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와 여행(해외)/중국(북경-자금성)

中國(北京) - 양성재(養性齋)/어화원(御花園)지역

케인스 2012. 12. 19. 01:03

 

                      양성재(養性齋)

 

 

        중국 북경(北京)/자금성, 내정(內廷)의 어화원(御花園) 지역

  

어화원(御花園) 지역 

 

 

                                              어화원(御花園) 지역 위치도 <참고사진>

 

            

                                                어화원(御花園) 지역 <google참고사진>

                                              

                                                어화원(御花園) 지역 평면도 <참고사진>

 

  

 

 

                                   어화원(御花園)지역/서쪽구역 <참고사진>

 

어화원(御花園)지역의 서쪽구역에는 연휘각(延輝閣), 위육재(位育齋), 징서정(澄瑞亭), 옥취정(玉翠亭), 천추정(千秋亭), 양성재(養性齋), 사신사(四神祠), 정정(井亭), 녹권(鹿圈) 등이 있습니다.

 

 

양성재(養性齋)

 

                                                    

                                       양성재(養性齋) 위치도 <참고사진>

 

        양성재(養性齋)는 어화원(御花園)의 서남쪽, 곤녕문(坤寧門)의 서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양성재(養性齋) <참고사진>

 

명대(明代)에 양성재(養性齋)를 건설하였으며 그 이름을 낙지재(樂志齋)라 하였는데, 청대(淸代)에 양성재(養性齋)로 바꾸었습니다.

                                                  

                                                    양성재(養性齋) <참고사진>

 

양성재(養性齋)는 2층 누각식(樓閣式)의 凹형(形) 건물로 동향(東向)으로 자리 잡았으며, 맞은편 어화원(御花園)의 동남쪽에 있는 강설헌(絳雪軒)의 철(凸)자형 건축물과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양성재(養性齋) <참고사진>

 

양성재(養性齋)는 가경20년(1815)에 중수(重修)하였으며, 양성재(養性齋) 전면(前面)의 월대(月臺)에 금전(金磚)을 깔았으며, 도광(道光)년간에 또다시 수리 하였습니다.

                                               

                                         양성재(養性齋) <참고사진>

   

양성재(養性齋)는황유리기와지붕을 하였고, 2층 전면에 툇칸을 두었고 하층 동면(東面) 중앙칸으로 드나들었습니다.

 

                      

                                                 양성재(養性齋) <참고사진>

 

양성재(養性齋)의 2층 정 중앙에는 강희제(康熙帝)의 어필(御筆) "(비룡재천)飛龍在天"이라는 편액이 걸려있습니다. 1층의 정 중앙에는 “(거경존성)居敬存诚”, 누각 북쪽 아래 동향(東向)으로는 “(열심이신)悦心颐神”이란 편액이 걸려있습니다.   

                                                    

                                                     양성재(養性齋) <참고사진>

 

   양성재(養性齋) 앞에는 예전에 물이 흘러가는 곡류관(曲流館)이 있었으나 후에 철폐되었습니다.

 

                    

                                                                                                       <참고사진>

                    

                                           양성재(養性齋) <참고사진>

 

청(淸) 7대 가경제(嘉慶帝)와 8대 도광제(道光帝)는 이곳 양성재(養性齋)에 자주 와 휴식을 취하며 책을 읽기도 하였습니다.

 

                                           부의(溥儀)와 장사돈(莊士敦) <참고사진>

 

            마지막 황제 부의(溥儀)의 영어선생인 장사돈(莊士敦)은 이곳에서 거주 하였습니다.

 

 

양성재(養性齋) 앞 기석(奇石)

 

  

 

 

                                                                                         <참고사진>

 

양성재 앞 용발톱 모양의 대추나무와 기석(奇石) <참고사진>

 

                                                                                     <참고사진>

 

                                                                                     <참고사진>

 

 

녹권(鹿圈)

 

 

 

                                           녹권(鹿圈) 위치도 <참고사진>

 

대(淸代) 때 황제가 사슴[鹿]을 기르던 이 곳을 녹권(鹿圈)이라 부릅니다. 동쪽구역의 대칭되는 곳에는 황제가 학(鶴)을 기르던 학권(鹤圈)이 있습니다.

 

                                                                가산(假山) <참고사진>

 

                  현재의 녹권(鹿圈)이란 곳에는 돌을 쌓아 만든 대형의 가산(假山)이 있습니다.

 

                                            녹대(鹿臺) <참고사진>

 

                               윗면에는 높고 평평한 장소인 녹대(鹿臺)가 있습니다.

 

                  

                                                                                    <참고사진>

                                      녹대(鹿臺)에 오르는 계단 <참고사진>

 

                                          주위에는 계단이 있어 녹대(鹿臺)에 오를 수 있습니다.

 

 

석자로(石子路): 자갈길

 

 

 

 

 

 

                                                      석자로(石子路) <참고사진>

 

어화원(御花園) 안에는 각양각색의 조약돌을 촘촘히 박아 구성한 모두 다른 모양의 900여폭 그림이 새겨져 있는 길이 있는데 이 길을 석자로(石子路)라고 합니다.

 

                            어화원(御花園)의 석자로(石子路) 분류도 <참고사진>

 

어화원(御花園)의 석자로(石子路)는 약 1,000m에 달하며 4개의 길로 분류할 수 있는데 폭이 2.7~3.9m인 1급로(一級路), 폭이 2.2~2.3m인 2급로(二級路), 폭이 1.7~1.9m인 3급로(三級路), 폭이 1.3~1.5m인 4급로(四級路)입니다. 석자로(石子路)의 총 면적은 1,538.6㎡로 어화원(御花園) 전 면적의 12.8%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어화원(御花園) 석자로(石子路) 의 물고기 도화(圖畵) <참고사진>

 

어화원(御花園) 석자로(石子路) 그림들의 소재는 주로 인물(人物), 기물(器物), 문자(文字), 우언고사(寓言故事), 민간전설(民間傳說), 풍경(風景), 문방사보(文房四寶)와 꽃과 풀, 새, 물고기, 벌레, 날짐승 등의 동물(動物), 식물(植物) 등에 관한 내용 들입니다.

 

                          소나무, 학 사슴, 매화의 도화(圖畵) - 수복(壽福)의 의미 <참고사진>

 

                                                           용(龍) <참고사진>

 

                                                            호랑이 <참고사진>

 

백마(白馬) <참고사진>

 

                                                          화병과 꽃 <참고사진>

 

                                                          매화(梅花) <참고사진>

 

                                                   인물도(人物圖) <참고사진>

 

                                                                                         고기잡이 <참고사진>

 

                                                다리를 건너는 장비(張飛) <참고사진>

 

                                                                         화차도(貨車圖) <참고사진>

 

                                                          북두칠성 <참고사진>

 

 

사신사(四神祠)

 

 

                                         사신사(四神祠) 위치도 <참고사진>

 

사신사(四神祠)는 흠안전 의 서남쪽에 위치하며 녹권(鹿圈)의 북쪽에 자리잡고 남쪽의 가산(假山)과 어우러져 있습니다.

 

                                       사신사(四神祠)와 정정(井亭) <참고사진>

 

        사신사(四神祠)는 네[4] 신(神)들을 모신 곳으로 명(明) 가정15년(1536)에 세웠습니다.

 

사신사(四神祠)의 동쪽면 <참고사진>

 

사신(四神)이란 청룡(靑龍), 백호(白虎), 주작(朱雀), 현무(玄武), 즉 도교(道敎)에서 이르는 사방지신(四方之神)이라기도 하며, 풍(風), 운(雲), 뇌(雷), 우(雨) 신(神)이라기도 합니다.

 

                                             사신사(四神祠)의 서쪽면 <참고사진>

 

사신사(四神祠)의 팔각형은 도교의 팔괘(八卦)를 본떴으며, 이는 도교와 관련이 있는 곳임을 의미합니다.

 

                                                  사신사(四神祠) 정면 <참고사진>

 

사신사(四神祠)는 북향(北向)으로 팔각형 정자(亭子)로 전면에 포하(抱厦)를 두었으며, 빙둘러 툇칸을 조성하여 나무 난간을 설치하였으며 황유리기와 지붕에 꼭대기에 황유리보정(黃琉璃寶頂)을 얹었습니다. 

 

           1924년 사신사(四神祠) 앞에 선 인도의 시성(詩聖) 타고르(Tagore)와 부의(簿儀) <참고사진>

 

                                  사신사(四神祠) 남쪽 가산(假山) 오르는 계단 <참고사진>

 

 

                                      사신사(四神祠) 천화판(天花板) <참고사진>

 

          처마 밑에는 채화(彩花)로 장식하고 천화판(天花板)에는 연꽃과 가지들을 그렸습니다.

 

                                                  사신사(四神祠) 현판 <참고사진>

 

사신사(四神祠) 북쪽 입구문 <참고사진>

 

 

                                 사신사(四神祠) 평면도, 입면도, 횡할면도 <참고사진>

 

       사신사(四神祠) 내부 남쪽에는 벽돌을 쌓아 단을 조성하여 신패(神牌)를 봉안하였습니다.

 

                                                                                                                                 <참고사진>

 

북쪽에서 보는 사신사(四神祠) <참고사진>

 

   

정정(井亭)

 

 

   서정정(西井亭) 위치도 <참고사진>

 

 서정정(西井亭)은 흠안전 의 서남쪽에 위치하며 사신사(四神祠)의 서쪽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서정정(西井亭) <참고사진>

 

어화원(御花園) 내 서쪽구역의 천추정(千秋亭) 남동쪽에 서정정(西井亭)이 있습니다. 대칭되는 동쪽구역의 만춘정(萬春亭) 남쪽에는 동정정(東井亭)이 있습니다. 

 

서정정(西井亭) <참고사진>

 

어화원(御花園)의 서정정(西井亭)은 천일문(天一門) 밖 서쪽, 천추정(千秋亭)의 동남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서정정(西井亭)은 방형(方形)으로 폭이 1.94m, 중앙에 우물이 있습니다. 주위에는 물이 흘러갈 수 있는 구조가 있습니다.

 

             

                                                      서정정(西井亭) <참고사진>

 

서정정(西井亭)의 특징은 4개의 기둥이 있는 방형(方形)의 구조 위에 팔각형 지붕으로 지어져 중국 고건축의 아름다움을 잘 표현하고 있습니다.

 

                    

                                         서정정(西井亭) 내부 정상부 부분 <참고사진>

 

지붕의 정상부는 황유리기와에 중국 고유의 녹정(盝頂) 지붕형식으로 정상부 정 중앙에 구멍이 뚫려져 있는 것이 특징인데, 그 형상이 위 아래의 우물이 서로 대응하고 있는듯 합니다.

 

중국의 녹정(盝頂) 지붕형식 <참고사진>

 

이러한 구조는 채광으로 인해 우물의 수면을 잘 볼수있어 두레박을 쉽게 오르내릴 수 있습니다.

 

                     

 

                     

                                                       반죽문채화(斑竹纹彩畵) <참고사진>

 

               서정정(西井亭)의 처마 아래에는 대나무그림이 채화(彩畵)로 장식되어 있습니다.

 

                                      

                                              망주(望柱) <참고사진>

 

        난간에는 백석(白石) 에 조각이 되어 있고 망주(望柱)에는 운룡(雲龍)이 조각되어 있습니다.

 

 

                                                                 주춧돌 <참고사진>

 

 

천추정(千秋亭)

 

 

                                        천추정(千秋亭) 위치도 <참고사진>

 

천추정(千秋亭)은 흠안전(欽安殿) 의 서쪽에 위치하며 양성재(養性齋)의 북쪽, 징서정(澄瑞亭)의 남쪽에 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천추정(千秋亭) <참고사진>

 

천추정(千秋亭)은 명(明) 가정15년(1536)에 건설하였으며, 오행방위(五行方位)에 따르면 서쪽은 가을[秋]에 속하여 그 이름을 천추정(千秋亭)이라 하였습니다.

 

                                            천추정(千秋亭) <참고사진>

 

천추정(千秋亭)의 윗부분은 원형(圓形), 아래쪽은 방형(方形)으로 천원지방(天圓地方: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나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천추정(千秋亭) <참고사진>

 

천추정(千秋亭)의 사면 모두 포하(抱廈)가 설치되어 있고 평면이 십자형(十字形)으로 2중의 지붕, 다각형의 정자(亭子)로 주위로 빙둘러 백옥석(白玉石) 난간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천추정(千秋亭) <참고사진>

 

명(明), 청(淸) 양대(兩代)에는 이곳에서 불공(佛供)을 드렸으며, 동치제(同治帝)의 신패(神牌)를 이곳에 봉안한 바 있습니다.

 

                                           만춘정(萬春亭) <참고사진>

 

         천추정(千秋亭)은 동쪽구역의 만춘정(萬春亭)과는 그 구조와 장식이 완전히 일치합니다.

 

                                          천화판(天花版) <참고사진>

 

                     천추정(千秋亭) 내 천화판(天花版)에는 쌍봉(雙鳳)이 그려져 있습니다.

 

                                                                                                                                                 <참고사진>

 

                                                         조정(藻井) <참고사진>

 

      천추정(千秋亭) 내 조정(藻井) 에는 입에 보주(寶珠)를 물고 있는 용(龍)이 조각되어 있습니다.

 

                                                        보정(寶頂) <참고사진>

 

상부의 보정(寶頂)에는 황유리 대나무마디형기와[竹节瓦]를 사용하여 위에 유리보병(琉璃寶甁)과 유금화개(鎏金華蓋)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922년 천추정(千秋亭) <참고사진>

 

                               1900년 천추정(千秋亭) 포하(抱廈) 서쪽의 계단 <참고사진>

 

 

 

 

 

                                                   양성재(養性齋)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