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와 여행(해외)/중국(북경-자금성)

中國(北京) - 중정전(中正殿)/건복궁(建福宮)지역

케인스 2012. 11. 5. 00:11

 

                     중정전(中正殿)

 

   중국 북경(北京)/자금성, 내정(內廷)의 건복궁(建福宮)

 

 

건복궁(建福宮) 지역 <미개방지역>

 

 

                    

                                                  건복궁(建福宮) 지역 <참고사진>

 

         

                                      건복궁(建福宮) 지역 <google참고사진>

 

1.연경전(延慶殿) 2.무신전(撫辰殿) 3.건복궁(建福宮) 4.혜풍정(惠風亭) 5.우화각(雨花閣) 6.보화전(寶華殿) 7.춘희전(春禧殿) 8.영화전(英華殿) 9.수안궁(壽安宮) 10.훤수당(萱壽堂) 11.범종루梵宗楼)

12.동배전(東配殿) 13.서배전(西配殿) 14.연춘각(延春閣) 15.영화전(英華殿) 비정(碑亭) 16.복의재(福宜齋) 17.건복궁화원(建福宮花園) 18.영화문(英華門) 19.영화전(英華殿) 산문(山門) 20.수안문(壽安門) 21.춘화문(春華門) 22.건복문(建福門) 23.광덕문(廣德門) 24.연경문(延慶門) 25. 중정전(中正殿) 26. 담원루(淡遠楼) 27. 향운정(香雲亭)

 

 

중정전(中正殿)

 

 

중정전(中正殿) 구역 <참고사진>

 

중정전(中正殿) 구역은 자금성(紫禁城) 내 서북쪽의 건복궁화원(建福宮花園) 남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중정전(中正殿), 중정전후전(中正殿後殿)인 담원루(淡遠楼), 동서배전(東西配殿), 향운정(香雲亭), 보화전(寶華殿), 소복문(昭福門) 등이 이 지역의 중요 건축물 입니다.

 

                                        중정전(中正殿) 구역 <참고사진>

 

청대(淸代) 중정전(中正殿) 일대는 명대(明代) 현극보전(玄極寶殿)이라 불리운 도교(道敎)의 신전이 있었는데 그 이름이 융덕전(隆德殿)으로 그리고 중정전(中正殿)으로 다시 바뀌었습니다. 융덕전(隆德殿)은 명대(明代) 가정(嘉靖)황제가 봉안한 도교신상(道敎神像)이 있었으며 청대(淸代) 개건(改建) 후 불교밀종상(佛敎密宗像)으로 바뀌었습니다.

 

                                                  중정전(中正殿) 구역 <참고사진>

 

                

                                             중정전(中正殿) 구역 평면도 <참고사진>

 

                           

                                          중정전(中正殿) 구역 <참고사진>

 

중정전(中正殿)은 사실상 불당(佛堂) 구역의 통칭으로 청대(淸代)의 문헌에 의하면 중정전(中正殿), 중정전후전(中正殿後殿), 동서배전(東西配殿), 향운정(香雲亭), 보화전(寶華殿), 우화각(雨花閣), 우화각동서배루(雨花閣東西配樓), 범종루梵宗楼) 등 10여 곳의 불당건축군(佛堂建築群)을 통칭하여 중정전(中正殿)이라 하였는데 이는 그 중심이 중정전(中正殿)이었기 때문입니다.

 

                               

                        건복궁(建福宮) 대화재 직후의 중정전(中正殿) 지역 <참고사진>

 

중정전(中正殿)은 청나라 마지막 황제 부의(溥儀:선통제)가 내정(內廷)에서 지낼 때인1923년 6월26일 건복궁(建福宮) 대화재 당시 불에 타고 그 흔적만 남아있었는데 2010년 현재 복구작업 중입니다.

 

복구 전 중정전(中正殿) 유지(遺地) 너머 보화전(寶華殿) 그리고 그 뒤 우화각(雨花閣) <참고사진>

 

                         

                                              중정전(中正殿) 유지(遺地) <참고사진>

 

 

                                                 중정전(中正殿) 구역 참고도 <참고사진>

 

 

복문(昭福門)

 

 

소복문(昭福門)과 그 북쪽의 보화전(寶華殿) <참고사진>

 

                                소복문(昭福門)을 들어서면 중정전(中正殿) 지역입니다.

 

 

소복문(昭福門) <참고사진>

 

                     소복문(昭福門)과 보화전(寶華殿) 사이의 청동향로(青銅香爐) <참고사진>

 

 

보화전(寶華殿)

 

 

                   

                                         보화전(寶華殿) <참고사진>


보화전(寶華殿)은 우화각(雨花閣) 북쪽 소복문(昭福門) 안에 위치하며 석가모니불(释迦牟尼佛)을 모신 불당 중의 한 곳입니다.

 

                            

                                      북쪽에서 보는 보화전(寶華殿)의 뒷면 <참고사진>

 

보화전(寶華殿) <참고사진>

 

보화전(寶華殿)은 매년 거행하는 대불사(大佛事) 활동 장소로 전 밖 양쪽에는 깃발 등을 장식하였습니다. 이곳에 도모상(度母像)이 있어 불사활동이 이루어지기를 염원하였습니다.

 

                보화전(寶華殿) <참고사진>

 

보화전(寶華殿)은 한백옥석(漢白玉石) 수미좌(須彌座) 기단위에 위치하며 앞쪽에는 넓은 뜰이 있고, 「大清乾隆乙巳年造」라 새겨진 다리 셋 달린 청동대향로(青銅大香爐) 1좌(座)가 있습니다. 또한 동(東), 서(西) 각각 한백옥석(漢白玉石) 받침 위에 세워진 번간(幡杆) 1개씩이 있습니다.

 

번간(幡杆)

 

번간(幡杆)이란 우리나라의 당간(幢竿)과 같이 기도나 법회 등 의식이 있을 때, 깃발을 달아 세우는 기둥을 일컫습니다. 

                                     

                                                청동대향로(青銅大香爐) <참고사진>

 

                                  

                                              <google참고사진>

 

보화전(寶華殿)은 남향으로 정면3칸, 측면1칸의 황유리기와 지붕의 건물로 뒷쪽[북쪽]에 포하(抱厦) 1칸이 명칸에 접해있어 “凸” 자형(字型) 건축물이며 북쪽의 중정전(中正殿)과 서로 대치하고있는 형태입니다.

 

보화전(寶華殿) 주위 평면도 <참고사진>

 

                     

함풍제(咸豊帝)의 어필 "경불(敬佛)" <참고사진>

 

보화전(寶華殿) 내의 중앙에는 함풍제(咸豊帝)의 어필인 "경불(敬佛)"이란 편액이 걸려있습니다. 청대(淸代) 보화전(寶華殿) 명칸(明間)에는 도금된 동제(銅製) 대감(大龕) 1좌(座)가 있었으며, 금으로 제조한 석가모니불 1존(尊)이 봉안되어 있었습니다. 감(龕) 앞의 놓여진 상(床) 위에는 관음보살(觀音菩薩)과 아미타불(阿彌陀佛) 동상(銅像)이 올려져 있었습니다.

 

보화전(寶華殿) 내부 <참고사진>

 

동(東), 서(西) 차칸(次間)에는 벽을 따라 비치된 상 위에 불상(佛像)과 법기(法器) 등이 비치되어 있었습니다.

 

보화전(寶華殿) 내부 <참고사진>

 

보화전(寶華殿)에서의 일상적인 주요 불사(佛事)활동은 라마불교경전을 암송하고 공양을 올리는 것 등이었습니다. 청대(淸代) 황제들은 매년 수차례 이곳에 와 향(香)을 올리는 예(禮)를 올렸습니다.

 

 

향운정(香雲亭)

 

 

                                          향운정(香雲亭) <참고사진>

 

향운정(香雲亭)은 청궁(淸宮) 내에 있는 중요한 불당의 하나로 독특한 형태의 건축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사방을 볼 수 있게 되어있으며 모든 면에 포하(抱厦)가 있고 평면 구성은 불교의 만다라와 일치합니다. 이곳에는 8개의 크고작은 금탑(金塔)과 진귀한 불상(佛像)을 봉안하였습니다. 그래서 금탑전(金塔殿)이란 별칭이 있습니다.

 

향운정(香雲亭) <참고사진>

 

향운정(香雲亭)은 중정전(中正殿)과 보화전(寶華殿)의 월대(月臺) 중간에 자리잡고 있어 북쪽으로는 중정전(中正殿)과 대응하고있고 남쪽으로는 보화전(寶華殿)과 서로 마주보고 있습니다.

 

 

향운정의 조정(藻井) <참고사진>

 

향운정(香雲亭) 역시 1924년 건복궁 화재 당시 중정전(中正殿)과 함께 불탄 것을 2010년 새로 지었으며, 어화원(御花園)의 만춘정(萬春亭)과 천추정(千秋亭)의 만다라 형상을 대체로 모방하여 세웠습니다.

 

                                

                                             향운정(香雲亭) 주위 평면도 <참고사진>

 

향운정(香雲亭)의 문장식 <참고사진>

 

 

중정전(中正殿)

 

 

                                             중정전(中正殿) <참고사진>

 

중정전(中正殿)은 청궁(淸宮)의 불당(佛堂)으로 주불(主佛)로 무량수불(無量壽佛)을 모시고 있었습니다.

 

중정전(中正殿) 구지(旧址) <참고사진>

 

         

                                        중건(重建) 중인 중정전(中正殿) <참고사진>

 

                                                     중정전(中正殿) <참고사진>

 

중정전(中正殿)은 명나라 때는 도교(道敎)예식의 중요한 장소였으며, 청대(淸代)에 이곳은 청궁(淸宮) 최초의 불당(佛堂)이었으며 티벳과 몽고로부터 불상(佛像)과 불화(佛畵)가 전래되어 안치되었습니다.

 

중정전(中正殿) 포하(抱厦) 측면 <참고사진>

 

                     

                                    중정전(中正殿) 주위 평면도 <참고사진>

 

 

중정전(中正殿) 불당(佛堂) <참고사진>

 

강희36년(1697)에는 "중정전염경처(中正殿念經處)"를 설치하여 궁중의 티벳불교[라마교] 불당(佛堂)의 일체의 불사(佛事)활동을 관장하게 하였습니다. 또한 불상(佛像)과 불화(佛畵)를 직접 제조하고 그리는 예술활동이 이 곳에서 전개되었습니다.

 

청건륭(清乾隆)년간 법랑불감(珐琅佛龕) 한 쌍 <참고사진>

 

중정전(中正殿)에서는 매년 년말에 황제와 라마 고승들이 참석하여 궁중의 일년 불사활동을 보다 드높이고 좋은 결실이 맺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라마교의 독특한 의식을 행하였습니다.

 

길상천모상(吉祥天母像:티벳불교의 여성보호신) <참고사진>

 

 

동서배전(東西配殿)

 

 

                                          중정전(中正殿) 서배전(西配殿)  <참고사진>

 

                  중정전(中正殿) 동서배전(東西配殿)은 정면 5칸  황유리기와, 맞배지붕 건물입니다. 

 

 

담원루(淡遠楼)

 

 

                               중정전(中正殿)의 후전(後殿), 담원루(淡遠楼) <참고사진>

 

담원루(淡遠楼)는 정면 11칸, 2층 누각형태의 건물로 녹색유리기와에 가장자리는 황색유리기와로 마감처리한 맞배지붕 건물입니다.

 

                                               복구 중인 담원루(淡遠楼) <참고사진>

 

                      

                                   담원루(淡遠楼) 측면. 담 너머는 건복궁화원 <참고사진>

 

 

담원루(淡遠楼) 배전(配殿)

 

 

담원루(淡遠楼)의 동배전(東配殿) <참고사진>

 

담원루(淡遠楼)의 동서배전(東西配殿)은 정면 3칸, 측면 1칸 건물로 녹색유리기와에 가장자리는 황색유리기와로 마감처리한 맞배지붕 건물입니다.

 

 

 

 

                                                       중정전(中正殿)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