 

 

 

 

                                                     강설헌(降雪軒)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