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와 여행(해외)/중국(북경-자금성)

中國(北京) - 교태전(交泰殿)/자금성 내정(內廷)

케인스 2012. 4. 2. 23:17

 

 

                              교태전(交泰殿)

 

 

    중국 북경(北京)/자금성, 내정(內廷)의 후삼궁(後三宮) 지

 

   

☞  교태전(交泰殿)                     

 

  

                    

교태전(交泰殿) 위치 <참고사진>

                                    

                                          

                                                교태전(交泰殿) 위치 <google참고사진>

 

         교태전(交泰殿)은 후삼궁(後三宮)의 하나이며 건청궁(乾淸宮) 뒤 북쪽에 위치합니다.

 

  

                                                                                                                             <참고사진> 

    교태전은 후삼궁(後三宮)의 하나로 건청궁(乾淸宮)과 곤녕궁(坤寧宮) 사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교태전(交泰殿)  <참고사진> 

 

교태전(交泰殿)은 영락(永樂)18년(1420)에 세워졌으며, 가경(嘉慶)2년(1797) 건청궁 화재 때 소실되어 가경3년(1798)에 중건(重建) 되었습니다.

  

                                 

                                                                                                 <참고사진> 

교태전(交泰殿)의 이름은 역경(易經)에서 따왔으며 "천지교합(天地交合), 강태미만(康泰美滿)" 즉 '하늘과 땅의 정기가 합쳐지면, 편안하고 큰 경사가 그득하다'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천지교태(天地交泰)

 

교태전의 交泰(교태)는 주역(周易)의 태괘(泰卦) 논리을 따른 것으로 태괘(泰卦)는 아래 그림과 같이 위가 땅이고 아래가 하늘을 나타냅니다. 하늘은 아래를 향하고 땅은 위를 향하는 속성이 있어 서로 만나고 교합하여 만물이 조화롭게 생성됨을 나타냅니다. 

            

 

 

이것은 음(陰)과 양(陽)의 조화를 뜻하는데, 황제와 황후의 거처인 이곳에서 훌륭한 황제가 될 아들이 태어나 나라가 안정된 질서 속에서 만사형통한 태평(泰平)의 시기를 염원하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참고사진> 

교태전은 황후와 관련된 장소로서, 명나라 때는 황후의 침실로 택일을 받아 길일이 되면 황제와 황후가 이곳에서 함께 밤을 보냈습니다.

 

         

                                                                                                                       <참고사진> 

청 세조는 명대 환관들의 정치적인 횡포를 거울삼아 환관은 조정의 일에 관여하여서는 안된다는 규정을 마련하고 '내궁불허간예정사(內宮不許干預政事)'라는 철패(鐵牌)를 이곳에 세우기도 하였습니다.

 

         

                                                                                                                         <참고사진> 

청나라 때는 황후의 공식 업무와 옥새를 보관하는 곳으로 사용되었습니다. 황후가 명절이나 생일(天壽節)을 맞아 황제의 후궁과 자손, 그리고 신하들로부터 축하 인사를 받던 곳입니다.

 

                                                                                                                                   <참고사진> 

또한 설과 동짓날에 황족들의 회례연(會禮宴) 장소로도 이용 되었으며, 황제의 대혼과 황후 책봉의식을 위한 장소로도 사용하였습니다. 그외에도 황후가 참석하는  매년 봄 선잠제(先蠶祭) 날이 정해지면 하루 전 이곳에서 제사에 필요한 용구들을 점검하였습니다.

 

                                                                                                                                   <참고사진> 

교태전은 중화전의 작은 규모같이 정사각형 건물이며, 정면3칸, 측면3칸의 황유리기와 사각모임지붕으로 꼭대기에 용문양이 조각된 유금보정(鎏金寶頂)이 있습니다.

 

               

                                                지붕 꼭대기의 유금보정(鎏金寶頂)  <참고사진> 

 

       

                                                                    꽃창살  <참고사진> 

         

 

                                     교태전 판문 밑부분의 용과 봉황의 문양 <참고사진> 

 

교태전 판문 밑부분에는 용[황제의 상징]과 봉황[황후의 상징]이 어우러져 있는 문양이 새겨져 있는데, 중국의 신화에는 용과 봉황이 어우러지면 천하무적이라는 의미를 갖는다고 합니다.

 

 

교태전(交泰殿) 내부 

 

 

          

                                                                                                <참고사진>  

후삼궁에서는 유일하게 전(殿) 가운데 황후의 보좌(寶座)가 있는데, 황제의 보좌에 비하면 단조롭고 그리 화려하진 않습니다. 그리고 바닥에는 금전(金塼)이 깔려 있습니다.  

 

                                                 

                                                           황후의 보좌(寶座)

 

       

                                                                 조정(藻井)  <참고사진> 

 

   천장 중앙 용이 여의주를 몰고 있는 형상의 조정(藻井)이 태화전의 것을 축소한 듯한 모습입니다.

 

 

건륭황제어제'교태전명'(乾隆皇帝御制交泰殿銘)  <참고사진>  

 

전(殿) 가운데 보좌(寶座)가 있고 보좌 뒤에는 건륭제(乾隆帝) 어필(御筆)의 교태전명(交泰殿銘)이 쓰여진 4폭 병풍이 있습니다. 교태전에 대해 기록한 교태전명(交泰殿銘)에는 "건청궁 뒤에 있고 곤녕궁 앞에 있으며 전(殿)의 이름은 땅과 하늘이 서로 크게 교차하는 교태(交泰)의 괘(卦)에서 취하였다..." 등의 내용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무위(無爲)  <참고사진> 

 

교태전명(交泰殿銘)이 쓰여진 4폭 병풍 위로는 강희제(康熙帝) 어필인 "무위(無爲)'라는 편액이 걸려있습니다. 무위(無爲)를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행함이 없다" 이지만 "무위"의 본뜻은 행함의 유무를 떠나 "억지로 꾸미는 작위(作爲)와 가식(加飾)과 허위(虛僞/虛威)가 없다"는 것입니다.

 

                                        

                                                                                          <참고사진> 

무위(無爲)는 도교(道敎)의 정치적 이상인 '무위지치( : 성인의 덕이 지극히 커서 아무 일을 하지 않아도 천하가 저절로 잘 다스려짐)를 나타내는 것이지요.

 

위무위즉무불치(爲無爲則無不治: 무위를 행하기에 다스려지지 않는 것이 없다)

 

다스리고자 한다면 무위(無爲)를 행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면 자유롭고 안정된 가운데 저절로 다스려지고 이루어 질 것이다. 억지스럽고 인위적으로 하다보면 탈이 나게 마련이다.

 

                                                                                              <참고사진> 

이렇게 무위(無爲)란'자연과 사회의 흐름을 억지로 막으려 하지 않으면 언젠가 스스로 조화를 이루게 된다'라는 도가(道家)의 정치사상으로 '황제는 하늘의 뜻에 따라 백성들과 같이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강희제(康熙帝) <참고사진> 

 

강희제(康熙帝)는 "무위(無爲)'의 의미를 빌어 하나는 신하들이 하는 일에 과도하게 간섭하지 않는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황후 비빈들은 조정의 일에 간여해서는 안된다는 두 가지를 새겨두고자 하였을 것입니다.

 

 

25보(二十五寶)

 

  

                       

                                             청대황제25보(淸代皇帝二十五寶)   <참고사진> 

 

보좌(寶座)의 좌우와 뒷쪽으로는 25보(二十五寶)가 보관, 진열되어 있습니다. 25개의 어보(御寶)황제가 행사할 수 있는 권력을 대변하는 인장(印章)입니다.

 

건륭제(乾隆帝)  <참고사진>

 

건륭(乾隆)13년(1748) 황제가 이전의 어보는 많은 숫자에도 불구하고 그 용도가 불분명하여 혼란스럽다 하여, 새롭게 황권의 대표적인 25가지를 인장에 새겨 교태전에 보관토록 하였습니다.

  

     

  

    

                                                      25개 어보(御寶) 중 일부  <참고사진> 

 

25보(二十五寶)는 나라의 일을 다루는 권한(權限)을 나타내고, 황제의 지시를 이행하도록 하는 어쇄(御壐)입니다. 

 

          

                                       어보(御寶)의 계보 '황제보보(皇帝寶譜)' <참고사진> 

 

각각의 어보(御寶)에는 그 사용 용도가 있는데, 조서(詔書)에 찍는 '황제지보(皇帝之寶), 군사용인 토죄안민지보(討罪安民之寶), 제사용인 천자지보(天子之寶) 등 25개 어보의 용도가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습니다.  

 

                        

 청옥으로 만든 '황제지보(皇帝之寶)'  <참고사진> 

 

           

                                     단향목으로 만든 '황제지보(皇帝之寶)'  <참고사진> 

 

어보(御寶)는 청옥으로 만든 '황제지보(皇帝之寶)'만 만주문자의 전서(篆書)로 새겼고, 나머지는 모두 만주문자 본자(本字)와 한문 전서(篆書)로 새겼습니다. 

 

건륭제(乾隆帝)의 어보(御寶)  <참고사진>

 

또한 어보는 금, 옥, 향나무, 박달나무 등으로 만들었으며, 인유(印紐, 끈을 묶는 곳)는 춤추는 용(龍), 서로 엉켜있는 용(龍) 등 여러가지 형태로 정교하고 아름답게 꾸몄습니다. 

  

                                                                                                                                 <참고사진> 

어보(御寶)는 평소 교태전 보좌(寶座) 주위에 황색 비단으로 감싸 덮여 있는 25개의 보록(寶盝)속에 각각 1개씩의 어보가 보관되어 있으며, 매년 정월 길일, 길시를 택하여 황제가 참석하는 옥새를 개봉하는 개보례(開寶禮) 의식을 거행하였습니다.

 

                                   

                                                        어보보록(御寶寶盝)  <참고사진> 

 

어보(御寶)는 보록(寶盝)이라 부르는 외함(外函)인 대상(大箱, 큰상자)과 소상(小箱, 작은상자), 상가(箱架, 상자 올려놓은 궤상), 인지(印池) 및 기타 부속물로 겹겹이 쌓여 있습니다.

 

                                                                                                                   <참고사진> 

대상(大箱)은 높이 1척3촌, 가로,세로 각 1척2촌으로 나무에 주칠하였으며 황금의 용문양을 넣었으며, 안쪽에는 황색 비단을 발랐습니다. 소상(小箱)은 높이 9촌, 가로,세로 각8촌5푼으로 향초 꽃무늬를 새겼습니다.

 

인지(印池)  <참고사진>

 

                  소상(小箱) 내에는 어보(御寶)를 담는 순금으로 된 인지(印池)가 있습니다.

 

                                                                 상가(箱架)  <참고사진> 

 

상가(箱架)는 높이 2척1촌, 가로, 세로 각 1척8촌, 매화나무로 만들었으며 용 조각에 주칠, 금장식으로 꾸몄습니다.

 

 

대자명종(大自鳴鐘)과 동호적루(銅壺滴漏)

 

 

                                                                                                                               <참고사진> 

교태전 안 중앙 보좌 양 옆으로 좌측[동쪽]에는 건륭10년(1745)에 만들어진 구리로 된 물시계인 동호적루(銅壺滴漏)가 놓여 있고, 우측[서쪽]에는 가경10년(1798)에 만들어진 자명종 시계인 대자명종(大自鳴鐘)이 놓여 있습니다.    

 

 

       대자명종(大自鳴鐘)                             <참고사진>                               동호적루(銅壺滴漏) 

 

                            
                                              대자명종(大自鳴鐘)  <참고사진> 

 

가경(嘉慶)3년(1798) 궁내의 제조처인 조판처(造辦處)에서 느티나무로 만들었습니다. 높이는 5.8m, 상, 중, 하 삼층으로 분리되며 자명종 뒤로는 작은 사다리가 있어 위쪽으로 올라 꼭대기까지 이를 수 있습니다.

 

대자명종(大自鳴鐘)  <참고사진> 

 

이 자명종은 200여년이 지났음에도 아직까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으며 스스로 종을 쳐 시각을 알려주는데 그 소리가 맑고 부드러워 당시의 뛰어난 제조 기술을 대변하고 있습니다.

 

 

                                              동호적루(銅壺滴漏)  <참고사진> 

 

건륭(乾隆)10년(1745)에 만들어졌으며, 중국 고대 시간 측정기구인 구리로 된 물시계로 현재까지 완전하게 보존되어 있습니다. '루대(漏臺)'라고도 부릅니다.

 

 

융복문(隆福門)과 경화문(景和門)을 살펴보고 곤녕궁(坤寧宮)으로..

 

 

         서쪽에서 본 교태전(交泰殿)곤녕궁(坤寧宮). 이 계단을 내려가면 융복문(隆福門)으로..  

 

                              

교태전(交泰殿) 주위의 화려한 유리기와와 채색벽돌 

  

 쪽에서 본 교태전(交泰殿)곤녕궁(坤寧宮). 이 계단을 내려가면 경화문(景和門)으로..  <참고사진> 

 

 

 융복문(隆福門)과 경화문(景和門)

 

 

융복문(隆福門)과 경화문(景和門) 위치 <참고사진> 

 

                                             융복문과 경화문 위치  <google참고사진>

 

                                                                                                                <참고사진> 

                    교태전의 동쪽과 서쪽에는 융복문(隆福門)과 경화문(景和門)이 있습니다.

 

 

융복문(隆福門) 

 

                                                            융복문(隆福門) <참고사진>  

 

       정면 3칸인 이 문을 나서면 내서로(內西路)가 나오며, 서육궁(西六宮)으로 갈 수 있습니다.

 

 

경화문(景和門) 

 

 

                                                              경화문(景和門) <참고사진>  

              이 문을 나서면 내동로(內東路)가 나오며, 동육궁(東六宮)으로 갈 수 있습니다.

 

경화문(景和門) 현판 글씨 <참고사진> 

 

 

 

 

 

 

                                                   교태전(交泰殿)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