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와 여행(해외)/중국(북경-자금성)

中國(北京) - 양심전(養心殿)Ⅲ/자금성 내정(內廷)

케인스 2012. 6. 7. 02:09

 

 

                               양심전(養心殿)

 

 

    중국 북경(北京)/자금성, 내정(內廷)의 양심전(養心殿)

 

 

☞  양심전(養心殿) 지역

  

 

                  

                                                   양심전(養心殿) 지역 <참고사진>                                                                 

                                                                                                  

양심전(養心殿) 지역 <google참고사진> 

   

양심전(養心殿) 지역 구조도 <참고사진> 

 

양심전(養心殿) 구조도 <참고사진> 

     

 

  양심전(養心殿)

                   

 

 

     

                                                양심전(養心殿) 조감도  <참고사진>

 

                                           양심전(養心殿) 전경  <참고사진>

 

 

 

▶  양심전(養心殿)의 후전(後殿) 

 

 

 

  양심전(養心殿)의 후전(後殿) 평면도 <참고사진>

 

 

양심전(養心殿)의 후전(後殿)은 청대(淸代) 황제(皇帝)의 침궁(寢宮)이었습니다. 현재 이곳에는 모든 가구들이 청말(淸末)의 상태대로 보존 진열되고 있습니다. 후전(後殿)은 정면 5칸, 황유리기와지붕의 건물로 명대(明代)의 이름은 '함춘실(涵春室)'이었으나 청대(淸代)에는 이름이 따로 없었습니다.

 

 

 

●  후전(後殿)의 정칸(正間) / 건원자시(乾元資始)

 

 

 

양심전(養心殿) 후전(後殿)의 정칸(正間) 위치도 <참고사진>

 

후전(後殿)의 정칸(正間) <참고사진> 

 

후전(後殿) 정칸(正間)의 편액에는 『건원자시(乾元資始)』라고 쓰여있고, 북쪽에는 항(炕: 난방이 된 따뜻한 앉을자리 또는 침상)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건원자시(乾元資始)<참고사진>

 

건원(乾元)은 천덕(天德)의 큰 시작이므로 만물의 생성이 모두 이것에 의뢰하여 시작한다는 뜻으로 『주역』 건괘에서 유래하였습니다.

 

후전(後殿)의 정칸(正間) 스케치 <참고사진> 

 

 

 

 

 

●  후전(後殿)의 동차칸(東次間) / 천행건(天行健)

 

 

      

양심전(養心殿) 후전(後殿)의 동차칸(東次間) 위치도 <참고사진>

 

                                                                  중앙의 보좌(寶座) <참고사진>

 

북쪽의 벽 밑 중앙에 보좌(寶座)가 있고 걸려있는 편액에는 천행건(天行健)이라 쓰여있습니다.

 

 

 

천행건(天行健)이란 주역의 건괘(乾卦) 『천행건 군자이자강불식(天行健 君子以自彊不息)』에서 따왔으며 "하늘의 운행은 건실하고 강건하다"라는 의미를 가지는데 자연의 순환이 곧 하늘의 운행이니 어김없이 씩씩하게 닥쳐오는 것이 계절의 변화이며, 군자는 이 자연의 씩씩한 운행을 본 받아서 '스스로 쉬임없이 강건해야 한다'는 의미로 자강불식(自彊不息)이라는 어휘와 함께 사용하였습니다.

 

 

●  후전(後殿)의 동초칸(東稍間) / 우일신(又日新)  

 

     

양심전(養心殿) 후전(後殿)의 동초칸(東稍間) 위치도 <참고사진>

         

                                         후전(後殿) 동쪽의 황제 침실 <참고사진>

 

양심전 황제의 침실에는 녹나무[楠木]의 꽃을 금빛으로 조각해 넣은 가리개를 사용하여 방을 화려하게 치장하였습니다.

 

            

 

안쪽에 정교하고 치밀하게 꾸민 침상(寢床)을 설치하였으며, 건륭제(乾隆帝)가 이곳에서 숨졌습니다.

 

 

위에는 우일신(又日新)이란 편액이 걸려있습니다. 우일신(又日新)이란 중국 고대 은나라 때부터 내려오는 고사성어에 "날로 새로워 진다"는 뜻의 "일신우일신(日新又日新)"에서 따온 것으로 후에 서경(書經)과 대학(大學)에서 인용되기도 하였습니다.

 

 

                                                                                               <참고사진> 

 

황제의 침상은 두개로 동쪽 끝칸과 서쪽 끝칸에 하나씩 있습니다. 동쪽방의 것은 황후가 시침(侍寢)들 때 쓰는 것이고, 서쪽방의 것은 황귀비, 비, 빈, 귀인 등이 시침들 때 쓰는 것입니다. 동쪽방에는 체순당(體順堂)이란 곁방이, 그리고 서쪽방에는 연희당(燕禧堂)이란 곁방이 달려 있는데, 이들 방은 시침드는 사람이 머무르는 곳이었고 그날 그날의 시침들 여인은 황제가 결정하였으며 담당 태감이 전달하였습니다.

 

 

●  후전(後殿)의 서차칸(西次間) 

 

     

       

양심전(養心殿) 후전(後殿)의 서차칸(西次間) 위치도 <참고사진>

 

 

용거(雲龍柜) <참고사진>

 

양심전 후전 서차칸(西次間)에는 용과 구름무늬가 조각된 대형 장농이 비치되어 있습니다.

 

  

●  후전(後殿)의 서초칸(西稍間) / 화자당(華滋堂)

 

         

양심전(養心殿) 후전(後殿)의 서초칸(西稍間) 위치도 <참고사진>

                                                                      

서초칸(西稍間), 화자당(華滋堂) <참고사진>

 

황제의 침실 두개 중 한개로 서쪽에 있는 방이며, 황귀비, 비, 빈, 귀인 등이 시침들 때 쓰는 침상(寢床)이 있는 침실(寢室)입니다.

 

                             

  서초칸(西稍間) <참고사진>

 

황제의 침상은 두개로 동쪽 끝칸과 서쪽 끝칸에 하나씩 있습니다. 동쪽방의 것은 황후가 시침(侍寢)들 때 쓰는 것이고, 서쪽방의 것은 황귀비, 비, 빈, 귀인 등이 시침들 때 쓰는 것입니다.

 

 

 

▶  양심전(養心殿) 후전(後殿)의 이방(耳房) 

 

 

 

 

양심전(養心殿) 후전(後殿)의 이방(耳房) 위치도 <참고사진>

 

양심전(養心殿) 후전(後殿)에는 동, 서쪽에 이방(耳房) 각 5칸의 건물이 있는데 동쪽은 체순당(體順堂), 서쪽은 연희당(燕禧堂)이라고 합니다.

 

 

●  체순당(體順堂)     

 

 

       

양심전(養心殿) 후전(後殿)의 동쪽 이방(耳房) 위치도 <참고사진>

 

 체순당(體順堂) <참고사진>

 

후전(後殿) 동쪽의 끝 이방(耳房) 5칸이 체순당(體順堂)으로 명대(明代) 건설하였으며 명초(明初)에는 '융희관(隆禧館)'이었으나 함풍제(咸豊帝)가 이름을 '수복전(绥覆殿)'으로 개칭하였고, 후에 '동화전(同和殿)'으로 다시 바뀌었던 것을 광서(光瑞)초 지금의 이름으로 정해졌습니다. 동쪽으로는 동위방(東围房)과 접해있으며 황유리기와 지붕 형식입니다.                     

 

 

체순당의 현판은 자희태후[서태후]의 어필입니다. 체순(體順)이란 '주역(周易)'에서 따온 말로 '순이종군야(順以從君也)' 즉 '순해서 임금을 좇음이라' 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체순당 내부 <참고사진>

 

체순당(體順堂)은 황후(皇后)가 시침들 때 머무르는 곳입니다. 동치(同治)초년 수렴청정 시 자안태후(慈安太后)가 거주 하였습니다. 동쪽으로는 동위방(東围房)과 접해있으며 황유리기와 지붕 형식입니다.   

 

체순당 내부 <참고사진>

 

체순당 내부 <참고사진>

 

체순당 내부 <참고사진>

 

체순당 내부 <참고사진>

 

체순당 내부 <참고사진>

 

체순당 내부 <참고사진>

 

체순당 내부 <참고사진>

 

              

●  연희당(燕喜堂)    

 

 

양심전(養心殿) 후전(後殿)의 서쪽 이방(耳房) 위치도 <참고사진>

 

연희당(燕喜堂) <참고사진> 

 

연희당(燕禧堂)은 명대(明代)에 건설하였으며 진상관(臻祥館)이라 하였으며 함풍제(咸豊帝)가 "평안실(平安室)"이라 이름을 내렸으나 광서(光緖) 년간 연희당으로 개칭하였습니다. 6칸 건물입니다.

 

 

연희당(燕喜堂) 내부 <참고사진> 

 

황귀비, 비, 빈, 귀인 등이 시침들 때 시침드는 사람이 머무르는 곳입니다. 동치(同治)초년 수렴청정 시 자희태후(慈禧太后)가 거주 하였습니다. 서쪽으로는 서위방(西围房)과 접해있으며 황유리기와 지붕 형식입니다.

 

연희당(燕喜堂) 내부 <참고사진> 

 

연희당(燕喜堂) 내부 <참고사진> 

 

연희당(燕喜堂) 내부 <참고사진> 

 

연희당(燕喜堂) 내부 <참고사진> 

 

연희당(燕喜堂) 내부 <참고사진> 

 

                                                    연희당(燕喜堂) 내부 <참고사진> 

 

                          

                                 도광제 어필(道光帝御筆) 구구소한도(九九消寒图) <참고사진>

 

연희당(燕禧堂) 내에는 도광제(道光帝) 어필(御筆) 구구소한도(九九消寒图) 가 걸려있는데 겨울 추운 기간을 [九九] 라 하여 구구소한도(九九消寒图)라는 것을 벽에 붙여 놓고 표시하며 지겨운 겨울이 지나가는 것을 한 눈에 볼 수 있게 하는 풍속이 있었습니다.

 

 

 

 

 

 

 

 

 

                                              양심전(養心殿)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