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와 여행(해외)/중국(북경-자금성)

中國(北京) - 황극전(皇極殿)/녕수궁(寧壽宮)지역

케인스 2012. 7. 12. 00:31

 

                            황극전(皇極殿)

 

  

    중국 북경(北京)/자금성, 내정(內庭)의 녕수궁(寧壽宮)지역

 

 

 

☞  황극전(皇極殿)

 

 

            

황극전(皇極殿) 위치 <google참고사진>

 

녕수문(寧壽門)을 들어서면 높은 통로를 조성하여 황극전(皇極殿)과 서로 통행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황극전(皇極殿) <참고사진>

 

황극전(皇極殿)은 황극전지역의 중심 건물로 청(淸) 강희28년(1669)에 건설되었습니다. 건륭37년(1772)~41년(1776)까지 녕수궁(寧壽宮) 구역 건축시 다시 지었으며, 그 때 이름을 녕수궁에서 황극전으로 개칭하였습니다. 광서10년(1884)에 수리한 바 있으며, 1979년 마지막으로 크게 수리한 후 건륭년간의 건물 형태를 회복하였습니다.

 

                                                                                                                                  <참고사진>

황극전은 건청궁 제도를 본따 개조한 건물로 가경원년(1796) 청 건륭황제가 황제의 자리에서 물러난 후 신하들로부터 조하를 받던 곳으로 천수연(千瘦宴)을 거행하기도 하였습니다.

 

자희태후(慈禧太后)” 일명 “서태후(西太后)” <참고사진>

 

광서20년(1894) 서태후 60세 진하례(陳賀禮)를 거행하였으며, 광서30년(1904)에는 서태후 70세 생일을 전후하여 미국을 포함한 9 나라의 사신(使臣)을 이곳에서 접견하였습니다.

 

                                                                                                                                                                            <참고사진> 

황극전은 녕수궁의 중축선(中軸線) 상의 앞쪽에 위치한 건물이며, 후전(後殿)인 녕수궁과 같은 기단 위에 있습니다. 이러한 형식은 건청궁(乾淸宮)과 같습니다.

 

                                                                                                                              <참고사진> 

 

                                                                                                                             <참고사진>

건물은 남향(南向)으로 자리 잡았으며 정면 9칸, 측면 5칸, 황유리기와 지붕이고, 앞쪽으로 퇴칸이 있고 명칸(明間)과 좌, 우 차칸(次間)에 출입 할 수 있는 문을 내었습니다.

 

                                                                                                                                   <참고사진>

황극전은 청백색 수미좌(須彌座) 위에 세워졌으며 월대(月臺)가 있고 어로(御路)가 녕수문(寧壽門) 과 직접 연결되어 있습니다.

 

                                                                                                                                 <참고사진>

월대 사방 주위에는 한백옥(漢白玉) 난간이 설치되어 있고 월대 좌우 및 통로 양측에 각각 계단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황극전(皇極殿)의 명칸(明間) <참고사진>

 

황극전(皇極殿)의 명칸(明間) 위에 걸린 편액 “仁德大隆”  <참고사진>

 

편액 仁德大隆<참고사진>

 

  

                                        황극전(皇極殿) 전면의 주련(柱聯) <참고사진> 

 

                     

현판(懸板) <참고사진>

 

잡상(雜像) <참고사진>

 

 

답도(踏道) <참고사진>

 

 

일구(日晷) <참고사진> 

 

                      

                                             가량(嘉量) <참고사진>

 

황극전 월대 좌우로는 황권을 상징하는 해시계인 일구(日晷)와 계량도구인 가량(嘉量)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한편 건륭년간 월대 위에는 동구(銅龜), 동학(銅鶴)이 있어서 양쪽에 배치되었으며, 동정(銅鼎)과 동향로(銅香爐)가  있었지만 현재는 없습니다.             

 

  

                                            수미좌(須彌座) <참고사진>

            

     월대(月臺) 위의 어로(御路) 양측으로는 6각형의 수미좌(須彌座)가 1개 씩 놓여 있습니다.

 

   

                                            수미좌(須彌座) <참고사진>

            

월대(月臺) 아래 동, 서쪽에도 6각형의 수미좌(須彌座)가 1개 씩 놓여 있으며, 수미좌 위에는 6각정을 설치하고 정자(亭子)의 매 면에는 수(壽)자 3개가 새겨져 있습니다. 

 

건륭제(乾隆帝) 보좌(寶座) 복제 전시품 <참고사진>

 

                                                                                                                                    <참고사진>

 

동난각 출입문<참고사진>

 

건륭제(乾隆帝) 보좌(寶座)  <참고사진>

 

                                                   보좌(寶座) <참고사진>

 

전내 중앙에 보좌(寶座)가 설치되어 있어 태화전(太和殿) 다음 가는 품격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전내의 좌측에는 동(銅)으로 만든 물시계, 우측에는 커다란 자명종이 놓여 있습니다.

 

금주(金柱)와 조정(藻井) <참고사진>

 

                                    용(龍)을 조각하여 금칠로 마감한 기둥  <참고사진>

 

금용(金龍)이 조각된 8각의 조정(藻井) <참고사진>

 

 

● 동수화문(東垂花門)

 

 

                                                                            

동수화문(東垂花門) 위치 <참고사진>

 

동수화문(東垂花門) <참고사진>

 

               수화문(垂花門)을 통해 후전(後殿)인 녕수궁(寧壽宮)으로 통행할 수 있습니다.

 

 

● 서수화문(西垂花門)

 

 

수화문(西垂花門) 위치 <참고사진>

 

수화문(西垂花門) <참고사진>

 

              수화문(垂花門)을 통해 후전(後殿)인 녕수궁(寧壽宮)으로 통행할 수 있습니다.

 

 

● 응기문(凝祺門) 

 

응기문(凝祺門) <참고사진>

 

황극전 앞 동쪽의 무방(廡房) 중간에는 응기문(凝祺門)이 조성되어 있으며, 동서로 연결되어진 행각(行閣)을 통하여 서쪽의 창택문(昌澤門)과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응기문(凝祺門) <참고사진>

 

응기문(凝祺門) 남쪽부터 녕수문(寧壽門)까지는 현재 황실의 보물을 전시하고 있는 진보관(珍寶館)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 창택문(昌澤門)   

 

창택문(昌澤門) <참고사진>

 

황극전 앞 서쪽의 무방(廡房) 중간에는 창택문(昌澤門)이 조성되어 있으며, 동서로 연결되어진 행각(行閣)을 통하여 동쪽의 응기문(凝祺門)과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창택문(昌澤門) <참고사진>

 

창택문(昌澤門) 남쪽부터 녕수문(寧壽門)까지는 현재 황실의 보물을 전시하고 있는 진보관(珍寶館)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 동쪽무방(東廡房)

 

 

응기문(凝祺門) 북쪽 무방(廡房) <참고사진>

 

응기문(凝祺門) 북쪽에는 6칸의 무방(廡房)이 있고, 3칸마다 중간에 문이 설치되어 있으며, 후전(後殿)인 녕수궁(寧壽宮)의 동쪽 무방 9칸과는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곳은 석고관(石鼓館)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응기문(凝祺門) 남쪽 무방(廡房) <참고사진>

 

응기문(凝祺門) 남쪽에는 6칸의 무방(廡房)이 있고, 3칸마다 중간에 문(門)이 설치되어 있는데, 현재 이곳은 진보관(珍寶館)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녕수문(寧壽門) 동쪽으로는 가운데 문(門)을 낸 5칸의 무방(廡房)과 1칸의 구석방을 합쳐 모두 6칸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 서쪽무방(西廡房)

 

 

                                 창택문(昌澤門) 북쪽 무방(廡房) <참고사진>

 

창택문(昌澤門) 북쪽에는 6칸의 무방(廡房)이 있고, 3칸마다 중간에 문이 설치되어 있으며, 후전(後殿)인 녕수궁(寧壽宮)의 서쪽 무방 9칸과는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현재 이곳은 진보관(珍寶館)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창택문(昌澤門) 남쪽 무방(廡房) <참고사진>

 

창택문(昌澤門) 남쪽에는 6칸의 무방(廡房)이 있고, 3칸마다 중간에 문(門)이 설치되어 있는데, 현재 이곳은 진보관(珍寶館)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녕수문(寧壽門) 서쪽에는 가운데 문(門)을 낸 5칸의 무방(廡房)과 1칸의 구석방을 합쳐 모두 6칸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황극전(皇極殿)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