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와 여행(해외)/중국(북경-자금성)

中國(北京) - 화표(華表)/자금성 입구

케인스 2011. 10. 27. 00:38

 

 

                                                       화표(華表)

 

 

                                  중국 북경(北京) / 천안문(天安門) 앞  

 

   

 

☞  천안문(天安門)의 화표(華表)

 

    

                                천안문(天安門) 앞 화표(華表)의 위치  <참고사진>

  

천안문(天安門) 앞과 뒤 화표(華表)의 위치(O)

 

                     천안문 앞[남쪽]과 뒤[북쪽]에는 각각 한 쌍의 화표(華表)가 있습니다.

 

천안문 앞[남쪽] 좌우의 화표(華表) <참고사진>

 

천안문 뒤[북쪽] 좌우의 화표(華表) <참고사진>

 

                                            천안문(天安門) 앞의 화표(華表) <참고사진>

 

천안문(天安門) 앞에는 한쌍의 한백옥(漢白玉;흰 대리석) 기둥의 화표(華表)가 있습니다. 화표(華表)는 천안문(天安門)과 같이 명(明) 영락(永樂)년간(1403~1424)에 세워졌으며 지금까지 500여년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습니다. 화표(華表)는 높이 9.57m, 직경 98cm, 무게는 20여톤으로 두 화표(華表)간의 거리는 96m입니다.

 

                                                    대좌(臺座)와 돌 난간 <참고사진>

 

     

                                                         돌 난간 기둥 위의 새끼사자 조각 <참고사진>

 

 

돌 난간 기둥의 운룡(雲龍) 조각 <참고사진>

 

화표(華表) 각각 수미좌(須彌座) 형식의 대좌(臺座)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대좌를 빙 둘러 돌 난간을 세웠습니다. 돌 난간의 모서리에 있는 4개의 사각 돌기둥 위에 사자새끼가 한 마리씩 있습니다. 난간은 화표를 보호하는 기능 외에도 화표를 더욱 장엄하게 보이게 합니다.

 

                                                                                                                                                <참고사진>

 

몸체는 육각형이고 머리를 위로 두고 올라가는 용의 무늬가 조각이 되어 있으며  용의 몸통 주위에는 구름이 모여있어 용이 구름 사이를 뚫고 하늘로 승천하는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참고사진>

 

화표 기둥의 몸체 위에 횡으로 걸려있는 雲板(운판)이 있으며 그 윗부분에는 쟁반과 같은 원형 석판이 있으며 이를 화개(华盖) 또는 승로반(承露盤)이라고 합니다. 설(說)에 따르면 漢武帝(한무제)가 하늘에서 내린 감로수를 仙人(선인)이 받아서 건네면 ‘장생불로’ 한다고 하여 그것을 마셨다고 하는데서 유래하여 이 쟁반에 고인 이슬을 마시면 신선(神仙)이 된다고 합니다. 明(명) 淸(청) 시기에 와서는 이 승로반 위에 “후(犼)”라고 하는 작은 짐승을 조각하여 올렸습니다.

 

                                                                                                                                     <참고사진>

 

승로반(承露盤) 위에 웅크리고 앉아 있는 짐승은 용의 9자식 중 하나라는 설(說)과 개과의 동물인 "후(犼)"라는 설이 있습니다. 후(犼)는 사리에 밝은 품성을 가지고 있다고 전하며 앞을 향하여 고개를 조금 들고 바라보고 있다고 해서 사람들은 "망천후(望天犼)"라고 부릅니다.    

   

                                                                                                      <참고사진> 

                             

천안문 북쪽 화표의 머리를 북쪽으로 향하고 있는 망천후(望天犼)는 황제가 궁 밖으로 나가 백성들을 보살피기를 원한다는 의미로 이 망천후(望天犼)를 "망군출(望君出)"이라 하였습니다.

 

                               

                                                                                                   <참고사진>

한편 천안문 남쪽 화표의 머리를 남쪽으로 향한 망천후(望天犼)는 밖으로 나간 황제가 빨리 돌아와 조정을 돌보기를 원한다는 의미로 이 망천후를 "망군귀(望君歸)" 또는 “반군귀(盼君歸)” 라고 부르기도 하였습니다.

 

                       

                                                                                                     <참고사진>

이렇게 화표(華表) 꼭대기의 후(犼)는 황제의 근신(勤愼)을 독려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사진>

 

천안문(天安門) 앞 금수교(金水橋)의 옛 사진을 보면 현재의 천안문 앞 화표(華表)의 위치는 원래의 위치보다 어로교(御路橋)로부터 좀 더 떨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사진>

천안문 앞 화표(華表)의 위치는 원래 왕공교(王公橋)와 품급교(品級橋) 사이에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화표(華表)

 

 

              

                                                                        <참고사진> 

 

화표(華表)는 중국 고대 궁전과 능(陵), 묘(墓) 등의 대형 건축물 앞 도로 양쪽에 설치되어 있는 커다란 석주(石柱)로 중국의 전통적인 건축형식의 하나이며 표지성건축[Land Mark]의 한 종류로 신도주(神道柱), 석망주(石望柱), 표(表/표지), 표(標/높은나무), 갈(碣/비석)이라 칭하기도 합니다.

 

 

                                                                                                         <참고사진>


화표(華表)는 일반적으로 기둥의 기초인 대좌(臺座), 기둥의 몸체인 반룡주(蟠龍柱), 기둥의 윗부분에 있는 원형 석판인 화개(华盖) 또는 승로반(承露盤)과 그 위의 준수(蹲獸: 앉아있는 짐승), 이렇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참고사진>

 

기둥의 몸체에는 용(龍)이나 봉황(鳳凰)등의 문양이 조각되어 있으며, 위쪽에는 꽃을 조각한 석판(石板)이 기둥의 윗부분을 가로질러 있습니다. 멀리서 바라보면 구름을 가로질러 가는 것 같은 느낌을 줍니다. 

 

                    북송(北宋)시대 장택단(張擇端)이 그린 청명상하도(淸明上河圖)  <참고사진>

 

        

                  청명상하도(淸明上河圖: 부분확대)에 그려진 화표목(華表木) <참고사진>

 

화표(華表)는 아주 긴 역사를 지니고 있는데 멀리는 요(堯)나라 때 당시 나무기둥에 나무를 가로로 묶어둔 것으로 백성들로 하여금 관리(官吏)를 평가하거나 견해를 제시해 군주에게 간언했던 것으로 "표목(表木)"이라 불렀습니다. 이 표목(表木)은 여론수렴을 목적으로 만들어졌지만 실제로는 주로 남을 헐뜯는데 사용되어 '비방목(誹謗木)'이라고도 불렸습니다.

 

                                                                                                                                  <참고사진>

 

주(周)나라 때에 와서는 경전제(耕戰制)를 시행하면서 밭과 밭의 경계에 나무를 세워 땅의 경계와 거리를 나타내어 사람들로 하여금 도로의 거리를 알려 주었으며 "우표(郵表)"라 불렀습니다. 또한 다리와 도로의 양쪽에 비슷한 나무를 세워 길을 식별하는 표지로 간주했었습니다.

 

 <참고사진>

 

화표(華表)에 대한 또다른 견해는 화표의 맨위에 '후(犼)'라는 개과의 동물을 올려 둔 것에서 비롯한 생각으로 원시부족 시대의 토템의 상징이라는 것입니다. 이후 절대 왕권시대에 들면서 토템사상이 희박해지고 이 동물은 점차 길운을 가져다 주는  것으로 의미가 변화하였는데 여기에 올라간 동물이 후(犼) 말고 백학(白鶴) 등도 보이기 때문입니다.

 

                                                                                                                                                            <참고사진>

 

또한 화표(華表)는 원시사회 보행자들을 위한 도로표지판의 역할을 하였다고 합니다. 요순시대 도로를 식별하기 위해서 중요한 교통도로 옆에 나무를 심었으며 후에 이 나무를 이용하여 우체국,여관 등을 표시하였다고 합니다. 이 나무의 이름은 환목(桓木) 또는 표목(表木)이라고 하다가 나중에 환목(桓木)으로 총칭하였습니다. 고대에는 "桓"과 "華"의 발음이 유사하였다고 합니다.

 

                         

                                                                                                                                              <참고사진>

 

한편 고대 기상관측에 사용하였던 도구라는 설입니다. 즉 춘추전국시대 사람들이 천문을 보기위해서 나무를 세우고 해의 그림자로서 방위와 절기를 따졌다는  설입니다. 또한 건축공사가 행해지면 바로 이 화표도 공기에 맞춰 똑같이 세워졌고 공사가 끝난 뒤에는 화표 역시 그 건축물의 부속물로 남겨졌다는 설이 있습니다.

 

     

                                                                  <참고사진>

 

이렇게 화표(華表)는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점점 원래의 의미와 기능을 잃고 단순히 장식물로 변하였으며 궁전 건축 예술중의 한 부분으로 되었습니다.

 

 

 

 

 

 

 

 

                                 화표(華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