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와 여행(해외)/중국(북경-자금성)

中國(北京) - 육경궁(毓慶宮)/봉선전(奉先殿) 지역

케인스 2012. 6. 21. 01:11

 

 

                                       육경궁(毓慶宮)

  

    중국 북경(北京)/자금성, 내정(內廷)의 봉선전(奉先殿)

  

 

☞  육경궁(毓慶宮) 구역 

 

 

        

육경궁(毓慶宮) 구역 <참고사진>

 

육경궁(毓慶宮) 구역은 태자(太子)가 생활하고 공부하던 장소로서 후삼궁의 동쪽 그리고 동육궁(東六宮)의 남쪽에 위치하며 봉선전(奉先殿)과 재궁(齋宮) 사이에 있습니다.

 

 

                 봉선전(奉先殿) 지역 내의 육경궁(毓慶宮) 구역 위성 사진 <google참고사진> 

 

 

         

육경궁(毓慶宮) 구역 <google참고사진>

 

육경궁(毓慶宮) 구역은 긴 직사각형 형태로 여러채의 건물과 정원이 서로 어우러져 있는 건축군(建築群)입니다.

 

육경궁(毓慶宮) 구역 <참고사진>

 

청(淸) 강희18년(1679) 명대(明代) 봉자전(奉慈殿)이 있던 장소에 당시 황태자(皇太子) 윤잉(胤礽)을 위해 특별히 지었습니다. 옹정년간 이후 황태자가 머물지 않아 황자(皇子)의 거소로 바뀌었습니다.

 

 

                                

                                       애신각라윤잉(愛新覺羅胤礽)

 

애신각라윤잉(愛新覺羅胤礽, 강희(康熙)13년 5월 3일(1674년 6월16일) ~ 옹정(雍正)2년 12월14일(1725년 1월27일)은 청나라의 황족으로 중국 최후의 황태자(皇太子)이다. 청나라의 제4대 황제인 강희제(康熙帝)의 둘째 아들이자 적장자로서, 첫 번째 황후였던 효성인황후(孝誠仁皇后)의 소생으로 아명은 보성(保成)이며 이 이름은 훗날 윤잉(胤礽)의 호가 되기도 하였다.

 

효성인황후(孝誠仁皇后)

 

자질이 뛰어난 황자였으나 2살에 황태자로 책봉된 탓에 형제들의 괄시와 부황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지나친 압박으로 인하여 점점 패륜적인 행동을 일삼았다. 그 결과 아버지 강희제는 자신의 아들들 중 가장 총애한 그를 황태자에서 폐위시켰고, 다시 복위시켰으나 또다시 폐위하여 생전 다시는 관작을 회복하지 못하고 굴곡진 삶을 살았다.

 

옹정제(雍正帝)

 

1722년(강희 61년), 강희제가 죽고 그의 뒤를 이어 넷째 아우인 옹친왕 윤진(胤禛)이 황위에 오르니 이가 옹정제(雍正帝)이다. 윤잉은 옹정제의 피휘 정책에 따라 자신의 이름을 윤잉(胤礽)에서 윤잉(允礽)으로 바꾸고 그로부터 얼마 후인 옹정2년(1725년 1월27일), 음력1724년 12월17일 십수년 간 연금되어 지내던 함안궁에서 52세로 생을 마감하였다.

 

이밀친왕(理密親王)

 

윤잉이 죽은 후, 옹정제는 윤잉을 복권시키고 이친왕(理親王)의 작위를 내렸으며, 시호를 ‘밀’(密)이라 하였는데 밀 자의 의미는 추박전과(追補前過), 즉 순박하였으나 생전에 과오나 죄가 있다는 뜻이다. 이에 정식 시호는 이밀친왕(理密親王)이며, 그의 무덤은 천진 근처 황화산(黃花山)에 있는 원침(園寢)에 마련되었으며 청일 전쟁, 중일 전쟁, 문화대혁명 때 도굴되었다.

 

                                                       <위키백과사전자료>

 

육경궁(毓慶宮) 구역 그림 <참고사진>

 

이곳 육경궁(毓慶宮)에는 건륭제(乾隆帝)가 12세~17세까지 거주하였고 가경제(嘉慶帝)가 5살 때 형제, 조카들과 이곳에서 거주한 바 있으며 후에 힐방전(撷芳殿)으로 옮겨갔습니다. 또한 건륭제는 건륭60년(1795) 퇴위 후 이곳으로 돌아오기도 하였습니다.

 

 

육경궁(毓慶宮) 구역 <참고사진>

  

한편 육경궁(毓慶宮)은 동치(同治), 광서(光緖), 선통(宣統) 3황제의 독서 공간이었으며, 광서제(光緖帝)는 이곳에서 거주하기도 하였습니다.

 

  

                아적전반생(我的前半生)          <참고사진>              장사돈(莊士敦)

 

선통제(宣統帝) 부의(溥儀)의 자서전(自敍傳) "아적전반생(我的前半生)"에는 이곳 육경궁(毓慶宮)

에서 13년간 영국인 영어선생 '장사돈(莊士敦)'에게서 학습 받은 정황이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기도 

합니다.                 

 

육경궁(毓慶宮) 구역 <참고사진>

 

육경궁(毓慶宮) 구역의 주 건물인 육경궁(毓慶宮)은 후전(後殿)과 서로 천당(穿堂)으로 연결되어 공자형("工"字形)으로 지어졌으며 사방을 높은 담장으로 둘렀습니다.

 

 

 

건륭15년(1750)의 육경궁(毓慶宮) 구역 <참고사진>

 

 

육경궁(毓慶宮)은 건륭59년(1794), 대전(大殿) 1곳과 유랑(游廊), 포하(抱廈)를 추가로 지었으며, 가경6년(1801) 확장을 거쳐, 광서16년(1890)~23년(1897)에 크게 수리하였습니다. 

                 

 

▶  전성문(前星門)

 

 

 

전성문(前星門) <참고사진>

 

전성문(前星門)은 육경궁(毓慶宮)의 정문(正門)으로 남향(南向)이며  담장에 장식된 유리문(琉璃門)으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전성문(前星門) <참고사진>

 

전성문(前星門)을 들어서면 육경궁(毓慶宮)의 첫번째 뜰이 조성되어 있고 뜰의 북쪽에는 상욱문(祥旭門), 뜰 내에는 3개소의 치방(値房)이 있으며 서쪽 담의 양요문(陽曜門)으로 재궁(齋宮)과 서로 통할 수 있습니다.                     

 

전성문(前星門) 원경 <참고사진>

 

문 밖의 서쪽에는 경운문(景運門), 동쪽으로는 성숙문(誠肅門)이 있고 남쪽에는 전정(箭亭)이 있습니다.

 

 

▶  상욱문(祥旭門)

 

 

 

 서로 마주보고 있는 상욱문(祥旭門)과 전성문(前星門)

        

                                          상욱문(祥旭門)과 돈본전(惇本殿) <참고사진>

 

상욱문(祥旭門) <참고사진>

 

상욱문(祥旭門)은 육경궁(毓慶宮)의 두번째 궁문(宮門)으로 남향(南向)으로 황유리기와를 얹은 유리문(琉璃門)으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상욱문(祥旭門) <참고사진>

 

        문 안쪽에는 육경궁(毓慶宮)의 두번째 뜰이 조성되어 있는 돈본전(惇本殿)이 있습니다. 

 

 

 

▶  돈본전(惇本殿)

 

 

 

         

                                          상욱문(祥旭門) 안쪽의 돈본전(惇本殿) <참고사진>

 

                           

                                     상욱문(祥旭門)에서 보는 돈본전(惇本殿) <참고사진>

 

돈본전(惇本殿) <참고사진>

 

돈본전(惇本殿)은 육경궁(毓慶宮) 제2정원지역의 본채 건물로 청(淸) 강희18년(1679)에 처음 지었습니다. 건륭59년(1794) 낡은 건물을 허물고 새로 지었고, 광서16년(1890) 크게 수리하였습니다.

 

                                                                                                        <참고사진>

전면5칸 측면3칸, 황유리기와지붕의 건물이며 전면에 툇칸이 있고 월대(月臺)가 조성되어 있으며 계단의 중앙에 답도(踏道)가 있으며 양 옆에 동항(銅缸)이 있습니다.

 

돈본전(惇本殿) 문 장식 <참고사진>

 

     

돈본전(惇本殿) 문 세부장식 <참고사진>

 

                                     

                                                                 답도(踏道) <참고사진>

 

돈본전(惇本殿) 답도(踏道) <참고사진>

 

                            돈본전(惇本殿) 답도에는 두 마리의 용(龍)이 노닐고 있습니다.

 

          

                                                 돈본전(惇本殿) 내부 <참고사진>

 

건륭60년 건륭제(乾隆帝)가 황위를 가경제(嘉慶帝)에게 물려줄 당시 가경제의 침궁(寢宮)이었습니다. 광서제(光緖帝)는 4살 때 입궁하여 이곳에서 학습(學習)을 받았습니다.

 

 

                                       돈본전(惇本殿) 평면도 <참고사진>

 

돈본전(惇本殿) 투시도 <참고사진>

 

 

                                 돈본전(惇本殿) 내의 보좌(寶座) <참고사진>

 

전내(澱內) 중앙칸에는 건륭황제 어필 “독호번희(篤祜繁禧)”  편액이 걸려 있습니다. 가경제(嘉慶帝)가 황태자로 정해진 뒤 건륭제(乾隆帝)가 하사한 것입니다.

 

                                 건륭황제 어필 “독호번희(篤祜繁禧)”  편액 <참고사진>

 

서난각(西暖閣) 내부 <참고사진>

 

가경제(嘉慶帝)의 어필 "조어능인(調御能仁)" 편액 <참고사진>

 

                                                ”이도안돈(履道安敦)” <참고사진>

 

                            건륭제(乾隆帝)의 어필 "이도안돈(履道安敦)" 편액 <참고사진>

 

     건륭제(乾隆帝)의 어필 대련(對聯)  <참고사진>

 

독학재궁행(篤学在躬行), 의순실천(宜循实践) / 숙심유이순(淑心惟理顺),극무무수(克務懋修)

 

동난각(東暖閣) 내부 <참고사진>

 

              전(殿) 동서 양 차칸(次間)은 난각(暖閣), 안에는 모두 불상(佛像)이 있었습니다.

 

                                   

                                             동난각(東暖閣) 내부  매화나무 불탑

 

        

                           거울병풍[鏡屛]                  <참고사진>       자단목액자의 어서(御書) 수(壽)

 

                            가경제(嘉慶帝) 어서(御書) 돈본전경기(惇本殿敬紀) <참고사진>

 

         

                            돈본전(惇本殿)의 동서배전(東, 西配殿) <참고사진>

 

돈본전(惇本殿) 앞 동서로는 3칸 황유리기와지붕 건물의 동배전(東配殿)과 서배전(西配殿)이 있습니다. 광서년간 서배전(西配殿)은 황제의 스승을 위한 공간이기도 하였습니다.

 

 

 

▶  육경궁(毓慶宮)

 

 

육경궁(毓慶宮) 의 평면도 <참고사진>

 

육경궁(毓慶宮)의 전전(前殿), 천랑(穿廊), 후전(後殿) 투시도 <참고사진>

 

  

●  전전(前殿), 육경궁(毓慶宮)

  

 

                                           전전(前殿)인 육경궁(毓慶宮) <참고사진>

 

  육경궁(毓慶宮)은 정면5칸, 측면3칸의 황유리기와지붕 건물로 중앙칸을 통해 드나들 수 있습니다.

 

                       

                                       육경궁(毓慶宮) 중앙칸 <참고사진>

 

전전(前殿)인 육경궁(毓慶宮)의 전면(前面) <참고사진>

   

육경궁(毓慶宮)의 현판 <참고사진>

  

 

육경궁(毓慶宮) 앞쪽에는 월대(月臺)가 남쪽의 돈본전(惇本殿)과 서로 접해 있으며, 뒷면의 중앙칸은 천랑(穿廊)으로 연결되어 후전(後殿)과 서로 통하고 있는 공자형("工"字形)의 전(殿)입니다.

 

                                                                                                                                 <참고사진>

육경궁(毓慶宮)의 동서 양쪽에는 각각 20칸의 위방(圍房)이 있어 이를 통해 제4정원 지역으로 갈 수 있습니다.

  

육경궁(毓慶宮)의 전전(前殿) 투시도 <참고사진>

 

육경궁(毓慶宮)의 중앙칸[명칸/明間] <참고사진>

 

육경궁(毓慶宮)의 서초칸(西梢間)과 서차칸(西次間) <참고사진>

 

육경궁(毓慶宮)의 서초칸(西梢間)과 서차칸(西次間)의 다른 모습 <참고사진>

 

육경궁(毓慶宮)의 동차칸(東次間) <참고사진>

 

육경궁(毓慶宮)의 협도(狹道)

 

                     

●  천당(穿堂)

 

 

                  

                                                  천당(穿堂) 평면도 <참고사진>

 

천당(穿堂)은 3칸 건물로 전전(前殿), 육경궁(毓慶宮)과 후전(前殿), 계덕당(繼德堂)을 서로 연결하고 있는 복도식의 구조물이며 황유리기와로 지붕을 처리하였습니다.

 

                                         천당(穿堂) 투시도 <참고사진>

 

3칸의 천당(穿堂) 투시도 <참고사진>

 

     

천당(穿堂) 북쪽 내부 모습 <참고사진>

 

천당(穿堂) 북쪽 내부 <참고사진>

  

                     

천당(穿堂) 북쪽 내부의 벽에 그린 통경화(通景畵) <참고사진>

 

 

 

●  후전(前殿), 계덕당(繼德堂)

 

 

후전(後殿) 평면도 <참고사진>

 

후전(後殿)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황유리기와지붕의 건물입니다. 동쪽으로는 3칸의 동위방(東圍房)이 1칸의 동이방(東耳房)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후전(後殿) 투시도 <참고사진>

 

후전(後殿)의 전면 중앙칸과 천당(穿堂)은 서로 통하게 접해 있으며, 천당(穿堂) 처마 안쪽에 작은 판문이 있어 후전(後殿)과 서로 왕래 할 수 있습니다.

 

 

후전(後殿)에는 작은 방들이 여러칸이 있고 장식이 정교한 문들이 많이 있어 혹 진짜 문(門)인 듯도하고 혹 가짜 문(門)인 듯도하여 혼란스럽기에 "소미궁(小迷宮)"이라고도 칭합니다. 

 

                                        후전(後殿)의 중앙칸 <참고사진>

 

               후전(後殿)의 실내 중앙칸[明間]에는 계덕당(繼德堂)이란 편액이 걸려 있습니다.

 

계덕당(繼德堂) 편액 <참고사진>

 

 

중앙칸[明間]과 동차칸(東次間) 사이에 설치된 매화나무로 만든 칸막이 문

 

서차칸(西次間) 장서실(藏書室) <참고사진>

 

                             가경제(嘉慶帝)는 이곳을 "원위별장(宛委别藏)"이라 이름지었습니다.

 

동이방(東耳房) 내부 <참고사진>

 

원래 이곳은 서방(書房)이었으며, 가경황제가 쓴 "미여서실기략(味餘書室記略)"이 있었고 즉위 후에는 이곳에 재계(齋戒)를 위해 머무르기도 하였습니다.

 

가경제(嘉慶帝)의 어필 편액 "미여서실(味餘書室)"  <참고사진>

 

동이방(東耳房)의 월양문(月亮門) <참고사진>

 

동위방(東圍房) 내에 걸려있는 가경제(嘉慶帝)의 어필 편액 "지부족재(知不足齋)" <참고사진>

 

                                            후전(後殿)의 작은 방[小房] <참고사진>

 

                                       후전(後殿)의 또다른 작은 방[小房] <참고사진>

 

                                                     달마조사상(達摩祖師像) <참고사진>

 

 

 

▶  후조방(后罩房)

 

 

 

 

육경궁(毓慶宮)의 후전(後殿)뒤에 자리하고 있는 후조방(后罩房)은 정면5칸, 측면3칸의 황유리기와지붕의 건물로전면에 툇칸이 있고 중앙문으로 출입하며, 동서 양쪽 끝에 이방(耳房)이 있으며 동서 위방(위방)의 전각과 서로 접해 있습니다. 앞쪽의 뜰은 육경궁(毓慶宮)의 네번째 정원(庭園)입니다.

 

 

 

 

 

 

 

                                                   육경궁(毓慶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