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일지/한국명산

관악산(09.05.30)

케인스 2009. 5. 31. 11:34

 

 

                                               관악산 (09.05.30)

           

                                       

등산코스  

 

사당역 - 관음사 - 제1국기봉 - 하마바위 - 마당바위 - 관악문 - 연주대 - 연주암 - 팔봉능선입구 - 8봉 - 7봉 - 안양 소공원과 무너미고개 중간지점 - 무너미고개(K42) - 제2삼거리위암반(K45) - 삼거리약수터(K41) - 삼거리약수터,상(K40) - 제6야영장(K37) - 공학관,상(K30) - 제4야영장 - 호수공원 - 서울대입구매표소

 

 

                        ━━━━━ 실제산행경로      ••••• 계획한산행코스 

  

 

 

 

                               ━━━━━ 실제산행경로      ••••• 계획한산행코스 

 

 

▶ 실제 산행 시간: (8시간25분 소요) 

 

사당역---(20분)--- 관음사<11분관람>---(24분)--- 제1국기봉---(20분)---헬기장---(13분)---하마바위---(16분)---마당바위---(8분)---제1헬기장---(16분)---제2헬기장---(16분)---관악문---(25분)---연주대<20분관람>---(23분)---연주암<5분관람>---(47분)---팔봉입구---(9분)---8봉---(11분)---7봉---(1시간11분:점심시간20분포함)---안양소공원과 무너미고개 중간지점---(19분)---무너미고개(K42)---(2분)---제2삼거리위암반(K45)---(5분)---삼거리약수터(K41)---(7분)---삼거리약수터,상(K40)---(43분)---제6야영장(K37)---(14분)---공학관,상(K30)---(19분)---제4야영장---(25분)---호수공원---(16분)---서울대입구매표소

  

 

▶ 산행 참고사진

 

 

                    사당역 4번 출구에서 약 150m 전방 우측 주택가 골목으로 진입 / 07:49

 

                                                  관악산 공원 입구 / 07:56

 

  

                                                     관악산공원 안내도

 

관악산(冠岳山)

 

관악산은 관악구, 금천구와 경기도 안양시, 과천시의 경게에 있는 산으로 전체면적은 1,922만m2(약582만평), 최고봉은 연주대(해발629.1m)이며, 1968년1월15일 도시자연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관악산은 예로부터 경기금강, 또는 소금강이라고 불리우기도 하였으며, 근기오악(近畿五岳: 송도의 송악, 가평의 화악, 적성의 감악, 포천의 운악, 서울의 관악)중위 하나이기도 하다. 풍수지리설에 따르면 한양을 에워싼 산 중에서 남쪽의 뾰족한 관악산은 화덕을 가진 산으로 조선조 태조가 한양에 도읍을 정할 때 화기를 끄기위해 경복궁 앞에 해태를 만들어 세우게한 '불기운의 산'이라고 하는 유래도 있다.

 

산의 형세는 비록 태산은 아니나, 준령과 괴암이 중첩하여 장엄함을 갖추었고, 봄철에 무리지어 피는 철쭉꽃과 늦가을의 단풍이 장관을 이루고 있으며, 그 정기가 뛰어나 많은 효자, 효부와 충신 열사를 배출한 명산으로 고려시대의 강감찬 장군과 조선시대의 신자하 선생이 그 대표적인 인물이라 하겠다.

 

관악산과 인접한 삼성산은 삼성(三聖)이라고 일컬어지는 원효, 의상, 윤필이 이 산중에서 일막, 이막, 삼막 등의 세 암자를 지어 수도하였다는데 일막, 이막은 임진왜란 때 타버리고 지금은 삼막만 남았는데 이것이 삼막사이다. 그 외에도 1,500여 봉우리와 구릉곳곳에 사찰(관음사, 보덕사, 호압사, 성주암, 자운암, 약수암, 연주암 등)이 산재하고 있다.     <안내판에서>

 

                                2007년 4월에 신축한 관악산 관음사 일주문 / 08:02 

 

                             

                                                        관음사 일주문 현판

 

                                                 관음사 입구 장승 / 08:05

 

                      관음사 가는 길과 관음사 담장을 따라 가는 등산길 입구 / 08:06

 

                                                         관음사 / 08:06

 

          

 

 

                                                         명부전(冥府殿)

 

명부전은 1997년 정면 3칸, 측면 2칸, 팔작지붕의 건물로 지어졌습니다. 불교에서는 사람이 죽은 뒤에 심판을 받는 곳을 명부(冥府)라 합니다. 그리고 온갖 죄악으로 죽어서 지옥으로 간 중생에게 구원의 손길을 보내 그곳에서 그들을 구원해 내는 분을 지장보살이라 일컫기에 지옥의 세계인 명부세계의 주존으로는 지장보살을 모시고 있습니다. 그래서 명부전(冥府殿)  또는 지장전(地藏殿)이라 일컫기도 합니다. 한편 명부전 안에는 죽은 이를 심판하는 열명의 심판관이 들어서 있기에 시왕전(十王殿)이라 지칭하기도 합니다.  

 

       

                                                   명부전내부  <자료:관음사>

 

                       명부전 외벽의 벽화, 극락을 향해 가는 반야용선(般若龍船)

 

지장보살이 반야용선을 타고 중생들을 극락세계로 인도하는 장면을 묘사한 그림입니다. 불교에서 반야용선(般若龍船)은 지금 우리가 살고있는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이 아비규환의 세상인 사바세계에서 모든 괴로움이 없고 항상 즐거움만 있다는 극락정토(極樂淨土)로 건너갈 때 타고 가는 상상의 배를 말합니다. 반야(般若)란 '진리를 깨달은 지혜'를 뜻합니다.

 

                       

                                                불교방송개국기념 9층석탑

 

    재단법인 불교방송이 발원한 불교방송개국기념대탑인 9층석탑이 1997년에 조성되었습니다.

 

                 

                                         명부전 뒤쪽 대나무 숲에 조성된 석물들

 

                                   

                                            9층석탑 앞 석등 속에 자리한 불상

 

                        

                                   수려한 나무 뒤로 9층석탑과 오른쪽엔 건립비

 

                                                        범종각(梵鐘閣)

 

1980년 신축된 범종을 달아 놓은 전각입니다. 당호는 절에 따라 범종루,종각,종루라고도 하는데, 일반적으로 단층일 경우 각(閣)이라 하고, 중층일 경우 루(樓)라고 합니다. 범종각에 범종과 함께 두는 법전사물(法殿四物)은 법고(法鼓), 운판(雲板), 목어(木魚)이며 법고는 바닥에 두고 운판과 목어는 보나 도리에 매답니다.

 

                                                     삼성각(三聖閣) 

 

1989년 증. 개축된 삼성각(三聖閣)은 수명장수신으로 일컬어지는 칠성(七星)과 천태산에서 혼자 도를 닦아 깨달음에 이르른 ‘독성’이라는 나반존자(那畔尊者) 그리고 원래 불교와는 관계가 없는 민족 고유의 토속신앙인 산신(山神)을 모셔 놓은 전각입니다.

 

        

                                                삼성각 내부  <자료:관음사>

 

                        

                                            용왕각(龍王閣)과 수각(水閣)

 

1989년 증. 개축된 사찰에서 보기 드문 용왕각(龍王閣)과 그 앞쪽에 조성되어 있는 물이 흐르는 수각(水閣)이 이채롭습니다.

 

       

                                                 용왕각 내부  <자료:관음사>

 

                        

                                             2005년에 조성된 관세음보살 입상

 

                                           1977년 증.개축된 대웅전(大雄殿)

 

대웅전은 수미단(須彌壇)이라 부르는 불단을 설치하여 석가모니부처를 봉안하고 예불과 불공, 기도, 법요 등 불교의 핵심 의식과 신앙 행위가 행해지는 장소로서 사찰에서 중심을 이루는 건물이며 가장 중요한 곳입니다. '대웅'이라는 명칭은 법화경에서 석가모니를 위대한 영웅이라고 지칭한데서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대웅보전(大雄寶殿)이라고 격을 높여 부르기도 합니다.

 

석가모니가 본존불이 되고, 좌우로는 부처의 지혜를 상징하는 문수보살과 부처의 덕을 상징하는 보현보살을 세우는 것이 일반적이며, 석가모니 좌우의 부처가 아미타불과 약사여래인 경우 그 옆으로 다시 협시보살을 두기도 합니다.

 

       

                                                 대웅전삼존불  <자료:관음사>

 

                                      공양당(供養堂:좌)요사채(寮舍寨:우)

 

사찰 내에서 전각이나 산문 외에 승려의 생활과 관련된 건물을 아울러 이르는 말입니다. 스님들의 식사를 마련하는 부엌과 식사를 하는 식당, 그리고 스님들이 쉬고 잠자는 공간이 마련된 곳이며, 신도들이 법당에 절을 하고 기도를 올린 다음 가서 쉬기도 하며 음식을 준비하거나 먹기도 하는 장소입니다. 요사채 가까이는 창고와 우물, 장독, 세탁장, 쌀뒤주와 돌확 등 생활에 필요한 시설들이 한데 모여 있습니다. 이곳의 요사채 및 공양당은 2001년에 신축되었습니다.

 

                  

                                    관음사 중문(中門)                                중문(中門)에 그려진 수호신상

 

불법을 수호하는 사천왕을 모신 천왕문이 없기에 중문에 수호신을 그려 사찰을 수호하는 기능을 대신한 것 같습니다.

     

               

                              관음사를 둘러본 후 담장을 따라 연주대로... / 08:17

 

                       

                                                              08:24

 

                                              조망(眺望), 북한산 능선 / 08:28

 

                                           관음사 0.6km, 연주대 3.4km / 08:31

 

                        

                                                        제1국기봉 / 08:41

 

                                             조망(眺望), 관악구 방향 / 08:46

 

                

                  

                                                         거북바위 / 08:53

 

                                                       가야할 길 / 08:54

 

                                                                 08:57

 

                                                                 08:59

 

                       

                                           관음사 1.3km, 연주대 2.7km / 09:01

 

                       

                                                헬기장과 제2국기봉 / 09:01

 

                                         낙성대방향 삼거리(연주대 2.5km) / 09:05

 

                        

                                                      연주대 2.4km / 09:10

 

                                                      연주대 2.3km / 09:11

 

                                                   조망(眺望), 한강 / 09:14

 

                                                        하마바위 / 09:14

 

                       

                                         K6지점, 하마바위(산악표지판) / 09:14

 

                       

                                                  하마바위 앞모습 / 09:17

 

                                             일명 똥바위와  멀리 정상 / 09:17

 

                        

                                                  혹시 불독바위(?) / 09:23

 

                                   

                                          K8지점, 마다바위(산악표지판) / 09:30

 

                                                        마당바위 / 09:30

 

                                  

                                        K10지점, 헬기장,하(산악표지판) / 09:38

 

                                                      조망(眺望) / 09:42

 

                                           K11지점, 헬기장(산악표지판) / 09:54

 

                                             조망(眺望), 관악산 정상 / 09:57

 

                                                  연주대 600m지점 / 10:03

 

                                                         오르고.. / 10:08

 

                                  

                                        K20지점, 관악문,하(산악표지판) / 10:10

 

                       

                                                  관악문을 향해.. / 10:10

 

                                                         관악문 / 10:10

 

                                                 관악문에서 본 정상 / 10:11

 

                                     관악문을 지나 뒤돌아 보면 지도바위가.. / 10:12

 

   

                                       지도바위

 

                                                                 10:13

 

                              조망(眺望), 관악산 정상의 연주대와 기상관측소 / 10:13

 

                 

                                      K21지점, 관악문,상(산악표지판) / 10:22

 

                 

                                                                 10:23

 

                                                  정상을 향한 로프 / 10:34

 

 

                                    관악산 정상 (冠岳山, 해발 629m) / 10:35

 

역사속의 관악산

 

관악산은 옛날부터 개성 송악산(松岳山), 가평 화악산(華岳山), 파주 감악산(紺岳山), 포천 운악산(雲岳山)과 함께 경기도 오악(五岳)의 하나였다. 철따라 변하는 산 모습이 마치 금강산과 같다 하여 ‘소금강(小金剛)’ 또는 서쪽에 있는 금강산이라 하여 ‘서금강(西金剛)’이라고도 한다.

 

일찍이 고려 숙종 원년(1069) 김위제가 지리도참설에 의해 남경 천도를 건의할 때 삼각산 남쪽을 오덕구(五德丘)라 말하며, 그 남쪽의 관악은 모양이 날카로와 화덕(火德)에 속한다고 말하고 있다. 이렇듯 관악산은 서울의 조산(朝山)으로 일찍이 역사무대에 등장했으며, 남쪽 봉우리 삼성산 중턱에 있는 삼막사에는 몽고항쟁 때 적장 살리탑을 살해한 기념으로 세웠다는 삼층석탑이 있다. 물론 관악산은 그 이전 한강을 중심으로 백제·고구려·신라 삼국이 쟁탈전을 펼치고 당군(唐軍)을 축출할 때 그 지형상 군사적 요충지가 되었다. 서쪽 끝 봉우리에 해당하는 호암산에는 삼국시대에 쌓은 석축 산성이 있어 그 사실을 증명하고 있다. 조선후기 기록인 『연주암지(戀主庵誌)』에는 신라 문무왕 17년(677) 의상대사가 관악사와 의상대를 창건하였다고 한다.

 

관악산 명칭의 유래

 

검붉은 바위로 이루어진 관악산은 그 꼭대기가 마치 큰 바위기둥을 세워 놓은 모습으로 보여서 ‘갓 모습의 산’이란 뜻의 ‘갓뫼(간뫼)’ 또는 ‘관악(冠岳)’이라고 했다. 관악산은 옛 지도에는 ‘관악’으로 많이 나온다. 악(岳) 자체가 산(山)을 뜻하기 때문에 옛날에는 그 뒤에 다시 ‘산’자를 덧붙이지 않는 것이 관례였다. 운악·북악·치악 등이 모두 그와 같은 예들이다.  <자료:관악구청>

 

                                         정상 앞쪽으로 기상관측소와 통신시설

 

                                                         정상의 삼각점

 

삼각점(△)이란 지도를 그리는 기준으로 삼각 측량을 해서 점의 위치를 경도와 위도 상으로 정확하게 결정해 놓은 지점을 의미합니다. 삼각점 옆에는 국기봉이 있었던것 같은데 잘라져 밑부분만 남아있습니다.

 

                 

                                                       정상의 물웅덩이

 

관악산은 산봉우리의 모양이 불과 같아 풍수적으로 화산(火山)이 된다 합니다. 따라서 이 산이 바라보는 서울에 화재가 잘 난다고 믿어 그 불을 누른다는 상직적인 의미로 산꼭대기에 못을 파고 숭례문 바로 앞에는 남지(南池)라는 연못을 파기도 하였답니다. 이 우물형태의 웅덩이도 화산의 타오르는 불울 막아내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파 놓은 것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정상의 비정상

 

                                                  조망(眺望), 과천방향(右) 

 

 

                                                    조망(眺望), 강남 방향

 

                                                    기상관측소와 통신시설

 

                                              K22지점, 연주대(산악표지판)

 

 

                                                      과천시 경관 안내도

 

                                                     산악사고 안내표지판

 

                                               연주대 (연주암의 응진전)

 

                       

 

                                                    연주암 응진전(應眞殿)

 

석가모니 부처님의 제자로서 번뇌를 끊어버린 나한님들을 모신 전각으로 진리와 합치한다 하여 응진전(應眞殿)이라 부릅니다.

 

 

 

                                                       하산시작 / 10:55

 

                                                          연주대 / 11:05

 

불의 산(火山)이라 불리는 관악산은 그 정상이 큰 바위기둥을 세워 놓은 것 같은 천애절벽으로 여러개의 봉우리가 암봉을 이루고, 검붉은 바위가 주위의 초목과 어울려 한폭의 그림과 같은 풍경을 연출하고 있습니다.

 

                                         관악사지 100m, 연주샘 200m / 11:11

 

                                              연주암의 영산전(靈山殿) / 11:11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묘법연화경을 설한 영산회상(靈山會上)의 장면을 묘사한 영산회도(靈山會圖)를 모시기 위하여 지은 건물입니다. 영산회(靈山會)란 석가모니 부처님이 영취산에서 많은 제자들을 모아놓고 가르침을 베풀던 모임입니다.

 

                                                   효령각(孝寧閣) / 11:16

 

조선왕조 제3대 임금인 태종과 원경황후 민씨의 둘째 아들로 세종의 형인 효령대군(孝寧大君, 1396-1486)의 영정을 봉안한 곳입니다. 

 

문헌상에 효령대군이 관악산에 오른 것은 그가 33세 때인 세종10년(1428)으로, 관악산에 올라 시를 짓고 세종을 그리워하며 관악산 제일 높은 봉우리 바위에 '戀主臺'라 친히 새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효령대군은 1429년에 관악사를 중수함과 동시에 약사여래상과 미륵존상, 오층석탑을 조성하였다. <자료:서울시>

 

      

                               효령대군 영정(경기도 유형문화재 제 81호) / 11:16


효령대군(孝寧大君, 1396-1486)은 태종과 원경황후 민씨의 둘째 아들로 세종의 형이다.  효성이 지극했으며 독서를 즐기고 활쏘기에 능하여 늘 태종을 따라 사냥터에 다녔다고 한다.


가로 74cm, 세로 90cm 의 효령대군의 영정은 정면을 바라보며, 왕이 평상시에 쓰는 관인 익선관 형태의 황색관모를 쓰고 깃과 소매에 녹색의 선을 댄 홍포를 입고서 용과 봉황으로 장식된 의자에 앉아 있는 모습이다. 의자와 발을 올려놓은 족좌대는 흔히 보기 어려운 독특한 형태로 비록 여러번 옮겨 그려 정확한 제작 연대를 알기 어려우나 원본의 형태를 전하고 있다. 얼굴은 정면을 보는 관계로 각 세부가 도시적이고 미숙하게 처리되었다. 하지만 오른손으로 물건을 잡고 있는 자세는 조선전기 초상화에서 보기드문 것으로 이 그림이 갖는 특이한 표현이다.

이 작품은 비록 여러번 모사된 그림이지만, 조선 전기 초상화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안내판에서..>

 

                                         연주암 대웅전(단청 불사 중) / 11:18

 

                                                       대형 멧돌 유구

 

멧돌의 크기로 보아 관악사 승려와 신도들의 수와 사찰의  규모가 대단하였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연주암 삼층석탑

 

                       

                                                 연주암 삼층석탑 기단 부분

 

                                                             종각(鐘閣)

 

                        

                                                       당간지주(幢竿支柱)

 

많은 대중이 운집하는 날 의식용의 큰 불화인 괘불탱화가 쓰이게 되는데, 이러한 의식을 거행할 때 법당 앞의 당간지주(幢竿支柱)에 걸어 놓고 예불을 드리게 됩니다.

 

                                             천수관음전(千手觀音殿) / 11:23

 

천개의 눈과 천개의 약손으로  중생들의 아픔을 어루 만져 주시고 소원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도와 주신다는 천수 천안 관세음 보살님을 모신 전각이기에 천수관음전(千手觀音殿)이라고 합니다.

 

                        

                                      연주암의 천수천안관세음보살상 <자료사진>

 

                                                     팔봉능선으로 / 11:27

 

                        

                                                                 11:31

                        

                               KBS송신소지점(팔봉능선 2km, 연주암 0.3km) / 11:35

 

                                              조망(眺望), 팔봉능선 / 11:51

 

                                                조망(眺望), 삼성산 / 11:54

 

삼성산 [三聖山]

 

서울시 관악구와 안양시를 경계로 하는 삼성산은 관악산 주능선에서 서쪽으로 뻗어내린 팔봉능선을 타고 무너미고개로 내려 않다가 다시 솟구쳐 오른 산으로, 삼성산 아래 국기봉과 삼막사로 많이 알려져 있으며 바위로 된 암산이다. 관악산과 삼성산은 양쪽 봉우리가 서로 이어져 있어 일반 등산객들은 삼성산을 관악산의 한 작은 봉우리로 여겨 요즘은 특별하게 둘을 구분하지 않고 있다.

 

삼성산의 유래는 설이 구구하다. 보통 원효, 의상, 윤필의 세 고승이 신라 문무왕 17년(677)에 조그마한 암자를 짓고 수도에 전진하던 곳이 삼막사의 기원이며, 아울러 삼성산의 산명도 이 세 고승을 정화시켜「삼성산(三聖山)」 이라 칭했다는 설이 일반에 널리 알려져 있으나, 불교계 일각에서는 불가에서 말하는 극락세계의 교주(敎主)인 아미타불과 그 왼쪽에 있는 관세음 보살 및 오른쪽에 있는 대세지 보살을 삼성(三聖)이라 부르는데 여기서 산명이 유래되었다는 것이다.

 

이 산에는 신라 문무와 17년 (677)에 창건한 삼막사, 고려 태조때 창건한 염불암, 그리고 망월암등 절과 암자가 산자락에 자리잡고 있다. 관악산 유원지로 들어서면 왼쪽이 관악산, 오른쪽 능선이 삼성산 능선이다. <자료:관악구, 안양시>

 

                       

                                                팔봉, 불성사 갈림길 / 12:00

 

                                              조망(眺望), 팔봉능선 / 12:02

 

                                                     팔봉과 삼성산 / 12:10

 

                        

                                                    팔봉(八峰) / 12:15

 

                                                       칠봉(七峰) / 12:19

 

                                                       칠봉(七峰) / 12:30

 

                                  이 암벽 주위에서 길을 잘못 들었습니다 / 12:40

 

                               한참을 헤메다 참나무 숲으로 내려섰습니다 / 13:17

 

                    점심 후 안양 소공원과 무너미고개의 중간지역인 하산 지점 / 13:41

 

                                           무너미 고개를 향하여... / 13:54

 

                                  

                                       K42지점, 무너미고개(산악표지판) / 14:00

 

                       

                                 K45지점, 제2삼거리위 암반(산악표지판) / 14:02

 

                         K41지점, 삼거리약수터(산악표지판), 호수공원 2.2km / 14:07

 

                                  

                                   K40지점, 삼거리약수터,상(산악표지판) / 14:14

 

                        

                                   새끼와 함께 헤엄치는 돌고래 같습니다 / 14:26

 

                                   능선에서 서울대후문 방향으로 하산지점 /14:45

 

                                   

                                         K37지점, 제6야영장(산악표지판) /14:57

 

                        

                                        K30지점, 공학관,상(산악표지판),  /15:12

 

                                                                15:13

 

                                                                15:19

 

                 

                                    연주대, 무너미고개, 호수공원 갈림길 / 15:30

 

                                                                15:41

 

                                            호수공원 자하정(紫霞亭) / 15:54

                                                        

조선조 한시문학의 대가인 자하(紫霞) 신위(申緯) 선생을 기리기 위한 정자(亭子)입니다. 신위선생(1769∼1845)은 영조45년(1769)에 나서 헌종11년(1845)에 세상을 떠난 조선말기의 학자. 자는 한수, 호는 자하, 본관은 평산입니다. 정조23년 문과에 급제하여 도승지를 거쳐 이조참판에 이르렀으며, 시(詩)뿐만 아니라 그림과 글씨에도 뛰어났습니다. 자하 선생이 지은 책으로는 ≪경수당전고≫ ≪분여록≫등이 있습니다.

 

                                                        호수공원 / 15:55

 

 

 

 

                                       관악산 서울대 입구 탐방안내소 / 16:11

 

 

 

 09.05.30

 

 

                                                                                   

                                 

                                             

'산행일지 > 한국명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라산 1 (2010.05.07~09)  (0) 2010.05.14
광교산~청계산 (09.06.13)  (0) 2009.06.14
설악산 천불동계곡(08.10.20~21)  (0) 2008.12.25
도봉산 (08.09.27)  (0) 2008.10.04
북한산 (08.08.30)  (0) 2008.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