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일지/한국명산

남한산성(10.10.31)

케인스 2010. 11. 20. 00:05

 

 

 

 

                            남한산성(10.10.31) 

 

  

▶ 날씨 :  맑음, 옅은 구름.  최고기온: 17.0℃,  최저기온: 7.1℃,

                                     

등산코스 : 

  

마천역 - 남한산성 등산로 2,4번 갈림길(산행들머리) - 서문옆 전망대 - 우익문(서문)지화문(남문)좌익문(동문) - 벌봉(515m) - 전승문(북문) -  우익문(서문) - 남한산성 등산로 2,4번 갈림길(산행날머리) 마천역 

 

 

 

                                              남한산성(南漢山城)

 

서울에서 동남쪽으로 약24km 떨어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에 있는 남한산성은 행정구역으로는 광주시, 하남시, 성남시에 걸쳐 있으며 성 내부는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에 속해 있다.

 

 

 

한강과 더불어 남한산성은 삼국의 패권을 결정짓는 주요 거점이였다. 백제가 하남 위례성에 도읍을 정한 이후 백제인들에게 있어서 남한산성은 성스러운 대상이자 진산으로 여겼다. 남한산성 안에 백제의시조인 온조대왕을 모신 사당인 숭열전이 자리잡고 있는 연유도 이와 무관하지만은 않을 것이다. 

           

               

 

남한산성은 조선왕조 선조에서 순조에 이르기까지 국방의 보루로서의 역할을 한 장소였다. 특히 조선 왕조 16대 왕 인조는 남한산성의 축성과 몽진, 항전이라는 역사의 회오리를 이곳 산성에서 맞고 보낸 바 있다. 인조2년(1624)부터 남한산성 축성 공사가 시작되어 인조4년(1626년)에 완공하였다. 그러나 1894년에 산성 승번제도가 폐지되고, 일본군에 의하여 화약과 무기가 많다는 이유로 1907년 8월1일 폐허로 변하고 말았다. 

 

 

 

1963년 1월21일 남한산성의 성벽이 국가 사적 제57호로 지정되었고, 1971년 3월17일 남한산성은 경기도립공원으로 지정(제158호)되었으며, 5년 후인 1976년 7월1일 관리사무소가 개소되었다. 1999년에는 남한산성 역사관이 개장하였고, 2010년에는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되었다.

 

    

 

  우익문(서문)에서 출발, 산성 일주 후 서문으로 돌아와  다시 제6암문[서암문(西暗門)]을 거쳐 하산 

  

 

▶ 산행거리: (약15km), 실제 산행(들머리~날머리) 및 답사 시간: (7시간18분 소요) 

 

 

 

마천역---(21분)--- 남한산성 등산로 2,4번 갈림길(산행들머리)---(42분)--- 우익문(서문)---(답사 및 일주: 5시간40분)--- 우익문(서문)---(54분)--- 남한산성 등산로 2,4번 갈림길(산행날머리)---(21)--- 마천역 

  

 

▶ 남한산성 들머리 가는 길

    

  

                                            남한산성 들머리 가는 길

                                                   

지하철 5호선 마천역 1번 출구로 나와서 직진, 큰삼거리에서 왼쪽 방향으로 진행하면 만남의 장소 표지가 보이고 개천과 군부대 담을 끼고 계속 오르면 남한산성 등산로 안내판이 있는 들머리에 이르는데 역에서 이곳까지는 약20분 가량 걸린다. 

 

                                                        마천역 1번 출구 / 08:05

 

                                               1번 출구에서 직진후 왼쪽으로 / 08:05

 

                                                왼쪽으로 전환 후 계속 직진 / 08:06 

 

               

                                                                 직진 / 08:09

 

                                                                직진 / 08:13

 

                                                     만남의 장소 표지 /  0814

 

 

                                           오른쪽 개천으로 붙어 진행한다 / 08:16

 

                                                                     08:17 

 

                

                                                                    08:24

 

                            산행 안내판(2번 코스로 오르고, 5번코스로 하산한다) / 08:26 

 

                                                  산행의 들머리와 날머리 / 08:26

 

 

 

                                                                     08:28 

 

                                                 헬기장 방향으로(왼쪽길) / 08:30 

 

                                                         만남의 다리 / 08:30

 

                                                                      08:31 

 

                                                                     08:32 

 

                                                            왼쪽으로 / 08:35 

 

                                                      헬기장 방향으로 / 08:35  

 

                                                      산할아버지 동상 / 08:36 

 

                                                            산할아버지 동상

 

* 산할아버지 *

 

여기에 길과 다리 3개와 층계를 3개씩이나 손수 만드시고 수많은 벚꽃나무와 은행나무, 단풍나무를 비롯한 관상수를 손수 심고 가꾸시어 보시는대로 정원 같은 등산로를 만드시다 고인이 되셨습니다. 자손만대 자연사랑으로 이곳에 절대 산불이 나서 훼손되는 일이 없기를 바라기에 고인의 뜻을 기리고 추모하고자 이 상을 세웁니다.

 

2006년 4월5일 식목일   이 골짜기를 사랑하는 사람이

 

                                                                     08:38 

 

                                                                      08:40 

 

                                                               헬기장 / 08:41 

 

                                                                       08:42

 

                                                                       08:49

 

                                                                      09:01

 

                                             산성 우익문(서문) 근처에 도착 / 09:04

 

                                                   등산로 도착지점 옆의 전망대

 

 

眺望  청계산, 관악산, 대모산 

 

                                                            眺望  남산, 북악산

 

                                                    眺望  북한산, 아차산, 이성산 

 

                                                               당겨 본 북한산

 

                                        眺望  북한산, 도봉산, 불암산, 아차산, 이성산

 

                                                               당겨 본 도봉산

 

                                              전망대에서 본 우익문(右翼門) / 09:09 

 

 

우익문(서문)/右翼門(西門)

 

 

 

                                                    우익문(서문)/右翼門(西門) / 09:10 

 

 

    

                                                         우익문(서문)  위치도

  

 

   우익문(右翼門) 현판

 

 

               우익문(서문) 중앙의 홍예문(虹霓門) 높이는 2.5m, 폭이 약 2.1m, 옆면은 3m이다.

 

 

성의 4대문 중 입구가 가장 좁다. 적의 공격에 대비해 방형 철엽을 서로 겹치도록 씌운 홍예문의 판문.

 

 

                                                    성의 안쪽에서 보는 우익문(서문)

 

 

 

 

                                                           문루(門樓) / 09:14 

 

문루(門樓)는 1978년 복원하였고 목조 단층에 기와를 얹은 겹처마 팔작지붕 건물이다. 원형 초석 위에 원주를 세웠으며 높이는 2.17m이다. 문루의 앞 뒤로 1m 높이의 전벽돌 평여장이 설치되어 있다.

 

                                                                      09:15 

                                                                      09:18  

   

                          

                                                        친환경전기차량 / 09:23

  

                                                                       09:24 

 

                                                                      09:25

 

                                       남한산성(南漢山城)

 

남한산성은 조선시대 뿐 아니라 삼국시대부터 천연의 요새로 중요한 역할을 하던 곳이다. 백제의 시조인 온조의 왕성이었다는 기록이 있고, 나당전쟁이 한창이던 신라 문무왕12년(672)에 한산주에 쌓은 주장성이라는 기록도 있다. 고려시대에는 몽고의 침입을 격퇴한 곳이기도 하고 일제강점기엔 항일운동의 거점이 되기도 한 곳이다. 그러나 남한산성은 주로 병자호란으로 기억되는 곳이다. 조선 인조14년(1636)에 청나라가 침략해오자 왕은 이곳으로 피신하여 항전 하였으나, 왕자들이 피신해 있던 강화도가 함락되고 패색이 짙어지자 세자와 함께 성문을 열고 삼전도에 나가 치욕적인 항복을 한 장소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작 남한산성은 패배를 알지못하는 곳이다. 성의 외부는 급경사를 이루어 적의 접근이 어렵고, 내부는 경사가 완만하여 넓은 경작지와 물을 갖춘 천혜의 전략적 요충지이기 때문에, 병자호란 당시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청군에 함락당하지 않고 47일이나 항전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처럼 오랜 기간동안 우여곡절을 가진 성의 역사처럼 성곽의 형태 또한 단순하지 않아서 하나의 폐곡선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본성, 봉암성, 한봉성, 신남성과 5개의 옹성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구조이다. 인조4년(1626)에 중앙부의 가장 큰 폐곡선인 본성이 완성되었고, 병자호란 이후 방어력을 높이기 위하여 동쪽의 봉암성, 한봉성 등을 비롯하여 여러차례 증축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안내판에서>

   

 

             

 

 

수어장대와 청량당

            

 

 

                                                  수어장대와 청량당 입구 / 09:29 

 

                                             수어장대, 청량당, 무망루현판 배치도

 

 

 

                                                      수어장대, 청량당 위치도

 

 

★  보호수: 향나무

 

 

                                   수어장대 입구의 경기도 보호수: 향나무, 수령 300년

 

 

 

★  청량당

 

 

                                                             청량당(淸凉堂)  <참고사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호인 청량당은 인조2년(1624) 남한산성을 쌓을 때 동남쪽 부분을 책임지고 공사하다가 공사 경비를 횡령했다는 누명을 쓰고 죽임을 당한 이회(李晦)와, 이 소식을 듣고 한강에 몸을 던져 자살한 그의 부인 송씨와 소실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사당이다. 이회는 누명을 쓰고 죽을 때 자신이 죄가 없으면 사형을 당할 때 매가 한마리 날아올것이라고 예언했는, 이회가 죽으려는 순간 과연 매가 한마리 날아와서 사형당하는 장면을 쳐다보았다고 한다. 이회가 죽은 후 공사비 횡령 사건이 다시 조사되었는데 조사 결과 그가 한 공사는 모두 충실하게 축조되었고 공사비를 횡령한 사실도 없음이 밝혀지자, 서장대(西將臺) 옆에 사당을 지어 그의 넋을 위로하기 위한 뜻으로 초상을 안치해 두었는데, 6.25전쟁 때 분실되었고 지금있는 것은 그 이후에 만든 것이다. 사당은 정면3칸, 측면2칸으로 홑처마, 팔작지붕로 되어있다. <안내판에서>

 

청량당  <참고사진>

 

                                                    청량당(淸凉堂) 대문과 본당

 

‘청량당’이란 이름은 서장대가 서 있는 산이 곧 청량산이므로 산 이름을 당집 이름으로 부른 것이며 ‘청량’은 ‘맑고 서늘한 기운’을 뜻한다.  

 

청량당(淸凉堂)

 

청량당(淸凉堂)은 목조 단층의 기와지붕 건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이며 면적은108평이다. 1972년 5월 4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호로 지정되었다. 현재 해마다 한 차례씩 이곳에서는 지방 무속인들이 제사를 지낸다.

 

이회의 초상화

 

청량당 내부 전면에는 이회의 초상화가 있고 좌, 우편에는 벽암대사(碧岩大師)와 이회의 처첩 초상화가 각각 봉안되어 있다. 원래의 것은 6.25 전쟁 때 분실되었고 지금 있는 것은 그 뒤 새로 만든 것이다.

 

 

★  수어장대

 

 

                            

                                     남한산성(南漢山城) 수어장대(守禦將臺) / 09:33

 

수어장대(守禦將臺)는 지휘와 관측을 위한 군사적 목적에서 지은 누각이다. 남한산성에 있는 5개의 장대 중 유일하게 남아 있으며, 성 안에 남아있는 건물 중 가장 화려하고 웅장하다. 인조2년(1624) 남한산성 축성 때 단층으로 지어 서장대라 불리던 것을 영조27년(1751) 유구 이기진이 왕명을 받아 이층으로 다시 짓고 '守禦將臺(수어장대)'라는 편액달았다. 수어장대 2층 내부에는 '무망루(無忘樓)'라는 편액이 달려 있었는데, 병자호란 때 인조가 겪은 시련과 8년간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갔다가 귀국하여 북벌을 이루지 못하고 승하한 효종의 원한을 잊지 말자는 뜻에서 조가 지은 것이다. 현재 무망루 편액은 수어장대 오른편에 보호각을 지어(1989)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보관하고 있다. <안내판에서..>

 

수어장대 정면

 

남한산성 내의 주봉인 청량산 정상에 세워있는 건물로, 남한산성을 지휘, 관측하기 위한 군사적 목적으로 지은 지은 누각이다.

 

                                                     '守禦將臺(수어장대)' 현판

 

수어장대 동쪽면

 

지금의 건물은 1836년 유수 박지룡이 개축한 것이다. 수어서대(守禦西臺) 라고도 불렀다. 수어장대는 1층의 사방 1칸은 복도로 비워두고 앞면 3칸과 옆면 2칸에만 장마루를 깔고, 사방에 높이 45cm인 난간을 둘렀다.

 

수어장대 동북쪽면

 

2층은 1층 우측 뒤쪽에 있는 사다리를 타고 올라갈 수 있도록 하였다. 2층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양식의 2층 누각이다. 사방에 판문을 달았으며 판문에는 태극무뉘를 그렸다. 천장 양식은 연등천장이다. 지붕은 상,하층 모두 겹처머를 둘렀다.

 

                           높이 60cm의 팔각 장주초석 위에 올라가 있는 건물의 기둥

 

수어장대 서쪽면

 

남한산성의 수어는 처음에 총융청이 맡았으나 성이 완공되자 수어청을 따로 열어 전담케 하였다. 수어청에는 전, 후, 중, 좌, 후의 5영이 소속되었는데 전영장은 남장대, 중영장은 북장대, 후영장과 좌영장은 동장대, 우영장은 서장대에 배치되어 소속 휘하의 장졸들을 지휘하였다.

 

 

★  매바위

 

 

매바위

 

 

 

                                매바위에 수어서대(守禦西臺)라는 글씨가 조각되어 있다.

  

 

★  무망루(無忘樓)

 

 

                                           수어장대 동쪽의 '무망루(無忘樓)' 보호각

 

'무망루(無忘樓)' 편액 보호각

 

'무망루(無忘樓)' 현판

 

                           수어장대 2층 내부에 달려있던 '무망루(無忘樓)'라는 현판이다.

 

 

    

'무망루'보호각과 그 동쪽의 '이대통령 기념식수' 석비

 

      

'리대통령각하행차 기념식수'(1953년 9월6일) 석비와 오른쪽의 식수한 전나무(수령 약 70년)

     

 

★  탁지부측량소삼각점(度支部測量小三角點)

 

                                             

                               탁지부측량소삼각점(度支部測量小三角點)

 

대한제국 말기 (1908~1910년초) 탁지부(度支部)에서 토지조사사업을 시행하기 위하여 건국 이래 최초로 경기도와 경상북도의 일부 지역에 지적세부측량(지적세부측량)의 기준이 되는 삼각점(三角點)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1910년 8월 경술국치 후 조선총독부에서 전국적인 토지조사사업을 시행하기 위하여 한반도에 일제히 삼각점을 설치하면서, 이와 구별하기 위하여 탁지부에서 설치한 삼각점을 구소삼각점(舊小三角點)이라고 하였다. 이곳 경기도 남한산성 도립공원의 수어장대에 설치되어 있는 구소삼각점은 '장대(將坮)' 라고 불리며, 머리 부분에 "+" 자가 새겨져 있고 모서리에 "度支部" 라고 음각되어 있으며 정확한 위치는 다음과 같다.

 

소재: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 815-1(지목:사적지)
위도: 37˚ 20' 37" 445
경도: 127˚ 10' 32" 180
해발고도: 495.34m

 

탁지부에서 설치한 구소삼각점은 현재 전국에 10여 점이 남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적사(地籍史)적 측면에서 볼때 매우 귀중한 유뮬로써, 삼각점으로는 우리나라 최초로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안내판에서>

 

 

                                              구소삼각점(舊小三角點) '장대(將坮)'

 

                                                      수어장대 출구 / 09:29 

 

                                                          청량산(482.6m) / 09:29

 

              남한산성의 주봉인 해발 482.6m의 청량산이며, 최고봉은 해발 522m인 남한산이다.

 

                                              청량산에서 바라본 북한산 / 09:46 

 

 

제6암문[서암문(西暗門)]

 

    

  

                                  제6암문[서암문(西暗門)] 안쪽 개구부(開口部) / 09:49 

 

 

 

 

                                                            제6암문 위치도

  

  

                                                  제6암문 바깥쪽 개구부(開口部) 

 

암문(暗門)이란 적의 관측이 어려운 곳에 설치한 비밀 성문이다. 병기, 식량 등을 운반하고 적에게 포위 당했을 때 적의 눈에 띄지 않게 구원병을 받거나 역습하는데 쓰였다. 네모 반듯한 평거식 암문과 둥그런 모양의 홍예식 암문이 있다. 남한산성에는16개의 암문이 있으며 한국 성곽 중에 가장 많은 암문을 가지고 있다. 암문 안쪽에 쌓은 옹벽이나 흙은 유사시에 무너뜨려 암문을 폐쇄할 수 있게 만들었다.

 

                                                                     09:52 

 

                                                                     09:57 

 

                                                      영춘정(迎春亭) 앞 / 10:02 

 

 

영춘정(迎春亭)

 

 

영춘정(迎春亭)

 

영춘정은 수어장대 우측에 있는 천주봉(462m)에 자리 잡고 있다.

 

 

 

영춘정은 일명 팔각정(八角亭)이라고도 하는데, 남문 아래 영춘정(迎春亭)이 있던 것을 옮겼으며 현 위치에서 경기지방 일대를 관망할 수 있다. 

                    

                                                              영춘정 위치도

  

                                         영춘정에서의 眺望, 남산과 북악산 / 10:03 

 

                                                                    10:04

 

                                                     성남시 검단산(531m) / 10:04

  

                                                                      10:08 

 

                                                    남한산성 여장(女墻) / 10:11 


여장(女墻)이란 성위에 낮게 쌓은 담으로, 이곳에 몸을 숨겨 적을 향해 효과적으로 총이나 활을 쏠 수 있게 만든 시설을 말한다. 남한산성 여장은 다른 성곽에서 보기 힘든 전돌(塼乭)로 축조한 평여장(平女墻)이다. 그러나 여장은 축조시기와 위치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여장재료는 일반적으로 하부는 석재로 상부는 전돌(塼乭)을 사용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여장은 수평되게 축조한 것이 기본 형식이나, 급경사지에서는 계단식으로, 일부 완만한 경사지에는 지형에 따라 경사지게 조성한 예도 보인다. 여장에는 중앙에 근총안 1개와 좌우에 원총안 2개 등 3개의 총안과 여장과 여장 사이에는 활을 쏘기 위한 타구(타구)가 마련되어 있고, 남한산성 여장 규모는 길이 4.2m, 높이 1.3m, 폭 0.8m내외가 일반적이다.

 

 

 

지화문(남문)/至和門(南門)

 

 

                                     지화문(남문)/至和門(南門) / 10:19

 

 

                   

                                                         지화문(남문) 위치도

 

 

남한산성 남쪽의 성문으로 정식 명칭이 지화문(至和門)이다. 중앙에 홍예문을 두고 그 좌우로는 자연석을 막돌쌓기로 반듯하게 쌓되 수평 줄을 맞추어 쌓았으며, 그 높이가 매우 높아 성벽의 안전을 위해 위로 올라가면서 석축 면에 비탈을 두어 점점 안으로 들여가며 쌓았다. 밑에는 큰 돌을 , 위로 올라가면서 작은 돌을 쌓는 것은 성벽 축조의 일반적인 예이다.

 

 

 

                                                         지화문(남문) 현판

 

                                              방형의 철엽으로 씌운 홍예문의 판문

 

                                                     지화문(남문) 문루 / 10:24 

 

                                                 

상부 여장에 총안을 설치하였고 문루에는 장주초석을 세우고 초익공계 양식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남문 앞

 

                            남문 앞 공덕(功德)을 기린 송덕비(頌德碑)군(群) / 10:25  

 

송덕비는 공덕을 기리는 문자를 새긴 비로서 일명 선정비 또는 유애비라고도 한다. 송덕비는 관직에 있으면서 백성들에게 은혜와 교화를 끼쳤을 때 백성들이 그를 추모하여 비를 세워 공덕을 기리는 것으로 공적을 심사하여 임금의 허락을 받아 세우는 것이 원칙이다. 남한산성의 송덕비는 광주부윤과 광주유수겸수어사를 지낸 분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흥선대원군의 불망비가 있는 점이 특이하다. 

 

                                                                      10:33 

 

                                                          치(雉) 윗부분 / 10:33 

 

                                                      남한산성 치(雉) <참고사진>

 

치(雉)는 성벽의 일부를 밖으로 돌출 시켜 성벽으로 접근하는 적을 입체적으로 공격할 수 있도록 한 성곽 시설물 중 하나다. 남한산성은 치가 필요 없을 정도로 성벽의 굴곡이 심해 암문도 성벽의 능선을 따라 회전하는 곳에 인접해 설치되어 있다. 축성 기법을 보면  성벽을 쌓으면서 동시에 축성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제7암문(제1남옹성암문)

 

 

                                                  제7암문(제1남옹성암문) / 10:37 

 

 

 

                                                제7암문(제1남옹성암문) 위치도

 

성 안쪽 개구부(開口部) 

 

제1 남옹성으로 통하는 암문이다.   제2, 제3 남옹성은 현재 발굴,보수중이지만, 제1 남옹성은 수풀 속에서 아직 그 실체가 드러나지 않았다.

 

                                                     성 바깥쪽 개구부(開口部) 

 

 

문짝은 없어졌으나 대문을 지탱하는 '문지두' 석재가 위로 보이며  중간 아래쪽에는 '장군목'을 끼워 빗장을 지를 수 있도록 장방형 홈이 파여있다.

 

                        왼쪽 방향으로 '제1남옹성'이 있었으나 아직 복원되지 못하고 있다.

 

 

제1남옹성

 

 

 

 

                                                     제1남옹성(南甕城) 지역

 

제1남옹성은 둘레가 408.7m며 옹성 끝에는 7개의 대포 구멍이 뚫려있다. 원성(元城)과 연결되는 시축지점(始築地點)은 약간 넓게 벌어졌다가 가운데는 잘룩하고 끝 부분은 다시 넓어져 뭉툭하며 옹성 중간 부분에는 봉수대(烽燧臺)가 있었다. 본성에 대한 외적의 공격을 막고 성문을 가리는 일차적 방어 시설물이다.

 

    

                                                           제1남옹성 위치도

 

제1남옹성의 포루(砲壘)  <참고사진>

 

대포를 쏠 수 있는 시설을 포루(砲壘)라고 한다. 남한산성의 포루는 대부분 신남성 방향이나 한봉성 방향을 향하고 있다. 그것은 사방이 산이 험준하여 적의 화포 공격이 가능한 곳이 이 두군데 밖에 없기 때문이다.

 

                            

                                                                     10:39 

 

차량의 통행길과 함께 성문과 유사한 모습의 구조물이 보이는데 축성 당시의 성문은 아니고 수십년전에 군부대 차량 통행용으로 만든  문이다.

 

                           

                                                                     10:44 

                                                      멀리 '제2남옹성치' / 10:45 

 

 

제2옹성암문

 

 

                                                        제2옹성암문 / 10:47 

 

    

                                                            제2옹성암문 위치도

 

 

제2남옹성치

 

                                                          제2남옹성치 / 10:49

 

 

제2남옹성치 위치도

 

 

제2남옹성                                                                                 

 

                                    

                                                           제2남옹성 / 10:50 

 

 

 

 

 

 

                                  

                                                           제2남옹성 위치도

 

 

남장대터(南將臺址)

                                                                              

       

 

                                                    남장대터(南將臺址) / 10:51

 

 

 남장대지 위치도

 

                                                    남장대터에 남아있는 초석

 

 

제3남옹성 서쪽 암문                                                                                                       

                                      

                                 

                                                   제3남옹성 서쪽 암문 / 10:58 

 

제3남옹성 서쪽 암문 위치도

 

                                            제3남옹성 서쪽 암문의 성 안쪽 개구부

 

                                           제3남옹성 서쪽 암문의 성 바깥쪽 개구부

 

                         제3남옹성 서쪽 암문의 성 바깥쪽에서 바라본 성 안쪽 풍경 /11:00 

 

 

제3남옹성

 

 

                                                            제3남옹성 / 11:02 

 

시축 부분에서 축조가 끝나는 부분의 양쪽 벽이 거의 평행이다. 둘레는 116.4m이며 31개의 여담이 있었고, 대포혈이 22개 였으나 현재는 5개만 남아 있다. 이 옹성의 포혈 외성은  사각형이 아니라, 오므라든 형태로 축조한 것이 특이하다.

 

    

                                                            제3남옹성 위치도

 

 

                                                     眺望 성남시 검단산 / 11:03 

 

                                                  眺望 성남시 검단산계곡 / 11:03 

 

 

제3남옹성 동쪽 암문

 

 

                                                    제3남옹성 동쪽 암문 / 11:06 

  

   

                                                     제3남옹성 동쪽 암문 위치도

 

                                               제3남옹성 동쪽 암문의 성 안쪽 개구부

 

                                               한흥사지(漢興寺址) 가는길 / 11:07

 

                                          동문(좌익문)을 향해 뻗어있는 성 / 11:10 

 

 

제11암문(시구문)

 

 

                                              제11암문(시구문/屍口門) / 11:19 

 

제11암문은 해발 305m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한산성에 소재(所在)하는 16개의 암문 중 가장 규모가 큰 것으로 무너져서 기저부만 남아 있던 것을 최근 복원하였다. 외면은 홍예식이고 내면은 평거식이며, 훼손되어 거의 원형을 알 수 없는 상태였는데 1997년 복원공사를 실시하였다. 이 암문은 주검을 내보내던 시구문으로 알려져 있다.

 

    

                                                              시구문 위치도

 

                                                                안쪽 개구부

 

 

수구문(水口門)

 

 

                                                       수구문(水口門) / 11:21 

 

    

                                                               수구문 위치도

 

 

수구의 폭은 188cm이고 높이는 205cm로서 산성내의 알반적인 암문의 크기보다 더 크다. 수구문의 바닥에 깔린 돌에는 폭 23cm 정도 간격으로 직경 9∼12cm, 길이 6∼9cm 정도의 구멍이 파여 있고, 천장석에도 직경 7cm, 깊이 9cm정도의 홈이 파여 있는데, 철심이 박혀 있는 것으로 보아 수구문을 통한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쇠창살을 가로질러 놓았던 것으로 보인다.

 

                                                 동문(좌익문)이 보인다 / 11:22 

 

                                                                     11:23 

 

 

좌익문(동문)/左翼門(東門)

 

 

                                              익문(동문)/左翼門(東門) / 11:25

 

 

 

    

                                                          좌익문(동문) 위치도 

 

 

 

 

                                                        좌익문(동문)의 홍예

 

                                                      좌익문(동문)의 문루(門樓)

 

 

 

 

                                              좌익문(동문)의 성 안쪽 모습 / 11:32

 

 

송암정터

 

 

                                                   송암정지(松岩亭址) / 11:38

 

 

 

    

                                                             송암정터 위치도

 

                                                        성 밖 송암정의 바위

 

송암정은 성 밖의 동문에서 성벽을 따라 동쪽으로 오르면 바위절벽과 그 사이에 말라 죽은 소나무가 서 있는 곳이다. 송암정 표지석은 성 안에 , 송암정의 바위와 고사목은 성 밖에 서 있다.

 

 

 

제1암문(장경사암문)

 

 

 

                            

                                                   제1암문(장경사암문) / 11:47

 

 

 

    

                                                   제1암문(장경사암문) 위치도

 

                                                         성 안쪽 개구부(평거식)

 

                            

                                                 성 바깥쪽 개구부(홍예식) / 11:48

 

                                               제1암문 밖에서 본 장경사 쪽 / 11:49 

 

 

수구(水口)

 

 

                                                           성벽의 수구 / 11:50 

 

성내에는 축성 위치에 따라 부분적으로 우수가 모이게 되는 지점에는 별도로 작은 수구를 설치하여 성벽안으로 물이 스며들어 성벽을 약화시키는 것을 방지하였다. 산성내의 수구는 모두 28개에 달한다. 일반적으로 수구는 낮은 곳으로 모여든 물을 성밖으로 배출하였기 때문에 배수구의 위치는 외면에서 볼 때 출수구의 위치가 성벽의 중간에 있는 경우도 많다.

 

    

                                                                수구 위치도

 

                                                                     수구

 

수구의 형태를 보면 바닥돌은 판석 끝부분을 타원형이 되도록 다듬은 다음 성벽에서 약 30cm 정도 돌출시켜놓고, 그 위에 양측면의 바닥돌의 안쪽으로 물려 1매, 또는 2매의 성돌을 올려놓고, 그 위에 횡방향으로 길게 뚜껑돌을 올려 놓아 마무리하였다.

 

                                                               수구의 안쪽

 

 

장경사(長慶寺)

 

 

                                                    장경사(長慶寺) 입구 / 11:51

 

성내에 존재했던 9개의 사찰 중 당시의 모습으로 남아 있는 현존한는 유일한 사찰이며, 남한산성 동문 안에서 동북쪽으로 약 350m거리의 해발 360m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망월봉의 남사면 중턱 곡저부이 완경사면을 이용하여 비교적 넓은 대지를 구축하였다.

 

                                                       장경사

 

 

 

    

                                                               장경사 위치도

              

 

                                       

장경사신지옹성(長慶寺信地甕城)

 

  

                                             장경사신지옹성(長慶寺信地甕城) / 12:01

 

 

 

     

                                                  장경사신지옹성 및 암문 위치도

 

                               성 바깥쪽 암문 개구부에서 본 장경사신지옹성 / 12:04 

 

 

제2암문(장경사신지옹성 암문)

 

 

                                           제2암문(장경사신지옹성 암문) / 12:02

 

 

 

                                                    성 안쪽 암문 개구부 / 12:02

 

                                                        성 바깥쪽 암문 개구부

  

                                           동장대지까지 계속 오르막이다 / 12:06 

 

                                                      뒤돌아본 오르막 / 12:09 

 

 

군포지(軍舖址)

 

 

                                                 남한산성 군포지(軍舖址) / 12:12

 

군포(軍舖)는 성을 지키기 위한 초소(哨所) 건물이다. '중정남한지(重訂南漢志:1848)'에 의하면 남한산성 내에는 125개소의 군포(軍舖)가 마련되어 있었다 하나, 현재는 한군데의 군포도 남아있지 않다. 조사 결과 이 군포지(軍舖址)는 주변보다 약간 높은 평탄한 대지 위에 정면3칸, 측면1칸으로 보이는 초석(礎石)과 벽체(壁體), 그리고 다수의 와편(瓦片)과 조총탄환(鳥銃彈丸)이 나왔다. 이를 통해 군포(軍舖)는 목조가구로 된 건물에 기와를 얹고 벽체는 토석벽(土石壁)을 둘린 건물로 보인다. 또한 군포(軍舖)는 초소건물 기능에 맞게 정면은 트여있고, 내부에 온돌 시설은 보이지 않았다. 이번 정비 시에 발굴된 발굴시의 건물유구를 잘 보존하기 위하여 유구 위를 흙으로 덮고 그 위에 기존 유구와 같은 형태의 모조초석(模造礎石)을 설치하였다.  <안내판에서>

 

    

                                                   남한산성 군포지(軍舖址) 위치도

 

                                                 남한산성 군포지(軍舖址) / 12:13 

 

                                                                     12:14 

 

 

동장대지(東將臺址)

 

 

                                                   동장대지(東將臺址) / 12:17 

 

 

 

    

                                                             동장대지 위치도

 

 

제3암문(봉암성 암문)

 

 

                                                    제3암문(봉암성 암문) / 12:23 

 

 

 

제3암문(봉암성 암문) 위치도

 

                                         제3암문(봉암성 암문) 바깥쪽 개구부 / 12:24 

 

 

봉암성으로 들어가는 암문

 

 

                     남한산성의 제3암문을 나와 봉암성으로 들어가는 암문 / 12:25

 

    

                                                봉암성으로 들어가는 암문 위치도

 

                            

                                            봉암성으로 들어가는 암문 안쪽 개구부

 

 

봉암성(蜂巖城)

 

 

                                                            봉암성(蜂巖城)

 

 

 

    

봉암성 위치도

 

                                                         벌봉 가는 길 / 12:26

 

                                                         오래된 성벽 / 12:27 

 

 

                                                                     12:35 

 

 

                                                  벌봉 표지판과 그 뒤 벌봉 / 12:37

 

 

벌봉 북쪽의 암문

 

 

                                                     벌봉 북쪽의 암문 / 12:37

 

                                                   벌봉 북쪽의 암문 위치도

 

 

                                              벌봉 북쪽의 암문의 안쪽 개구부 / 12:38 

 

                                        

 

 

                                          벌봉 북쪽의 암문의 바깥쪽 개구부 / 12:40 

 

                                                                       ??

 

 

 벌봉(蜂峰) 

 

 

                                                           벌봉(蜂峰) / 12:43

 

 

    

                                                                벌봉 위치도

 

 

 

                                                            벌봉 주위 / 12:47 

 

 

 외동장대지(외東將臺址)

 

 

                                                외동장대지(외東將臺址) / 12:51 

 

 

    

                                                            외동장대지 위치도

 

 

 봉 동쪽 암문 

 

 

                                                        벌봉 동쪽 암문 / 13:02 

 

    

                                                       봉암 동쪽 암문 위치도

 

 

                                          출입구가 흙과 낙엽으로 덮여있다 / 13:02 

 

                                다시 봉암성으로 들어가는 암문으로 되돌아 나옴 / 13:11 

 

                                           멀리 제3암문(봉암성 암문)가 보인다 / 13:11

 

 

제2군포지(第二軍舖址)   

 

 

                                                     제2군포지(軍舖址) / 13:21

 

 

 

    

                                                           제2군포지 위치도

 

 

 제4암문(북암문)

                                                          

 

                                                       제4암문(북암문) / 13:22

 

 

 

    

                                                     제4암문(북암문) 위치도

 

                                                 제4암문(북암문) 안쪽 개구부

 

제4암문(북암문) 밖에서 본 풍경 /13:23 

 

                                                제4암문(북암문)  바깥쪽 개구부

 

                                                  제4암문(북암문) 바깥쪽 홍예

 

                                                          북문 가는 길 / 13:27 

 

                                                                    13:29 

                                                                    13:30 

 

 

 

 

                                                          眺望 하남시 / 13:33 

 

 

 제1군포지(第一軍舖址)

 

 

                                                      제1군포지(軍舖址) / 13:34 

 

 

    

                                                            제1군포지 위치도 

 

                                                          휴식과 함께 / 13:39 

                                             眺望 예봉산과 운길산 / 13:54 

 

                                                                     13:54 

 

 

 전승문(북문)/全勝門(北門)

 

 

                                              전승문(북문)/全勝門(北門) / 14:04

 

 

    

                                                        전승문(북문) 위치도

 

                                                               전승문 현판

 

 

                                                         전승문(북문) 성 안쪽 

 

전승문(북문) 안쪽 성문

 

                                                      전승문(북문) 문루(門樓)

 

                                                       문루에서 본 성 밖 풍경

 

                                                               문루의 초석

 

                                                                     14:09 

 

                                                                     14:15 

 

 

 북장대지(北將臺址)

 

 

                                                    북장대지(北將臺址) / 14:15

 

 

    

                                                             북장대지 위치도

 

                                                                    14:16 

 

 

                                                                     14:16 

 

 

                                                                     14:25 

 

                                            복원 중인 연주봉옹성이 보이고 / 14:28 

 

 

 연주봉 옹성

 

 

                                                  연주봉 옹성(복원공사중) / 14:30 

 

    

                                                         연주봉 옹성 위치도

 

 

                                                                     14:32 

 

                                                                   14:34 

 

 

매탄처(埋炭處)

 

 

                                                        매탄처(埋炭處) / 14:35 

 

 

    

                                                               매탄터 위치도

 

                                                        眺望 서울시 / 14:36

                                      眺望 청계산과 관악산 앞엔 남성대골프장 / 14:37 

 

                                                 우익문(서문)이 보이고 / 14:38 

                                        산성 일주 후 우익문(서문) 문루 도착 / 14:39 

  

    

                                                         우익문(서문)  위치도

 

 

국청사(國淸寺)

 

 

                                       우익문(서문) 밖 국청사(國淸寺) 답사 / 14:45  

 

    

                                                               국청사 위치도

 

                                                         국청사 대웅전 / 14:46

 

남한산 국쳥사 연혁(南漢山 國淸寺 沿革)

 

본도장은 조선왕조 인조3년(1625) 각성대사(覺性大師)에 의하여 창건되었다. 각성대사는 인조대왕으로 부터 팔도총섭총절제중군주장(八道總攝總節制中軍主將) 임명을 받은후 전국 팔도에서 승군을 모아 남한산에 성을 축성하시고 9개사찰(九個寺刹)을 창건하시었다. 병자호란으로 인한 수모를 또다시 당하는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승군을 훈련하고 군기(軍器)며 화약(火藥).군량미(軍糧米)를 비축하였으니 그중 하나인 국청사(國淸寺)이다. 선사(先師)의 유시로 국난에 대비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든바 일제 침략시 일본군에 의하여 방화소진 되였던겄을 1968년 중건 하였으나 1986년 불자(불명 원만행)께서부지 1.003평(대웅전.요사채)를 기증하였으며, 이 모든 것을 후세에 길이 전하고 국태민안 광도중생(國泰民安 廣道衆生)을 기원하기 위하여 선걸(禪杰)스님이 삼성각 요사채를 신축하고 1998년 대웅전을 중건 중수하였다.

본도장의 삼존불은 신라 헌안왕3년(서기859년) 강원도 철원 보개산 심원사(深源寺)에 조성봉안 하였던 천불(千佛)중 1393년 심원사 화재와 임진왜란 때 소실 도난되었던바 그중 삼존불중 한분만을 국청사(國淸寺)에 모시었다.

 

                                                           국청사 삼존불  <참고사진>

 

                                                                    천불전

 

                                                                    삼성각

 

                                               국청사에서 본 우익문(서문) / 14:48  

 

    

  우익문(서문)에서 출발, 산성 일주 후 서문으로 돌아와  다시 제6암문[서암문(西暗門)]을 거쳐 하산 

 

                                                                     15:05

 

                                                                     15:12

 

                                       일장천약수터 50m, 남한천약수터 290m / 15:18 

 

                                                         남한 약수터 / 15:22 

 

                                                                     15:22 

 

                                                                      15:31 

 

                                                  우익문(서문) 1.8km지점 / 15:35 

 

                               08:26 통과한 산행 안내판(4번코스로 하산하였다) / 15:44 

 

                                             08:05 출발하였던 마천역 회귀 / 16:04 

 

 

 

2010.10.31

 

 

 

'산행일지 > 한국명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악산/인왕산-서울성곽(10.12.12)  (0) 2010.12.15
소요산(10.11.06)  (0) 2010.11.20
수리산(10.10.30)  (0) 2010.11.08
검단산~용마산(10.10.24)  (0) 2010.10.28
예봉산~운길산 (10.09.25)  (0) 2010.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