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일지/한국명산

두타산 (07.10.25)

케인스 2008. 5. 28. 14:40

 

 

 

                                           두타산 (2007.10.25)

 

 

 

          

                                                         11  : 산행코스

 

산행코스 : 댓재(810m/08:35) → 햇댓등(963m) → 통골재(958m) → 두타산 정상(1,353m/12:00) → 점심(12:00~12:25) → 쉰움산 삼거리 → 대궐터삼거리 → 깔딱고개 입구 → 두타산성터 → 무릉계곡 → 삼화사 → 금란정 → 무릉반석 → 매표소(16:30) 

 

        

                                          댓재 출발지점 (810m)  

 

댓재 출발 08시 35분. 이 곳은 삼척시내에서 하장면간 424번 지방도로가 가로지르는 곳에 위치한다. 삼척에서 댓재까지 가는 교통편은 삼척시외버스터미널에서 하루 세 번(07:30,13:30,16:30) 운행하며 광동행 완행버스를 타고 댓재에 내리면 된다.

 

                   

                                                            댓재 휴게소

 

댓재휴게소는 출발점 건너편에 위치하고 두타산을 등산하는 등반객들이 이용하기도 한다. 식당과 민박을 겸하고 있으며, 김치찌개, 된장찌개, 칼국수, 라면, 감자부침, 도토리묵, 강냉이동동주 등을 팔고 있다.   

 

               

                                                          댓재 조형탑

 

조형탑에는 "동굴관광도시 삼척" 이라는 홍보 문구가 보인다. '댓재'란 이름은 댓재 동쪽 아래 계곡에 대나무가 있는 댓골이라는 동네가 있었던 데에 유래한다고 한다. 

 

    

                                             햇댓등(963.1m)

 

예쁜 이름이지만 그 이름의 유래를 알 수가 없다.

 

                                                      두타산을 향하여...

 

이 길은 백두대간 종주의 한 구간이기도하여 많은 산악회의 리본이 길을 안내하고 있다.

 

         

                                      두타산(頭陀山/1,352.7m)

 

두타산은 삼척, 동해시의 분수령으로 이 두 고장을 대표하는 산이며, 시민들의 마음의 고향으로 여겨진다. 두타(頭陀)라 함은 인간사의 모든 번뇌를 털어 없애고 물질을 탐착하지 않는 맑고 깨끗한 불도를 수행하는 것을 이르는 것으로 산어귀의 삼화사, 천은사의 모산(母山)으로 자리잡고 있다. 두타산은 청옥산, 고적대와 함께 해동삼봉으로 불리고 있다. <두타산 안내판에서..>

 

          

                                                 청옥산(靑玉山/1,403.7m)

 

북서쪽의 고적대(高積臺:1,353.9m)와 남동쪽의 두타산(頭陀山:1,352.7m) 사이에 있다. 이 구역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는 청옥산(1403.7m)이다. 비슷한 높이의 두타산과, 고적대를 남북에 거느리고 있는 형국이지만, 예로부터 두타산성의 호국적인 역할 때문에 사람들에게 청옥산 보다 두타산이 더 알려져 왔으며, 삼화사 간판도 '頭陀山三和寺'(두타산삼화사)라 표기하고 있다. 

또한 청옥산이 두타산보다 50m 쯤 더 높지만 바다에서 더 안쪽으로 들어와 있어 바다를 조망할 수 없고, 정상이 좁고 수목으로 전망이 막혀있는데 비하여 두타산은 동쪽으로 바다를 조망할 수 있고, 정상이 헬기장 정도로 넓으면서 주변에 높은 수목이 없어 남, 북으로 달리는 백두대간을 관망할 수 있고, 서쪽 내륙 의 산봉과 산릉들을 시원하게 조망할 수 있어 산악인들이 더 선호하고 있다.

 

청옥산(靑玉山·1403m)이라는 이름은 임진왜란 당시 유생들이 일으켰던 의병의 정신이 죽지 않는다는 뜻이라고도 하며, 푸른 옥돌(청옥석)이 나왔다 하여 청옥산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도 한다.

 

                                         아름답고 부드러운 두타산의 능선

 

두타(頭陀)란 이름은 불교의 두타행(頭陀行)에서 나온 말로 ‘속세의 번뇌와 티끌을 버린다’는 뜻으로 실생활, 즉 의식주에서부터 탐욕을 버리라는 의미라고 하는데, 오르기가 힘들어 산악인들 사이에는 ‘골 때리는 산(頭打山)’으로 불리기도 한다.

 

                        

 

                                   

                                                        통골재(958m)

 

                                       두타산 정상 (1,352.7m)

 

12시 도착하여 점심(김밥) 후 12시 25분경 무릉계곡 방향으로 하산. 정상에는 모 회사 경력사원 연수생들이 휴식하고 있었다.

 

 

                                                        두타산 정상표지석

 

     頭陀山」  <시인 장호(章湖)>

 

     「주는 자는 안다
       저에게 있는 것이 무엇이며
       없는 것이 무엇인가를.

 

       인간을 떠나는 자는 안다
       인간이 가진 것이 무엇이며
       안 가진 것이 무엇인가를.

 

       두타산에 오르면
       내게 줄 것도 깨칠 것도
       없다는 깨침.

 

       그것은 三和寺 뒤 武陵溪에
       앉아서는 모른다.
       未老川邊 天恩寺 터전에서
       쳐다보기만 해서도 모른다.

 

       땀 흘리며 인두컵을 벗으며
       용추폭을 거슬러 신령스런 나비의 주검도 보고
       문간재를 기어올라 망군대, 청옥산,
       박달령을 건너질러 두타사 정수리에
       머리카락을 날려본 자의 눈에만 보인다.

 

       발아래 구비구비 푸샛 것들을 보듬고
       정선골 누비며 아리아리 아라리
       젓줄을 물려주는,

       주는 자의 기쁨
       깨친 자의 비어 있음.」

 

장호(章湖)는 산악인 김장호(金長好, 1929-1999)씨의 시인명(詩人名)이다.

 

                      

                                                     두타산 정상의 무덤

 

정상 한가운데 무덤이 1기 있었는데 속세의 번뇌를 다 떨쳐버리고 극락행을 바라는 의미에서 그 후손이 여기에 산소를 썼는지도 모를일이다.    

 

                  

                                                청옥산과 고적대의 마루금

 

                                                             깊은계곡

 

                  

 

                       

                                                        뒤돌아본 두타산

  

                             

                                                        쉰움산 삼거리 

 

          

                                                           멋진 소나무

 

                                           

                                                   대궐터 삼거리 이정표

 

            

                                                                

            

 

                      

 

 

                                                   

                                                   깔딱고개 입구 이정표

 

                       

                                       산성 12폭포가 이 밑에 있는것 같은데...??

 

            

                                                               황홀경

 

                                                    기암과 10월의 단풍                                                   

  

                                         아래는 무릉계(武陵溪)

 

멀리 관음암이 보인다. 이쪽 두타산성과 관음사 사이의 무릉계곡 일대를 허공다리라고 일컫는데, 임진왜란 때 왜군의 공격에 맞서 의병항쟁을 벌일 때 이 계곡 양편 사이에 줄을 매고 허수아비 신장을 매달아 골짜기를 오가게 하면서 왜군들을 놀라게 하였다는 일화에서 유래된 땅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당겨서 보는 관음암

 

관음암의 원래 이름은 지조암(指祖庵)이었다고 한다. 921년(고려 태조4)에 창건되었으며, 934년(태조 20) 태조 왕건은 통일 전쟁의 후유증을 치유하고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 삼공암(三公庵)을 삼화사(三和寺)로 이름을 바꾸면서 삼화사에 노비와 사전(寺田)을 하사하였다. 삼화사는 이를 발판으로 산내에 8개의 암자를 창건하는 등 급격히 사세가 신장하였는데, 이 때 관음암도 중건된 것이다. 조선 정조 17년(1793)에 불탄 것을 당시 삼척부사였던 윤청이 주선해 중건했다. 현재 남아있는 삼화사의 유일한 산내 암자이다.

 

관음암은 작은 관음상을 모시고 있는데 예로부터 그 영험함이 소문나 동해지방에서 가장 유명한 기도도량으로 알려져 있다.

               

                      

                                                             곰바위(?)

 

                                   

                                                       두타산성 이정표

 

                   

                                                    두타산성(頭陀山城)

 

두타산의 험준한 지세를 이용하여 산성을 처음 쌓은 것은 신라 5대 파사왕 23년(서기102년)이라 한다. 조선 태종14년(서기1414년) 삼척부사 김맹손(金孟孫)이 이 성을 증축하여 주위 2,500미터, 높이 2미터의 석성(石城)을 만들었다. 선조25년(서기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많은 사람들이 난을 피하여 이 산성으로 모였고, 의병장 최원흘(崔元屹)을 중심으로 젊은 의병들이 이 성을 공격하는 왜적과 용감하게 싸워 왜병을 전멸시켰다. 세월이 흘러 성터는 허물어졌으나 이 두타산성은 선인들의 호국정신(護國精神)이 깃든 곳이기에 후세에 전한다.   1986년 11월 1일 동해시 

<두타산성 표석에서..>  

  

                                                             두타산성

 

성의 축조년대는 1414년(태종 14년)에 부사 김맹균이 쌓았다고 전하나, 조선 태조의 4대조인 목조대왕 이안사가 1253년 몽고의 지굴이 고려를 침략할때 두타산성을 보전하면서 난을 피했다는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이 있어, 이 성은 이미 1253년 이전에 축성된 것으로 보인다.

 

성의 형태는 타원형이고 우리나라에서 찾아보기 힘든 특이한 구조를 보이는 산성이다. 이 산성은 현재 석축 일부가 허물어지기는 했으나 옛 자취가 비교적 잘 남아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규모가 큰 산성중의 하나로서 자연지세를 최대한 활용하여 쌓은 석성이며 내성과 외성 등의 특이한 구조를 지니는 산성이다. 따라서 한국의 고대산성을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금강산이 따로 없다.  정말 아름다운 기암과 10월의 단풍이 멋들어진 풍경을 연출하고 있다.  

 

                 

                                                     두타산성 입구 이정표

 

                                                             삼화사

 

옛기록에 의하면 신라 선덕여왕 때인 640년에 자장율사가 창건했다고 하는데 일설에는 신라 경문왕때인 864년에 범일국사가 창건했다고도 전한다. "삼화사"라는 사찰 이름은 고려 태조 왕건이 "후삼국을 하나로 통일시켜 달라" 고 기도를 한데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지배적이다.

 

삼화사는 창건 이후 여러차례 중수를 거듭했으며, 1907년에는 일본은 의병의 거점파괴라는 이유를 붙여  대웅전을 비롯한 대부분의 건물이 소실되는 수난을 겪었다. 현재의 사찰건물들은 20여년 전에 본래의 사찰터에서 300m쯤 떨어진 지금의 자리에다 복원한 것이다. 현재의 삼화사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삼성각.범종각.육화로.천왕문.요사채 등의 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삼화사 천왕문

 

                                                             무릉계곡

 

                       

                                                           거북이 모양

 

         

                                                  두타산 삼화사 일주문

 

           

                                                     무릉반석(武陵盤石)

 

커다란 바위덩어리인 무릉반석이다. 본래는 수천 명이 동시에 앉을 수 있는 평평한 바위였는데 80여년 전의 경미한 지각운동에 의해 지금과 같이 주름진 모습으로 기울어졌다고 한다.

 

무릉반석에는 바위  여기 저기에 새겨진 다양한 종류의 명문들이 있으며, 옛 선인들의 글씨도 만날 수 있다.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명필가이면서 한때 삼척부사로 재직하기도 했던 봉래 양사언의 "무릉선원 중대천석 두타동천(武陵仙源 中臺泉石 頭陀洞天)" 이라는 글씨도 무릉반석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금란정(金蘭亭)

 

무릉반석 냇가에 금란정(金蘭亭)이 서있다. 금란정은 삼척의 유림들이 향교 명륜당에 모여 한말까지 유학강론에 전념하였던 곳인데, 한일합방으로 폐강하기에 이르자 이에 분개하여 우의를 다지는 금란계(金蘭契)를 결성하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정자를 건립하기로 결의하였으나, 일본 관헌들의 제지로 뜻을 이루지 못하고 1945년 해방을 맞이하게 되자 이에 금란계원과 그 후손들이 과거 선인들의 뜻을 계승하여 1949년 봄에 정자를 건립하고, 1956년 9월에 현재 위치로 이건한 것이라 전한다.

 

                      

 

금란정 옆 등산로 길가에는 큰 반석을 떼어다 석축 위에 비스듬하게 세워 놓은 듯한 직사각형 반석 위에 ‘武陵仙源 中臺泉石 頭陀洞天’이라 쓴, 조선 전기 4대 명필의 한 사람인 봉래(蓬萊) 양사언(楊士彦·1517-1584)의 글씨가 새겨져 있다. 냇가 무릉반석에 새겨져 있는 양사언의 절묘한 글씨가 오랜 세월을 지나면서 점점 선명치 못하여져 감상하는 이들을 위해 이를 복각해 놓은 것으로 보인다.

 

이들 세 용어 ‘선원·천석·동천’이란 말은 모두 도교사상·신선사상과 관련한 무릉도원의 선경을 상징하고 있는 말들이므로, 양사언이 두타산의 진면목을 단 3개의 용어를 통하여 적절하게 잘 표현해 놓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무릉계곡(武陵溪谷)

 

일명 무릉도원(武陵桃園) 또는 무릉계(武陵溪)라고도 불리는 무릉계곡은 두타산, 청옥산이 형성한 동쪽 골짜기에 기암절벽, 천연림, 맑은 계류와 폭포를 이루어 예로부터 시인묵객과 고승들이 많이 찾아와 풍류를 즐기던 곳으로 1977년 국민관광지 제1호로 지정되었다.

 

'무릉계(武陵溪)'란 이름은 고려 충렬왕 때(서기1275년-1308년) 이승휴(李承休)가 지었다고도 하고, 조선 선조 때 삼척부사를 지낸 김효원(金孝元: 사색당파 동인의 원조)이 작명했다고도 한다. 무릉계곡을 지나는 길은 옛날 이곳 삼척도호부에서 박달령 또는 연칠성령으로 백두대간을 넘어 정선군 임계를 거쳐 서울로 오가던 유일한 옛길로 전해진다.

 

 

 

2007.10.25

 

 

 

 

'산행일지 > 한국명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대간 1 (07.11.12)  (0) 2008.05.28
황매산 (08.05.03)  (0) 2008.05.28
설악산 3 (07.07.14)  (0) 2008.05.28
설악산 2 (07.07.13)  (0) 2008.05.28
설악산 1 (07.07.12)  (0) 2008.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