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전(養性殿)
중국 북경(北京)/자금성, 내정(內廷)의 양성전(養性殿) 지역
☞ 양성전(養性殿) 지역
양성전(養性殿) 지역 <참고사진>
양성전(養性殿)지역 위치 <참고사진>
양성전(養性殿)지역과 녕수궁(寧壽宮)지역 <참고사진>
양성전(養性殿)지역은 앞쪽의 녕수궁(寧壽宮)지역과 함께 전체적으로는 전조후침(前朝後寢)의 구도를 가지고 있으며, 황극전(皇極殿)과 녕수궁(寧壽宮)이 전조(前朝)에 해당하고 녕수궁 뒤쪽 지역인 양성전(養性殿) 지역 전체가 후침(後寢)에 해당합니다.
양성전(養性殿)지역 위성 사진 <google참고사진>
후침(後寢)에 해당하는 양성전(養性殿)지역은 세갈래 길로 구획되는데, 중로(中路)에는 녕수궁 바로 뒤부터 순차적으로 양성전(養性殿), 낙수당(樂壽堂), 이화헌(頤和軒), 경기각(景祺閣)이 있고, 서로(西路)에는 속칭 건륭화원(乾隆花園)이라고 부르는 녕수궁서화원(寧壽宮西花園)이 있으며, 동로(東路)에는 창음각(暢音閣)과 열시루(閱是樓)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 동로(東路) 동쪽에 북십삼배(北十三排)가 있습니다.
☞ 양성전(養性殿) 구역: 중로(中路)
양성전(養性殿)구역 <google참고사진>
중로(中路)에 있는 양성전(養性殿)구역은 전조(前朝)에 해당하는 녕수궁(寧壽宮) 바로 뒤부터 순차적으로 양성문(養性門), 양성전(養性殿), 낙수당(樂壽堂), 이화헌(頤和軒), 경기각(景祺閣)으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 양성문(養性門) 광장
양성문(養性門) 광장 <참고사진>
양성문광장은 동쪽과 서쪽으로 좁고 긴 형태를 이루며 보화전(保和殿)과 건청문(乾淸門) 사이의 광장과 유사하며 전조후침(前朝後寢)의 경계구역입니다. 광장의 동쪽에는 목문(木門) 너머 보태문(保泰門), 북쪽 정 중앙에 양성문(養性門), 남쪽에는 녕수궁(寧壽宮)이 있습니다.
● 양성문(養性門)
양성문(養性門)의 위치 <참고사진>
양성문은 녕수궁(寧壽宮)의 북쪽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양성문(養性門) <참고사진>
양성문은 양성전(養性殿), 낙수당(樂壽堂), 이화헌(頤和軒)으로 들어가는 정문(正門)입니다. 정문 양쪽에는 녹색유리조벽(照壁)으로 장식한 화각문(和角門)이 있습니다.
서쪽의 화각문(和角門) <참고사진>
양성문(養性門) <참고사진>
양성문은 정면 5칸, 황유리기와 지붕의 건물로, 가운데 3칸으로 드나들 수 있으며, 앞쪽으로 한백옥(漢白玉) 돌 난간을 설치하였습니다.
한백옥(漢白玉) 돌 난간 <참고사진>
양성문 앞 금동사자상 <참고사진>
양성문과 그 안쪽 양성전 <참고사진>
양성문(養性門) 안의 각 건물들은 건륭제(乾隆帝) 퇴위 후를 대비하여 그의 처소 및 휴양지의 용도로 건청문, 녕수문을 모방하였으며 크기와 규모는 작게 지었습니다.
양성문(養性門) 중앙칸 <참고사진>
양성문 현판 <참고사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