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와 여행(해외)/중국(북경-자금성)

中國(北京) - 양심전(養心殿)Ⅱ/자금성 내정(內廷)

케인스 2012. 5. 11. 23:21

 

 

 

                               양심전(養心殿)

 

 

    중국 북경(北京)/자금성, 내정(內廷)의 양심전(養心殿)

 

 

☞  양심전(養心殿) 지역

  

 

                  

                                                   양심전(養心殿) 지역 <참고사진>                                                                 

                                                                      

                              

양심전(養心殿) 지역 <google참고사진> 

   

양심전(養心殿) 지역 구조도 <참고사진> 

 

양심전(養心殿) 구조도 <참고사진> 

     

 

  양심전(養心殿)

                    

 

 

                                                양심전(養心殿) 조감도  <참고사진>

 

                                           양심전(養心殿) 전경  <참고사진>

 

     

▶  양심전(養心殿) 외부 

 

 

양심전(養心殿)  <참고사진>

 

양심전(養心殿) 은 명(明) 가정(嘉靖)년간(1521~1566)에 건설하였으며, 청(淸) 건륭(乾隆)년간 (1735~1795)에 개조하면서 건물을 증축하였습니다.

 

양심전(養心殿) 현판  <참고사진>

 

양심전(養心殿)이란 맹자(孟子)의 “존기심양기성이사천(存其心養其性以事天)” 에서 따왔는데 '옳은  길을 쫓는 천성을 함양하고자 함'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참고사진>

양심전은 명나라 때는 중요한 건물이 아니었습니다. 청나라의 4대 황제 강희(康熙, 재위 1662~1722)때부터 "양심전조반처(養心殿造瓣處)"라하여 황실을 위하여 정교하고 섬세한 공예품[칠기, 시계, 도자기, 조각품....] 등 궁중어용물품을 전문적으로 제작하던 곳이었습니다.    

 

           

                                                                                                             <참고사진>

5대 황제 옹정(雍正, 재위 1723~1735)의 양심전 거주 이후 조반처의 각 제조방은 내정(內廷)으로 옮겨가게 되며, 황제의 정식 침궁이자 집무실로 자리 잡았습니다.

                                             

          

                                                                                                                  <참고사진>

건륭(乾隆)년간 건물 증축 후로는 황제가 신하들과 정무를 처리하고, 독서도 하고, 학습 및 거주 일체를 행하는 다기능 건물군이 되었습니다. 부의(溥儀) 출궁 때까지 8명의 황제가 이곳에 거주하였으며, 청(淸) 순치(順治), 건륭(乾隆), 동치(同治) 황제가 이곳에서 사망하였습니다.  

                                          

                                                                                                 <google참고사진> 

 

양심전의 평면은 "공(工)"자 형으로 전전(前殿)은 정면3칸, 측면3칸(36x12m)에 황유리기와를 얹었습니다. 남쪽[앞쪽] 중앙에 황제가 정무를 보던 보좌가 있고, 뒤쪽 후전(後殿)은 침전(寢殿)이며, 가운데는 앞, 뒤 건물을 잇는 복도인 천당(穿堂)입니다.

 

                                                                                                                                     <참고사진>

앞의 건물은 크게 세부분으로 나뉘는데, 정중앙이 명칸(明間)으로 공식적인 집무실이고, 명칸 중앙에 옹정 황제가 쓴 편액 "중정인화(中正仁和)"가 걸려있습니다.  명칸을 중심으로 동쪽이 동난각(東暖閣)이고, 서쪽을 서난각(西暖閣)이라 합니다.

 

          

                                                       포하(抱厦)  <참고사진>

 

전(殿)의 명칸(明間)과 서차칸(西次間) 앞에 지붕을 덧댄 곳에는 매칸 4각 기둥을 양쪽에 세워 건물이 외견상으로는 9칸으로 보입니다. 본 건물의 앞에 덧대어 지은 개방된 건축구조물의 중국식 건축용어가 포하(抱厦) 입니다.

 

 

양심전(養心殿)의 포하(抱厦) 위치도 <참고사진>

 

 

                                          양심전 정면 명칸 앞의 답도(踏道)  <참고사진>

 

                     

 양심전 답도(踏道)  <참고사진> 

 

잡상(雜像) <참고사진> 

  

양심전 일귀(日咎) 

 

 양심전 학(鶴)  

 

양심전 동정(銅鼎: 청동향로)  <참고사진> 

 

양심전(养心殿)의 창조(窗罩) <참고사진>

 

  

체순당(體順堂) 앞의 수정석(水晶石) <참고사진>

 

수정석(水晶石) <참고사진>

                                                       

       

수정석(水晶石) <참고사진>

 

체순당 앞에는 커다란 수정석이 있는데 순결을 상징하며, 수정등(水晶燈)이라고도 합니다.

 

 

▶  양심전(養心殿) 내부 

 

 

 양심전(養心殿) 전전(前殿) 평면도 <참고사진>

 

 양심전의 앞전[前殿]의 정 중앙 가운데칸인 명칸(明間)에는 중정인화전(中正仁和殿)이 있습니다.

 

                                        양심전(養心殿) 투시도 <참고사진>

 

동난각(東暖閣)은 양심전의 앞전[前殿]의 동쪽 끝 칸과 2번째 칸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남북으로 전, 후 양실이 있습니다. 남실(南室)에는 원래 명창(明窗)이라는 어필이 있었으며,자희태후가 수렴청정 하던 곳입니다. 북실(北室)은 동서(東西) 양실로 구분되어 있으며 수우춘휘(壽寓春暉)실과 수안실(隨安室)이 있습니다.

 

 

서난각(西暖閣)은 1차적으로 남쪽 부분과 북쪽 부분으로 나뉘고, 남쪽 부분은 다시 세 부분으로 나뉩니다. 비교적 공간이 넓은 가운데의 방은 황제가 군기대신과 더불어 보안을 요하는 정무를 논하던 기밀실인 '근정친현전(勤政親賢殿)'이고, 그 뒤로 소불당(小佛堂) 있습니다. 근정친현 전 동쪽의 작은 방은 통로로 쓰였습니다. 서쪽으로는 작은 방인 삼희당(三希堂)이 있으며, 그 뒤로 장춘서옥(長春書屋), 무권재(無倦齋)와 매오(梅塢)가 있습니다.

 

                                                       

●  명칸(明間) / 중정인화전(中正仁和殿) 

 

  

                                명칸(明間) / 중정인화전(中正仁和殿) 위치도 <참고사진> 

 

                      

명칸(明間) / 중정인화전(中正仁和殿) 투시도 <참고사진> 

 

 

                                 양심전 중앙칸인 명칸(明間) 내부 <참고사진>

 

황제가 정무를 처리하고 대신들을 접견 하던 곳으로 정중앙에 보좌(寶座)가 있습니다. 강희59년(1720) 강희제(康熙帝)는 이곳에서 로마 교황 사신을 접견 한바 있습니다. 

               

                                   황제의 보좌(寶座)와 편액() <참고사진>

 

보좌 뒤에는 서가(書架)가 있으며, 새로운 황제에게 전하여 줄 역대 황제의 치국(治國) 경험이 적힌 교훈적 저술 등이 수장되어 있습니다.

 

 

옹정제(雍正帝)이후 청조(淸朝)는 침궁을 건청궁(乾淸宮)으로부터 양심전으로 옮겼습니다. 양심전(養心殿) 안의 中正仁和(중정인화) 편액은 옹정제(雍正帝)의 친필입니다. 이는 "황제는 중용하고 정직하며 자상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양심전 내부 정칸(正間)조정(藻井)  <참고사진>

 

 양심전 정칸(正間)의 서난각 방향의 문  <참고사진>

 

 

                                      양심전 정칸(正間)의 동난각 방향의 문  <참고사진>

 

 

                    

 

 

보좌(寶座)와 병풍 뒤에는 “안돈(安敦)",  "염철(恬澈)" 이란 편액이 붙어있는 두개의 작은 문이 있습니다. 이 문을 들어서면 중앙 복도를 지나 후전(後殿)으로 갈 수 있습니다.

  

 

●  동난각(東暖閣)

 

 

양심전(養心殿)의 동난각(東暖閣) 위치도 <참고사진> 

 

양심전(養心殿)의 동난각(西暖閣)은 동차칸(東次間)과 동초칸(東稍間)으로 구분되며, 또한 남쪽과 북쪽을 격문(隔門)으로 분리하여 전후 양실(兩室)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북실(北室)은 동(東)과 서(西) 양실(兩室)로 또 구분되어 있습니다.

 

양심전(養心殿)의 동난각(東暖閣) 투시도 <참고사진> 

 

 

 수렴청정실(垂簾聽政室) / 명창(明窗)

 

 

 

동난각(西暖閣) / 명창(明窗) 위치도 <참고사진>

 

 

양심전(養心殿)의 동난각(西暖閣) 수렴청정실(垂簾聽政室) 서남쪽에는 원래 명창(明窗)이라는 편액이 걸려 있었습니다.     

 

   

                                      난각(東暖閣) 명창(明窗) <참고사진>

 

양심전의 동난각은 옹정제(雍正帝)에서 선통제(宣統帝)까지 황제가 거주하며 휴식과 일상 정무를 처리하던 곳이며, 또한 황제가 매년 정월 초하루 자시(子時, 23:00~01:00)에 남쪽 창을 향해 앉아 그 해의 길상어(吉祥語, 덕담)를 쓰는 "명창개필(明窗開筆)" 이라는 개필(開筆)" 의식을 거행하던 곳입니다.

 

                                             양심전 난각(東暖閣) <참고사진>

 

무엇보다도 이곳은 함풍(咸豊)11년(1861) 자희태후(일명 서태후)가 청왕조의 대권을 잡은 후[신유정변(辛酉政變)] 자안태후(일명 동태후)와 함께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하던 곳으로 이름 나 있습니다. 또한 1912년 2월12일에는 동난각의 명창(明窗)에서 융유(隆裕)황태후가 여섯 살인 마지막 황제 부의(溥儀, 宣統皇帝, 재위 1909~1911)를 대신해서 청나라를 폐한다는 칙서를 내리기도 하였습니다.

 

            

자희태후(慈禧太后), 일명 서태후(西太后) <참고사진>자안태후(慈安太后), 일명 동태후(東太后)

                                            

9대 황제 함풍(咸豊, 재위 1851~1861)이 30세의 나이에 피서갔던 산장에서 병으로 죽자 함풍의 외아들인 여섯살 짜리 동치(同治)가 뒤를 이으면서 그를 낳은 첩실은 자희태후(慈禧太后), 일명 서태후(西太后)로 봉해졌다. 

   

                       수렴청정(垂簾聽政)을 위한 이중의 보좌(寶座) <참고사진>

 

자희태후는 함풍의 정비였던 자안태후와 연합하여 반대파를 물리치고 장장 48년에 걸쳐 실질적으로 나라를 통치한다. 동치황제가 즉위 12년 만에 죽자 자희태후는 다시 네 살짜리 자기 조카를 11대 광서(光緖)황제로 앉히고 재차 수렴청정을 하였습니다

 

                                  비단 발을 사이에 둔 두개의 보좌(寶座) <참고사진>

 

동쪽 벽에서 서향(西向)으로 전, 후 이중으로 보좌(寶座)가 설치되어 청말(淸末) 자희태후((慈禧太后)와 자안태후(慈安太后)가 뒤에 있는 보좌에 앉아 수렴청정을 하였습니다.  양 보좌 사이에는 황색 비단 발이 드리워져 있습니다.

 

드라마 속 수렴청정(垂簾聽政)의 한 장면 <참고사진>

 

 

 수안실(隨安室)  

 

 

동난각(西暖閣) / 수안실(隨安室) 위치도 <참고사진>

                             

                                                   수안실(隨安室) <참고사진>

 

수안실(隨安室)은 동(東)과 서(西) 양실(兩室)로 구분되어 있는 북실(北室)의 동쪽 1칸 공간으로 창(窓)이 나있지 않습니다.  

 

                               

                                                   수안실(隨安室) <참고사진>

 

북쪽 벽쪽으로 침상( 寢床)이 놓여있는 이곳은 황제가 재계(齋戒) 할 때 사용하는 침궁(寢宮)입니다. 수안실(隨安室)이란 편액은 원래 서쪽 공간에 있던 것으로 옮겨 온 것입니다.

 

 

 수우춘휘(壽寓春暉)

  

 

 

                                     동난각(西暖閣) / 수우춘휘(壽寓春暉) 위치도 <참고사진>

      

                                                  수우춘휘(壽寓春暉) <참고사진>

 

원래 이곳 명칭은 기소탁(寄所托)이었는데 원래 후실(後室)의 중간 방에 있었습니다. 청말(淸末) 수우춘휘(壽寓春暉)로 이름을 바꾸었습니다. 

 

                                                  수우춘휘(壽寓春暉) <참고사진>

 

북쪽의 창(窓) 맡에 보좌(寶座)가 놓여 있으며 그 위에 수우춘휘(壽寓春暉)라는 편액이 걸려있습니다.

 

 

●  서난각(西暖閣)

 

 

 

양심전(養心殿)의 서난각(西暖閣) 위치도 <참고사진> 

 

양심전(養心殿)의 서난각(西暖閣)은 서차칸(西次間)과 서초칸(西稍間)으로 구분되며, 또한 남쪽과 북쪽을 분리하여 전후 양실(兩室)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북실(北室)은 동(東)과 서(西) 양실(兩室)로 또 구분되어 있습니다.

 

                              

양심전(養心殿)의 서난각(西暖閣) 투시도 <참고사진> 

 

 

 

 근정친현(勤政親賢) 입구 방

 

 

서난각(西暖閣) / 근정친현(勤政親賢) 입구 방  위치도 <참고사진>

 

                

근정친현(勤政親賢) 입구 방 <참고사진>

 

근정친현전(勤政親賢殿) 동쪽 작은 방에는 자단목 거울이 배치되어 있고, 서쪽으로 들어가면 황제가 정무를 보던 장소인 '근정친현전(勤政親賢殿)'이 나옵니다. 동북쪽에 작은 문이 있어 좁은 길을 통하여 후실(後室)과 통합니다.

 

 

 근정친현전(勤政親賢殿)

 

 

 

         

                          서난각(西暖閣) / 근정친현전(勤政親賢殿) 위치도 <참고사진> 

 

서난각(西暖閣)의 근정친현전(勤政親賢殿)은 서차칸(西次間)의 남실(南室)에 위치합니다.

 

                           

                                                                                                                                         <참고사진>

양심전 서난각 전실(前室) 중 이 방은 황제가 군기대신과 더불어 보안을 요하는 정무를 논하던 기밀실입니다. "근정친현(勤政親賢)"이라는 편액으로 인해 '근정친현전(勤政親賢殿)'이라고도 불립니다. 북쪽으로 보좌(寶座)가 설치되어 있고, 남쪽에는 창(窓), 동쪽으로는 명칸(明間)과 통합니다.

           

                                                                                                                                <참고사진>

기밀실의 보좌 위 북쪽 벽에는 근정친현(勤政親賢)이라는 편액이 가로로 걸려있는데, 옹정황제의 친필로 "어진이를 가까이 하고 나라 다스리는 일을 게을리 하지 않는다." 라는 의미입니다.

 

                                                       옹정제 상(像) <참고사진>

 

실제 옹정제(雍正帝)는 부지런한 황제였으며, 아무리 어려운 곤난이 있어도 자기의 직분에 충실하고 정무에 부지런하고 백성들을 사랑했다고 합니다. 

           

                                양심전 서난각(西暖閣)의 정무 장소 <참고사진>

 

『근정친현(勤政親賢)』이라는 편액의 좌우 양쪽으로 『 유이일인치천하(唯以一人治天下: 오직 한 사람만이 천하를 다스린다)』와 『 개위천하봉일인(豈爲天下奉一人: 천하가 기꺼이 한사람을 받든다)』 이라는 글귀가 내려 걸려있습니다. 또한 밀실의 서쪽 벽에는 전국 각 성의 고위 관원과 장군의 직위표가 걸려있고, 황제로 하여금 현직의 인적 사항과 결원상황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정리하였습니다. 

 

 

『근정친현(勤政親賢)』의 편액의 밑으로 건륭제의 시편(詩篇)이 적혀있는 액자가 걸려있습니다. 

 

                   一心奚所托,为君止于仁。   二典传家法,敬天及勤民。   

                   三无凛然奉,大公何私亲。   四序协时月,熙绩在抚辰。   

                   五事惟敬用,其要以备身。   六府赖修治,其施均养人。   

                   七情时省察,惧为私欲沦。   八珍有费甘,念彼饥饿伦。   

                   九歌扬政要,郑卫漫亟陈。   十联书屏扆,式听师保谆。


 

 

보안을 요하는 정무를 논하던 기밀실인 근정친현전(勤政親賢殿)이기에 남쪽 창 밖으로 포하(抱厦)를 짓고 보안에 대비하였습니다.

 

  

 삼희당(三希堂)

  

 

         

서난각(西暖閣) / 삼희당(三希堂) 위치도 <참고사진>  

 

  양심전(養心殿) 서난각(西暖閣)의 삼희당(三希堂)은 서초칸(西稍間)의 남실(南室)에 위치합니다.

 

                                          삼희당(三希堂) <참고사진>

 

       삼희당(三希堂)의 원래 이름은 온실(溫室)이며, 청(淸) 건륭제의 독서방(讀書房)이었습니다. 

 

                                                      삼희당(三希堂) 북쪽 <참고사진> 

                 

                                                             삼희당(三希堂) <참고사진>

 

청(淸) 건륭11년(1746) 건륭제는 그가 아끼는 희대의 진품 보물 세 가지를 이곳에 보관하고 손수 '삼희당(三希堂)'이라고 쓴 편액을 방 안에 걸었습니다.

 

                                           건륭제 어필 『삼희당(三希堂)』 <참고사진>

 

           

                                                       삼희당(三希堂) 남쪽 <참고사진>

 

세 가지 진품은 건륭황제가 붓글씨 연습을 할때 늘 쓰던 세가지 붓글씨서적으로 진(晉)나라 때의 서예가 왕희지(王羲之)가 쓴 '쾌설시정첩'(快雪時晴帖), 그의 아들 왕헌지(王獻之)가 쓴 '중추첩'(中秋帖), 그리고 그의 손자 왕순(王珣)이 쓴 '백원첩'(伯遠帖)이었습니다.

 

                                                                                                                                   <참고사진>

         지금 쾌설시정첩은 대만고궁박물관에, 다른 두권은 북경고궁박물원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왕희지(王羲之)와 '쾌설시정첩'(快雪時晴帖) <참고사진>

 

                                                              

       

                                             왕헌지(王獻之)와 '중추첩'(中秋帖) <참고사진>

 

                                     왕순(王珣)이 쓴 '백원첩(伯遠帖)' <참고사진>

 

1924년 부의가 궁에서 축출 당할 때 쾌설시정첩을 숨겨 나오다가 빼앗긴 바 있으며, 지금은 대만의 대북고궁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으며, 나머지 두권은 궁중에서 유출되어 홍콩의 어느 은행에 저당 잡혀 있었는데, 중국 정부가 비싼 값을 지불하고 찾아다 북경고궁박물원으로 하여금 소장토록 하였습니다. 

 

삼희당 서쪽 벽의 벽화(壁畵) <참고사진>

 

벽화(壁畵) <참고사진>

 

                               

 

근정친현전(勤政親賢殿)에서 보는 삼희당의 벽화(壁畵) <참고사진>

    

 

 장춘서옥(長春書屋)과 무권재(無倦齋)        

 

 

서난각(西暖閣) / 장춘서옥(長春書屋)과 무권재(無倦齋) 위치도 <참고사진> 

 

양심전(養心殿) 서난각(西暖閣)의 북실(北室)은 동(東)과 서(西) 양실(兩室)로 또 구분하여 서실(西室)은 장춘서옥(長春書屋), 동실(東室)은 무권재(無倦齋)라 하고 선루(仙樓)와 불당(佛堂)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장춘서옥(長春書屋)  <참고사진>

 

장춘서옥(長春書屋)은 삼희당(三希堂) 북쪽 방에 위치하며, 건륭원년(1736) 선루(仙樓)에 장춘서옥(長春書屋)이란 편액을 걸었습니다. 그리고 건륭12년(1747) 이곳을 불당(佛堂)으로 조성하였습니다. 

 

                                 양심전선루불당누상평면분포도(養心殿仙樓佛堂樓上平面分布圖)

 

                           

                                   불당(佛堂)의 이층 선루(仙楼) <참고사진>

 

                                                    목불탑(木佛塔) <참고사진>

 

                                  이곳은 황제가 불공을 드리는 소불당(小佛堂)입니다.

 

                                               이층 선루(仙楼)의 장식 <참고사진>

 

                                                선루(仙楼) 이층 <참고사진>

 

                                                             목불탑(木佛塔) <참고사진>

 

    

                                                 불당(佛堂) 내부 <참고사진>

 

                                       목불탑(木佛塔) 안에 모셔진 무량수불(<참고사진>

  

 

 매오(梅塢)

  

 

서난각(西暖閣) / 매오(梅塢) 위치도 <참고사진>

 

 

            

           문액(門額)의 매오(梅塢)        <참고사진>       허물어진 부분이 매오(梅塢)

 

매오(梅塢)의 편액 <참고사진>  

 

 

매오실(梅塢室)  <참고사진>  

 

양심전 서쪽 이전(耳殿)인 매오(梅塢)는 황제의 휴식처로 건륭39년(1774) 첨건(添建)되었는데, 남향의 1칸 건물로 황유리기와지붕 건물입니다. 

 

 

▶  천당(穿堂)                                    

 

 

천당(穿堂) 위치도 <참고사진>

 

양심전의 전전(前殿)에서 후전(後殿)으로 가기 위해서는 두 건물 사이의 중앙 복도인 천당(穿堂)을 지나야 합니다.

 

                                              천당(穿堂) <참고사진>

 

      사진의 왼쪽 건물은 전전(前殿), 오른편은 후전(後殿), 가운데 연결 통로가 천당(穿堂) 입니다. 

 

                                     천당(穿堂)과 체순당(體順堂) <참고사진>

 

  

 

 

 

 

 

                                      양심전(養心殿)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