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와 여행(해외)/중국(북경-자금성)

中國(北京) - 재궁(齋宮)/봉선전(奉先殿) 지역

케인스 2012. 6. 23. 01:06

 

                                          재궁(齋宮)

  

    중국 북경(北京)/자금성, 내정(內廷)의 봉선전(奉先殿)

  

 

☞  재궁(齋宮) 구역   

 

        

 

 

재궁(齋宮) 구역 <참고사진>

 

재궁(齋宮)은 후삼궁(後三宮)의 동쪽, 동육궁(東六宮)의 남쪽, 그리고 육경궁(毓慶宮)의 서쪽에 위치하며, 황제가 제사 지내기 전에 재계(齋戒)를 위해 몸과 마음을 깨끗하게 하던 곳입니다. 

 

봉선전(奉先殿) 지역 내의 재궁(齋宮) 구역 위성 사진 <google참고사진> 

 

                    

재궁(齋宮) 평면도 <참고사진>

 

 재궁(齋宮)은 전조후침(前朝後寢) 형식의 장방형 정원이 딸린 두개의 주 건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재궁(齋宮) 구역 <google참고사진> 

 

 

▶  인상문(仁祥門)

 

 

                                     인상문(仁祥門)을 들어서면 왼쪽으로 재궁문(齋宮門)

 

현판

 

인상문(仁祥門) 안쪽

 

 

▶  재궁문(齋宮門)

   

 

재궁문(齋宮門) <참고사진>

 

인상문(仁祥門)을 들어서서 왼쪽의 재궁문(齋宮門)은 재궁(齋宮)의 정문으로 남향입니다.

 

재궁문(齋宮門) 좌우의 동항(銅缸) <참고사진>

재궁문(齋宮門) <참고사진>

 

 

현판 <참고사진>

         

                                   재궁문(齋宮門)을 들어서면 목영벽(木影壁) <참고사진>

 

 목영벽(木影壁) 북쪽으로 재궁(齋宮) <참고사진>

 

▶  재궁(齋宮)

 

         

                                               재궁(齋宮) <참고사진>   

 

재궁(齋宮)은 황제가 천지신명에게 제사 지내기 전에 몸과 마음을 깨끗하게 하던 곳으로, 의전제도에 따르면 제사를 지내기 3일 전부터 황제는 재궁에서 재계(齋戒)를 해야했습니다. 3일간의 재계(齋戒) 기간에는 술을 마시지 않고, 비빈들을과 잠자리를 갖지 않으며, 파, 마늘 등 냄새나는 음식을 먹지않지만 단 고기는 먹어도 되었습니다.

 

 

명대(明代)와 청(淸) 전기까지는 황제(皇帝)가 천단(天壇)과 지단(地壇)에서 제사지낼 때의 재계(齋戒)를 해당 제사 지역의 재궁(齋宮)에서 행하였습니다. 그런데 청(淸) 강희(康熙) 후기 모든 왕자들 사이에서 황위를 이어받기 위한 투쟁이 격렬해지면서 옹정제(雍正帝)가 평온을 확고하게 다지기위해 옹정9년(1731) 자금성 내에 재궁(齋宮)을 건설하고 앞으로 행할 천지(天地) 제사를 위한 재계를 궁내에서 진행하도록 하였습니다. 그때부터는 궁궐 안에서 이틀간 재계하고 다시 천단(天壇)이나 지단(地壇)의 재궁에서 하루를 재계하였습니다. 

                

                                                                                                                  <참고사진>

청(淸) 옹정9년(1731) 명대(明代)에 있던 홍효전(弘孝殿), 신소전(神霄殿) 등의 옛 부지에 새로 지었으며,가경6년(1801) 수리하였습니다.

 

 

                                           건물로 앞쪽으로 3칸의 포하(抱厦) <참고사진>

 

   전전(前殿)인 재궁(齋宮)은 5칸 황유리 기와지붕의 건물로 앞쪽으로 3칸의 포하(抱厦)가 있습니다.

 

월대(月臺) 계단  밑의 동향로(銅香盧)와 동항(銅缸) <참고사진>

 

                                                   월대(月臺) 밑 향로(香盧) <참고사진>

 

                                  월대(月臺) 계단 중앙의 답도(踏道) / 단폐(丹陛) <참고사진>                     

 

                      

                                    전전(前殿)인 재궁(齋宮)의 명칸[明間:중앙칸] <참고사진>

  

재궁(齋宮)의 현판 <참고사진> 

 

 현판 <참고사진>

 

                                                                                                                                     <참고사진>

전내의 중앙에는 "경천(敬天)" 이라는 건륭황제 어필의 편액이 걸려있습니다. 그리고 동난각(東暖閣)은 서실(書室), 서난각(西暖閣)은 불당(佛堂)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전내(殿內) 천장의 금용문(金龍纹) 천화(天花) <참고사진>

 

전내(殿內) 천장의 정 중앙의 금반룡(金蟠龍)이 서린 팔각형 조정(藻井) <참고사진>

 

●  재계의식(齋戒儀式) 

 

청(清) 건륭(乾隆) 상아재계패(象牙齋戒牌)  <참고사진>

 

황제가 재계의식을 올릴 때는 먼저 재궁의 뜰에 재계패(齋戒牌)를 놓고, 그 옆에 동(銅)으로 만든 세개의 인형을 단폐(丹陛)의 좌측에 세웁니다.

 

               

                 동인(銅人)         <참고사진>             재계패(齋戒牌)의 여러 종류

 

당나라의 재상이었던 위징(魏徵), 명나라의 악관(樂官)이었던 냉겸(冷謙), 명나라의 태감이었던 강병(剛炳) 등의 인형인데, 이들의 공통점은 자신을 돋보이게 하고자 아부하는 것을 싫어했다고 합니다. 이들 인형의 한 손에 재계패를 들고 있는데, 황제와 대신들도 한손에 재계패를 들고 예를 올렸습니다.
 

                                     

      재계패(齋戒牌)를 차고있는 모습        <참고사진>                            재계패(齋戒牌) 

 

재계일에는 황제와 제사에 배석하는 대신들은 재계패(齋戒牌)를 차고, 각 궁에서는 재계의 목패(木佩)를 문의 발[簾] 위에 달아둡니다.  

                      

 

동배전(東配殿)

 

전전(前殿)인 재궁(齋宮)의 동쪽과 서쪽에는 각각 3칸의 배전(配殿)이 있습니다. 동배전에는 경전, 시책등을 보관하였습니다.

 

서배전(西配殿)

      

                                정전 좌우의 모서리 회랑은 배전(配殿)과 서로 접해있습니다.

 

전전(前殿)인 재궁(齋宮) 후면의 명칸(明間) <참고사진>

 

 

▶  성숙전(誠肅殿)  

 

 

성숙전(誠肅殿) <참고사진>

 

재궁(齋宮)의 후전(後殿)인 성숙전(誠肅殿)은 침전(寢殿)이며 7칸의 황유리기와지붕의 건물로 동, 서로 각 2칸의 이방(耳房)이 있습니다.

 

 성숙전(誠肅殿) 좌우로는 11칸의 회랑이 있어 전전(前殿)인 재궁(齋宮)과 서로 통하게 되어있습니다.

 

                                

 

후침궁의 처음 이름은 "부옹전(孚顒殿)"이었으나 후에 "성숙전(誠肅殿)"으로 변경되었으며, 명대(明代)에는 이곳을 "신소전(神霄殿)"이라 하여 태후(太后)의 사후 도교 궁전으로 받들어 모시기도 하였습니다.  

  

 

 

 

 

 

                                                           재궁(齋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