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일지/한국명산

예봉산~운길산 (10.09.25)

케인스 2010. 9. 30. 18:28

 

 

                                            

                        예봉산~운길산 (10.09.25)

         

 

 

▶ 날씨 :  맑음.  최고기온: 24℃

                                     

등산코스 : 

  

팔당역팔당2리 - 예봉산(683m)- 철문봉-  적갑산(560m) - 오거리 - 운길산(610m) - 수종사 - 진중리 - 운길산역

  

 

예봉산(683m)~운길산(610m) 

  

예봉산(禮峰山)은 높이가 683.2m로 인근 주민들은 사랑산이라고 불러왔고, 옛 문헌에 예빈산(禮賓山), 예봉산(禮蜂山)으로 기록되어 있던 것이 조선총독부 발간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 에 예봉산(禮峯山)으로 나와 있어 일제강점기에 오늘의 이름이 된 것으로 추측된다. 조선시대에는 수림이 울창하여 인근과 서울에 땔감을 대주던 연료공급지였으며, 경기 동부, 강원 중북부 선비들이 한양을 갈 때 임금이 있는 도성(都城)을 향해 신하의 예를 표해 예봉(禮峰)이라 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예봉산에서 철문봉(630m), 적갑산(560m) 등을 지나면 수종사를 품고 있는 운길산(610m)으로 연결된다.

 

운길산(雲吉山)은 높이 610.2m로 북한강과 남한강이 만나는 두물머리[양수리(兩水里)] 북서쪽 지점에 솟아 있다. 고종27년(1890)에 지은 "수종사중수기(水鍾寺重修記)" 에는 운길로 나오고, 그보다 오래된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에는 조곡산(早谷山)이라고 적혀 있다. 산수가 수려하고 산중턱에 수종사(水鐘寺)가 있으며, 수종사에서 바라보는 양수리의 모습은 일찍이 조선 전기의 문신(文臣) 서거정(徐居正)이 동방의 사찰 중 전망이 제일이라고 격찬했으며, 조선왕조의 태조 이성계는 구름이 흘러가다 이 산에서 쉬어 가는 곳이라 해서 운길산(雲吉山)이라 칭했다고 전해진다.

  

 

▶ 산행 거리: (약12km) , 실제 산행 시간: (5시간22분 소요) 

 

팔당역---(14분)--- 예봉산들머리---(44)--- 전망데크---(20)--- 예봉산정상(683m)---(21분)--- 철문봉 ---(8분)--- 활공장---(19분)--- 적갑산정상(560m)---(25분)--- 새재고개---(12분)--- 오거리(새우젓고개)---(44)--- 쉼터---(31분)--- 운길산정상(610m)---(22분)--- 헬기장---(18분)--- 수종사(51분, 답사 및 점심)---(30분)--- 운길산날머리---(14분)--- 운길산역

 

 

▶ 예봉산 들머리 가는 길

  

    

                                                  팔당역(八堂驛) 1번 출구 / 08:04

 

팔당역(八堂驛)은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에 있는 중앙선의 역으로 역이름은 부근에 팔당호(八堂湖)가 있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팔당(八堂)은 八仙女가 내려와 놀던 자리마다 여덟 개의 집[堂]을 지었다 해서 이름이 생겼을 정도로 수려한 풍광을 자랑한다. 

 

  

                                  팔당역 구역사(舊驛舍): 등록문화재 295호 <자료사진>

 

팔당역은 1939년4월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고 팔당역의 옛 역사(驛舍) 는 보존되어 화물역으로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드물게 위의 사진과 같이 승강장에 역사(驛舍)가 설치된 점, 일제 강점기 후반부의 철도 역사 건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 점 등이 인정되어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예봉산 들머리 가는 길 <자료사진>

 

팔당역 1번 출구로 나와 왼쪽의 길을 따라 팔당2리 표지석이 있는 삼거리까지 직진한다. 이곳에서 왼쪽으로 철로 쪽 굴다리 밑을 지나 마을 회관 앞길로 올라간다. 포장된 산길을 따라 조금 오르면 남양주시에서 세운 커다란 예봉산 석비(石碑)가 나타난다. 이 석비를 지나면 곧 예봉산 이정표가 서있고 포장길도 끝나며 왼쪽으로 진입하여 능선으로 올라 정상으로 향하면 된다. 

 

       팔당역 1번 출구로 나와 왼쪽의 길을 따라 팔당2리 표지석이 있는 삼거리까지 직진  /  08:07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2리 표지석을 바라보고 왼쪽으로 진입 / 08:08

                            

                                                         표지석 하단부 <자료사진>

 

                        철로 쪽 길을 따라 굴다리 밑을 지나 마을회관 앞길로 오른다. / 08:09 

 

                                             왼쪽의 산이 예봉산(禮峰山) / 08:12

 

       포장된 산길을 따라 조금 오르면 남양주시에서 세운 커다란 예봉산 석비(石碑)가 나타난다.

 

                                                      예봉산 석비(石碑) / 08:16

 

                                                                      08:17

   예봉산 석비를 지나면 곧 이정표가 나타나고 포장길도 끝나며 왼쪽으로 진입하여 능선으로 오른다.

 

 산행 들머리 이정표(예봉산 2.3km, 팔당역 1.1km) / 08:18

 

 

▶ 산행참고사진

 

 

                                                                      08:19

 

                                                                      08:21

 

                                                         예봉산 1.95km / 08:21 

                      

                       나무들의 약속 <김명수>

 

                       숲 속 나무들의 봄날 약속은 
                       다같이 초록 잎을 피워내는 것

 

                       숲 속 나무들의 여름 약속은
                       다같이 우쭐우쭐 키가 크는 것

 

                       숲 속 나무들의 가을 약속은 
                       다같이 곱게곱게 단풍 드는 것

 

                       숲 속 나무들의 겨울 약속은 
                       다같이 눈보라를 견뎌내는 것

 

                                                                      08:24

  

                               예봉산(정상) 1.43km,  하산길(팔당2리회관) 0.61km / 08:36

 

                                                                      08:39

 

                        처음 만나는 계단 (이곳부터 약3~4분간을 계단으로만 오른다) / 08:51

 

                                                                쉼터 / 08:57 

 

                                           계단을 오르면 전망데크에 이른다 / 08:59

 

전망데크에서 본 팔당대교 / 09:02

 

 팔당역에서 예봉산 들머리 오는 길 / 09:03

 

                                                      조망(眺望) 검단산 / 09:03 

 

                                                      조망(眺望) 북한강 / 09:03

 

                                                                     09:15 

 

                                                          예봉산 정상 / 09:22

 

                                                예봉산 정상석과 두물머리  / 09:22

 

                                                    예봉산(683m) 정상석 / 09:22

 

                                                        조망(眺望) 두물머리

 

         예봉산 정상의 이정표 (철문봉 0.68km, 팔당역 2.28km, 벚나무쉼터 0.2km)와 등산로 안내도

 

                           조망(眺望) 미사리 조정경기장(왼쪽)과 저멀리 북한산(오른쪽)

  

                                                            당겨서 본 북한산

 

                                                       예봉산 정상의 詩 / 09:27

 

돛 달아라 <정약용>

 

바람 탄 빠른 돛배 물을 뒤로 뿜어대니
하늘 빛 잠긴 물에 물결 무늬 일렁이네.
숲속의 누대 빛은 숨바꼭질 하는데
물결 저 쪽에선 놀라는 제비와 참세때들
긴 노는 젓기 싫어 온통 쓰지 않고
새로 지은 피리 곡조 귀 기울여 들을 만해.
인생살이 활달한 뜻 얼마나 될거나
반쯤 취하여 푸른 구름만 바라보네

 

                                             가야 할 능선과 운길산(오른쪽) / 09:27

 

정상에서 북서쪽 안부로 내려서 철문봉(630m)을 지나  적갑산(560m)에 오른 후 저 능선을 넘어넘어 운길산으로 간다. 

 

                                                           숲속의 벤취 / 09:33

 

                                                                    09:35 

 

                                                등산객들의 길잡이 표지기 / 09:38

 

                                                         돌아본 예봉산 / 09:39 

 

                                                     멀리 용마산과 검단산 / 09:39

 

                                                               헬기장 / 09:40

 

                                          철문봉 (적갑산 1.2km, 예봉산 0.6km) / 09:43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 <김영랑>

 

내 마음의 어딘 듯 한편에
끝 없는 강물이 흐르네
돋쳐 오르는 아침날 빛이 빤질한
은결을 도도네
가슴엔 듯 눈엔 듯 또 핏줄엔 듯
마음이 어딘 듯 또 핏줄엔 듯
마음이 도른도른 숨어 있는 곳
내 마음의 어딘 듯 한 편에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

 

                                                   철문봉(喆文峰)의 유래 / 09:43

 

철문봉(630m)은 다산 정약용, 약전, 약종 형제의 숨결이 스민 곳이다. 바로 그 아래 조안면 능내리에는 정약용의 생가 여유당과 그의 묘소가 있다. 등산객들은 적갑산~예봉산 코스를 ‘다산능선’이라 부르기도 한다.

 

 

                                                        활공장(滑空場) / 09:51

 

                                      

활공(滑空) 준비 <자료사진>

 

 활공장(滑空場)에서의 조망, 덕소 아파트단지 뒤로 미사대교 그리고 구리시 뒤로 멀리 북한산 / 09:52

 

                                                         철쭉 군락지 / 09:58 

 

철쭉에 대하여 

 

과명 : 진달래과
학명 :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분류 및 분포지역 : 다년생, 전국의 산야
생태적 특성
O 잎 : 도란형(倒卵形), 호생(互生), 가지 끝에 5개씩 모임
O 꽃 : 연분홍색, 꽃잎과 함께 4~5월 개화
O 열매 : 달걀모양의 타원형, 길이 1.5cm정도, 10월에 결실.
우리나라 산야 전역에 자생하며 봄철의 산야 경관을 대표하는 나무이고 높이는 2~5m까지 자란다. 철쭉은 한자로 "척촉"( 躑:발을멈추다. 躅:머뭇거리다)이라고 하는데 꽃이 너무 아름다워 지나가던 나그네가 자꾸 걸음을 멈추어 이런 이름이 생겼다 하며 산객(山客)이란 이름도 같은 맥락에서 생긴 이름이다. 부모님들 말씀에 의하면 진달래를 참꽃이라 하여 어린시절 꽃잎을 따먹기도 하였는데 철쭉은 연달래라 하여 먹으면 죽는다고 단단히 교육을 받았다고 한다. 철쭉꽃 잎에는 독이 있어 먹을 수 없다.

 <안내판에서..>

 

                                                                상처 / 09:59

 

                                                         적갑산(560m) / 10:10 

 

예봉산과 마주보며 1.5km의 능선길로 이어져 있다. 산세가 아기자기해 인근 예봉산과 운길산(610m)을 연계한 등반코스에 포함되어지는 산이다. 절터가 있어서 예로부터 적골(절골의 변음)이라 했던 곳이며 절골산, 적골산 이었는데 일제강점기 때 적갑산으로 기록한 것이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다.  

 

                            

                                           예봉산정상 1.9km, 새재고개 1.9km / 10:10

 

                                                                     10:14 

 

                                                    조망(眺望), 운길산 / 10:16

 

                                   예봉산(적갑산) 2.12km, 하산길(도곡리) 4.12km / 10:18

 

                                     조망(眺望), 덕소 아파트단지와 미사대교 / 10:20 

   

                                                                     10:28 

 

                                                              송전탑 / 10:29 

 

                                                           새재고개 / 10:35 

                                    예봉산 3.7km, 운길산 3.5km, 하산길(도곡리) 3.2km

 

이 곳 이정표에는 '세제고개'라고 표기되어 있지만 '새재고개'를 잘못 표기한 것으로 생각된다. '새재'는 순수한 우리말로서, '새'는 날아다니는 새, 띠나 억새 따위의 새, 새로운 뜻의 새 그리고 사이의 준말 새를 나타내기도 한다. 한편 '재'는 '길이 있어 넘어 다닐 수 있는 높은 산의 고개'를 말한다.

 

산에서 본 꽃  <오광수>

 

산에 오르다
꽃 한 송이를 보았네
나를 보고 피어있는 이름 모를 꽃

산에서 내려오다
다시 그 꽃을 보았네
하늘을 보고 피어있는 누님 닮은 꽃

 

                                                 오거리(일명 새우젓고개) / 10:47 

 

새우젓고개의 유래는 옛날에 인천의 새우젓을 이 고개를 지고 넘어가 양수리에서 배를 이용해 경기 동부나 강원도, 충청도로 보내졌다는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오거리(일명 새우젓고개) / 10:47

운길산(수종사) 2.65km, 예봉산(적갑산) 1.64km, 세정사 1.9km, 운길산역 5.2km, 하산길(약수터) 0.37km

  

                                                                      10:59 

  

                                                                      11:17

 

                                                     조망(眺望), 운길산 / 11:23

 

                                      쉼터 (운길산정상 0.92km, 새재고개 2.90km) / 11:31

 

                                                                      11:50

 

                           데크계단[예봉산정상 5.89km, 하산길(운길산역) 3.11km] / 11:53

 

나무와 돌  <오규원>

 

나무가 몸 안으로 집어넣는 그림자가
아지도 한 자는 더 남은 겨울 대낮
나무의 가지는 가지만으로 환하고
잎 대신 붙어 있던 곤줄박이가 다시
곤줄박이로 떠난 다음
한쪽 구석에서 몸이 마른 돌 하나를 굴려
뜰은 뜰의 중심을 잡는다.

 

                      

                                                                      11:54

 

                                                                      11:56

 

                                                                      11:58

 

                                                                      12:00 

 

                                                거의 2분간 계단을 올랐다 / 12:02 

 

                                                            운길산 정상 / 12:02 

 

                                                     운길산 정상 이정표 / 12:02

 

결혼 60주년  <정약용>

 

60년 풍상의 세월 눈 깜짝할 사이 흘러가

복사꽃 활짝 핀 봄 결혼하던 그 해 같네

살아 이별이나 죽어 이별이나 늙을수록 재촉하나

슬픔 짧고 즐거움은 길었으니

임금님 은혜 감사해라

오늘 밤  목란사는 소리 더욱 좋을씨고

그 옛날 붉은 치마에

유묵 아직 남아있네

쪼개졌다 다시 합한 것 그게 바로 우리 운명

한 쌍의 표주박 남겨 자손들에게 맡겨 주노라  

 

 

                                                          조망(眺望) 예봉산

 

                                                                    삼각점

 

                                                             정상의 휴식데크

 

                            

                                                         운길산 정상석

 

                                                                      12:09 

 

                                                              헬기장 / 12:22 

 

                  헬기장 [운길산정상 0.31km, 수종사 0.53km, 하산길(운길산역) 2.84km] / 12:24

 

                갈림길 [운길산 정상 0.35km, 수종사 0.45km, 하산길(운길산역) 2.80km] / 12:28 

 

한적한 숲길을 걷노라면  <김유진>

 

어딘가에서
나무타는 향내와 짙어가는 녹음에
푸근한 공기 속으로 스며들고 싶어진다.

기분 좋게 불어오는 미풍은 옷깃을 날리게 하고
머리카락 사이사이로 어루만지는 산들거림은
감감소식인 친구가 부르는 손짓 같았다.

 

                                                                      12:30

 

                                                                     12:35

 

                            수종사 [운길산정상 0.80km,  하산길(운길산역) 2.80km] / 12:42 

 

용기(勇氣)  <넬슨 만델라>

 

나는 용기는 두려움의 결핍이 아니라
두려움에 대한 승리임을 배웠다.

용기있는 사람은 두려움을
느끼지 않는 사람이 아니라
그 두려움을 정복하고 압도하며
뛰어 넘는 사람이다.

 

●  수종사(水鐘寺) 답사

 

                                불이문(不二門)에서 수종사 경내(境內)로 가는 길 / 12:45

 

                                                 수종사(水鍾寺)

 

수종사(水鍾寺)는 남양주시 조안면 송촌리 운길산의 정상 부근에 위치한 봉선사의 말사이다. 창건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조선 후기 전국의 절에 대한 사정을 조사해 놓은 책 『범우고(梵宇攷)』에 의하면 세조가 이 절에 친히 행차하여 땅을 파서 샘을 찾고, 혹은 종을 발견했다고 해서 수종사라 하였다고 전하며 1939년 석조 부도를 중수하면서 1439년(세종 21)에 조성된 부도로 확인되어 조선 초기에 창건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편 수종사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해온다. 세조가 금강산을 유람하고 돌아오는 길에 용선(龍船)을 타고 양수만(兩水灣 : 현재 양수리)에서 하룻밤 머물고 있을 때였는데 밤에 홀연히 어디에선가 은은한 종소리가 들려왔다. 다음날 사람을 시켜 그 출처를 찾게 했더니 그곳에는 바위굴이 있었고 내부에 18나한상이 있었다. 종소리는 굴속으로 물방울이 떨어지면서 울려나온 소리로 청아하고도 명징하게 들렸는데, 세조는 그것을 기이하게 여겨 이곳에 축대를 쌓고 장인(匠人)들을 불러 절을 창건하였다. 그리고 전답을 하사하고 승려를 거처하게 하였으며 절이름을 수종사라 하였다 한다.

  

                                                      응진전(應眞殿) / 12:50

 

                                                              약사전(藥師殿)

 

                                                               산신각(山神閣)

 

                                                            삼정헌(三鼎軒)

 

시다선(詩, 茶, 禪) 일체를 이룬다 하여 세 다리를 가진 솥이라는 의미의 이름을 가진 삼정헌(三鼎軒)

 

 

1999년 3월 세워진 삼정헌은 2000년 3월부터 차와 다구 등을 갖춰놓고 수종사를 찾는 모든 이들에게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샘 <자료사진> 

 

물맛이 좋아 초의선사, 추사 김정희, 다산 정약용 선생이 즐겨 찾아 이 물로 차를 드셨다고 전한다.

 

                                                   종무소겸 승방,  선불장(選佛場)

 

                                           수종사 선불장 앞에서 바라본 두물머리

 

수종사에서 바라본 두물머리 풍광은 아름답고 한강으로 합류하기 직전 북한강의 물길은 장관이다. 사진 오른쪽 교각부터 양수대교, 양수교 그리고 북한강철교가 북한강을 가로지르고 있다. 

 

 

                                                          부도와 팔각오층석탑

 

                                                   수종사 부도(水鐘寺浮屠)

 

○지정번호: 유형문화재 제157호
○소재지: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 중말길 309 (조안 송촌리1060)

 

왕명에 의하여 세워진 수종사에 남아있는 팔각 원당형 부도이다.  팔각 원당형 부도는 기단, 탑신, 지붕이 모두 8각형이고 단층인 부도로 지붕과 기왓골 등 세부는 목조건물의 양식을 모방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지붕돌 낙수면에 ‘태종태후 정의옹주사리조탑 시주○○유씨금성대군정통기미년십월일입(太宗太后貞懿翁主舍利塔施主○○柳氏錦城大君正統四年己未十月日入)’이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어 세종21년(1439) 왕실의 명으로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안내판에서..>

 

                                                                   <자료사진>

1939년 사찰 중수 때 석조 부도를 수리했는데, 이 때 청자항아리와 그 안에서 금동 구층소탑, 은제도금육각감 등이 발견되었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보물 제259호로 지정되어 있다.

 

                                                                  삼층석탑

 

                                              수종사 오층석탑(水鐘寺五層石塔)

 

○지정번호: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2호
○소재지: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송촌리1060

 

수종사는 조선 세조6년(1460)에건립되었다고 하는데, 이 탑은 현재 대웅전 옆에 있지만 원래는 경내에서 동쪽으로 벗어난 곳에 있었다. 기단으로부터 탑신에 이르기까지 팔각형의 평면 구조를 이루고 있는데, 지대석과 가단의 각 면에는 직사각형 틀 안에 안상이 새겨져 있다. 3차례에 걸쳐 이전과 해체 복원 되었는데 그때마다 많은 사리구가 출토되었다. 1939년에는 사리장치인 고려 청자 안에서 금동구층탑, 은제도금육각감이 각1점씩 나와 보물 제259호로 지정되었다. 1957년과 1970년 탑을 다시 옮겨 세우는 과정에서 모두 18구의 불상이 발견되었다. 고려시대에 많이 만들어졌던 팔각다층석탑의 양식을 계승한 조선 전기의 석탑으로 안정된 균형미를 갖추고 있으며, 당시 한강을 통한 문화 전파 경로를 추정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탑내에서 출토된 불상 등 관련자료를 볼 때 이 석탑은 조선 성종23년(1493)을 건립 하한으로 볼수 있으며, 그 후 조선 인조6년(1628)에 중수했음을 알 수 있다.   <안내판에서..>

 

                                                         금동불감(金銅佛龕) <자료사진>

 

수종사 오층석탑의 1층 탑신에서 발견된 불감은 성종의 후궁인 영빈 김씨가 발원한 작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옥개석 내부에 홍치6년으로 기록된 묵서에 의해 1459년과 1493년 사이에 제작되었던 작품으로 추정된다. 

 

                                          수종사 오층석탑에서 발견된 금동불상군 <자료사진>

 

                                                          대웅보전(大雄寶殿)

 

                       대웅보전 내부의 비로자나불을 주불로 좌우에 석가모니불과 노사나불

 

 

                                       대웅보전(大雄寶殿) 좌,우로 지켜선 해치(獬豸)

 

 

 

종각(鐘閣)

 

                                                                 범종(凡鐘)  <자료사진>

 

                                                  스님들의 공부방 경학원(經學院)

 

                                                  해탈문(解脫門)

 

                                                    은행나무

 

보호수

 

지정번호: 경기남양주 17
수종: 은행나무 2본
지정일자: 1982.10.15
소재지: 남양주시 조안면 송촌리 산 26-22
수령: 500년
높이: 35m, 25m
둘레: 2m, 1.2m
관리자: 남양주시 조안면 송촌리 1060 수종사.

 

 

                        보호수 은행나무 1

 

                                                  

                                                                                     보호수 은행나무 2

 

 

수종사 사적기

 

                                또 하나의 하산길 송촌리 방향을 가리키는 이정표, 1.80km

 

                                                       불이문(不二門) / 13:33 

 

                                                2000년에 봉안된 대불(大佛) / 13:36 

 

 

                                                                기원 / 13:37 

 

                                                         부도(浮屠) 2기 / 13:38 

 

                                                            일주문(一柱門) / 13:40

 

                                                하산 길에서 본 북한강 철교 / 13:47 

 

                                                   운길산(雲吉山) 날머리 / 14:03

 

                                                                    14:06 

 

                                                                수해 / 14:06

 

                                                           진중리 마을 / 14:08

 

                                                            마을 쉼터 / 14:11

 

                                                    운길산역(雲吉山驛) / 14:17

  

                                        운길산 날머리에서 운길산역 가는 길 <자료사진>

 

 

 

  예봉산~운길산 (10.09.25)

 

 


'산행일지 > 한국명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리산(10.10.30)  (0) 2010.11.08
검단산~용마산(10.10.24)  (0) 2010.10.28
사패산 (10.07.31)  (0) 2010.08.04
불암산~수락산 (10.05.29)  (0) 2010.06.06
용문산 (10.05.21)  (0) 2010.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