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와 여행(해외)/중국(북경-자금성)

中國(北京) - 무영전(武英殿)/자금성 외조(外朝)

케인스 2012. 3. 11. 01:18

 

 

                                                       무영전(武英殿)

 

 

중국 북경(北京)/자금성(紫禁城) 외조(外朝), 무영전(武英殿)지역

    

☞  무영전(武英殿) 구역    


 

                                           

                                                                       무영전(武英殿) 구역 위치 <참고사진>

 

                                                

                                                         무영전(武英殿) 구역 위치 <참고사진>

 

무영전(武英殿)은 희화문(熙和門)의 서쪽에 있습니다. 협화문(協和門) 동쪽에 있는 문화전(文華殿)과는 태화문(太和門)을 중심으로 동쪽과 서쪽 서로 대칭으로 자리하고 있어 일문일무(一文一武)의 형식을 갖추고 있습니다.

                               

                                                                 무영전(武英殿) 구역  <참고사진>


무영전(武英殿) 구역의 정전(正殿)인 무영전(武英殿) 앞에는 무영문(武英門), 뒤에는 경사전(敬思殿), 동,서로 배전(配殿)인 응도전(凝道殿)과 환장전(煥章殿)이 있습니다. 한편 동북쪽에는 항수재(恒壽齋), 서북쪽에는 욕덕당(浴德堂)이 있으며, 서쪽에 정정(井亭)이 있습니다.

 

                                     무영전(武英殿) 건물 군(群)  <참고사진>


전전(前殿)인 무영전(武英殿)은 명초(明初)에 건설되었고 남향(南向)이며, 정면5칸, 측면3칸 건물로서 황유리기와에 팔작지붕 형태의 건물로서 한백옥석 난간의 월대가 앞으로 나와있으며 무영문과 통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후전(後殿)은 경사전(敬思殿)이며 전전(前殿)인 무영전(武英殿)과는 같은 형식으로 지었으며, 전후전 사이에는 행랑이 있어 서로 통하게 되어 있습니다.

 

                                                                                <참고사진>

2005년 자금성의 대수리 때 무영전 구역도 수리하였으며 무영전과 경사전은 현재 서화관(書畵館)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동서 배전(配殿)은 전적관(典籍館)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무영문(武英門)


 

 

                                           

무영전(武英殿) 구역의 무영문(武英門) 위치와 현판 <참고사진>

 

현판은 원래 만(滿),한(漢) 양 문자로 씌어 있었으나 현재는 단지 한문으로만 씌어있습니다. 청(淸) 멸망 후 원세개(袁世凱)가 황제 기간동안 새로 제작하도록 하였습니다.

   

                                   

                                                                   무영문(武英門)  <참고사진>

 

무영문(武英門)  <참고사진>

 

                      무영문(武英門)은 무영전(武英殿)의 정문(正門)으로 정면5칸, 황유리기와지붕 건물입니다. 

 

                                                                  내금수하(內金水河) <참고사진>

 

                     문 앞에는 내금수하(內金水河)가 둘러싸고 있고 금수하의 위로는 3개의 석교(石橋)가 놓여있습니다.

 

석교(石橋)  <참고사진>

 

                                                          다리 양쪽으로는 한백옥 난간과 망주가 있습니다.

 

 

답도(踏道)  <참고사진>

                      

             어로(御路)인 중간계단 사이 커다란 어로석(御路石)에 용(龍)과 파도 및 구름 문양이 조각되어 있는 답도(踏道) 입니다.

 

                    

                                  한백옥석(漢白玉石) 난간에 둘러쌓인 무영문(武英門)의 기단(基壇) <참고사진> 

 

                                         무영문(武英門) 처마 밑의 금룡채화(金龍彩畵)  <참고사진> 

 


                          

                                            무영문(武英門) 앞 동정(銅鼎: 청동향로)과 동항(銅缸:동항아리) <참고사진>

 

                                                무영문(武英門) 석교(石橋) 앞 양쪽에 배치된 사자상 <참고사진>

 

                              

                            무영문(武英門) 서쪽의 암사자상[좌] 및 동쪽의 숫사자상[우]  <참고사진>

 

 

무영전(武英殿)과 경사전(敬思殿)

  

 

                                    

무영전(武英殿) 구역의 무영전(武英殿)과 경사전(敬思殿)의 위치 <참고사진> 

 

                                                             

                                                                     무영전(武英殿) 현판 <참고사진> 

 

     

  무영전(武英殿)지역  <GOOGLE참고사진>

 

     무영전(武英殿) 구역의 정전(正殿)인 무영전은 명초(明初)에 세웠으며 외조(外朝) 희화문(熙和門)의 서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무영전(武英殿) <참고사진>

 

정전(正殿)인 무영전(武英殿)은 남향이며 정면5칸, 측면3칸 황유리기와 지붕의 건물로 한백옥섯 기단위 수미좌(須彌座)에 자리잡고 있으며 앞쪽에는 월대(月臺)가 있고 무영문(武英門)과는 직접 통로로 이어져 있습니다.

 

                                                              무영전(武英殿) <참고사진>


명초(明初)에는 황제가 기거하면서 대신들을 접견하던 곳이었으나 후에 문화전(文華殿)으로 그 기능을 옮겼습니다. 숭정(崇禎)년간 조하의식이 거행되는 등 소규모 의식이 거행되었으며 청초(淸初)에는 황제의 편전으로도 사용되기도 하였습니다.

 

                                   

                                                                        무영전(武英殿) <참고사진>


명말(明末) 숭정17년(1644) 이자성(李自成)이 북경을 침공하고 대순(大順)정권을 세웠고 4월29일 무영전(武英殿)에서 즉위의식을 거행하였습니다. 하지만 다음날인 30일 북경에서 물러나 서남쪽으로 이동하게됩니다.

 

                                                                       다이곤(多爾袞) 초상화 <참고사진>


한편 청병(淸兵)이 북경 진입 초기 청 태조 누르하치의 아들이자 청 태종의 동생인 섭정왕(摄政王) 다이곤(多爾袞)이 이곳에서 처음으로 일을 보기 시작하였으며 명(明)의 신하들을 접견하였습니다.

 

                                                         무영전(武英殿)  <참고사진>

 

강희(康熙)8년(1669)에는 태화전, 건청궁 등의 수리로 인해 강희제(康熙帝)가 이곳으로 이거한 바 았으며 동치(同治)8년(1869) 화재가 발생하여 전, 후전 등 37칸이 소실되어 같은해 중건 되었습니다.

 

                              

무영전(武英殿) 전판(殿版) <참고사진>

 

한편 이후에 무영전(武英殿)에는 서국(書國) 즉 황실의 출판 관련 기구가 들어섰으며, 이곳에서 발간된 서적은 전판(殿版)이라 하여 귀하게 여겼습니다.

 

                                                  현재 서화관(書畵館)으로 이용하고 있는 무영전의 내부  <참고사진>

 

                      

                                                                          무영전(武英殿)  <참고사진>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에서..

 

"협화문(協和門) 밖에 무영전(武英殿)이 있다. 제도는 문화전과 다름없었다. 옹화문(雍和門)과 서화문(西華門)이 서로 곧장 마주 대하고, 협화문과 동화문(東華門)이 서로 마주 대했는데, 무영전 앞에는 무연각(武淵閣)이 있다. 대체로 전각의 대문과 단장들은 어디고 서로 마주 대짝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것이 없었다. 뜰의 척수도 반드시 서로 맞아 조금도 차가 없었다. 숭정(崇禎) 갑신년(1644년)에 다이곤(多爾袞)이 수도에 들어와 명(明)의 문무관의 조하(朝賀)를 무영전에서 받았다."

 

                                                                                                     <참고사진>

천랑(穿廊) <참고사진>

 

현재 서화관(書畵館)으로 이용하고 있는 천랑(穿廊)의 내부  <참고사진>

 

경사전(敬思殿) <참고사진>

 

현재 서화관(書畵館)으로 이용하고 있는 경사전(敬思殿)의 내부  <참고사진>

 

                                                                 천랑(穿廊)과 경사전(敬思殿) <참고사진>

 

후전(後殿)인 경사전은 그 형식과 제도가 무영전(武英殿)과 거의 같으며, 무영전(武英殿)과는 복도식 천랑(穿廊)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응도전(凝道殿)과 환장전(煥章殿)

 

 

      

무영전(武英殿) 구역의 응도전(凝道殿)과 환장전(煥章殿)의 위치 <참고사진> 

 

                                                            동배전(配殿)인 응도전(凝道殿) <참고사진>

 

서배전(配殿)인 환장전(煥章殿) <참고사진>

 

             동쪽과 서쪽에는 각각 배전(配殿)인 응도전(凝道殿)과 환장전(煥章殿)이 있습니다. 또한 좌우로 회랑63칸이 있습니다.

 

 

욕덕당(浴德堂)

 

 

무영전(武英殿) 구역의 욕덕당(浴德堂) 위치 <참고사진> 

 

욕덕당(浴德堂) <참고사진>

 

욕덕당은 남향이며 3칸의 황유리기와 지붕의 건물로 뒤쪽으로 2칸의 포하(抱廈)가 접해있고, 욕덕당 동차칸(東次間) 뒤쪽으로 벽문(壁門)이 있어 후실(後室)과 통하게 되어 있습니다. 

 

욕덕당(浴德堂) 현판 <참고사진>

 

                                                                          욕덕당 후실(後室) <참고사진>


    욕덕당 후실(後室) <참고사진>


후실(後室)은 평면 정방형으로 중앙 위에는 둥근 지붕으로 덮여있습니다.

 

                                                                           후실(後室)  내부 <참고사진>


실내의 한칸에는 욕실이 있고 원형의 커다란 옹기 형태를 닮았으며 벽면은 꼭대기까지 유리벽돌로 쌓여있고 꼭대기는 뚫려있습니다.

 

    후실(後室)  내부 <참고사진>


이곳은 황제가 제사를 지내기 전 재계(齋戒)를 위해 목욕(沐浴)을 하던 곳입니다.

 

                                                                                                              <참고사진>


                  <참고사진>


                      담 뒤로 벽화로가 있고 서쪽에 있는 정정(井亭)으로부터 물을 끌어들여 물을 덥혀 안으로 공급하게 되어있습니다.

 

 

정정(井亭)

 

 

무영전(武英殿) 구역의 정정(井亭) 위치 <참고사진>

 

                                          

                                              무영전(武英殿) 구역 서북쪽에는 있는 우물 정자, 정정(井亭)  <참고사진>

 

 


                                                                   무영전(武英殿)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