녕수궁화원(寧壽宮花園)Ⅳ
중국 북경(北京)/자금성, 내정(內廷)의 양성전(養性殿) 지역
☞ 녕수궁화원(寧壽宮花園) 구역: 서로(西路)
녕수궁화원(寧壽宮花園) 구역 <참고사진>
▶ 녕수궁화원(寧壽宮花園)
녕수궁화원(寧壽宮花園) 위성사진 및 평면도 <참고사진>
◘ 제4원락(院落)
제4원락(院落) <참고사진>
췌상루(萃賞楼) 북쪽에는 녕수궁화원(寧壽宮花園)의 마지막 정원구역인 제4원락(院落)이 있습니다. 이곳의 주(主)가 되는 건물은 부망각(符望閣)으로 남쪽에는 가산(假山)이 있고 정상에는 매화(梅花)문양으로 장식된 벽라정(碧螺亭)이 있으며, 이곳에서 췌상루(萃賞楼)로 작은 무지개다리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가산 서남쪽에는 "ㄱ"자형의 운광루(雲光樓)가 있고, 부망각 서쪽으로는 옥수헌(玉粹軒), 북쪽에는 권근재(倦勤齋)가 있습니다. 옥수헌 북쪽에는 작은 누각(樓閣)인 죽향관(竹香館)이 서쪽담장에 기대어 활모양의 작은 담장으로 주위를 에워싸고 위치하고 있으며, 죽향관 2층은 행랑을 통해 권근재의 남쪽에 다다를 수 있습니다.
● 부망각(符望閣)
부망각(符望閣) 위치도 <참고사진>
부망각(符望閣) <참고사진>
부망각(符望閣)은 제4원락(院落)의 주(主) 건물로 청(淸) 건륭37년(1772)에건설되었으며, 가경7년(1772)과 광서17년(1891)에 수리하였습니다.
<참고사진>
부망각(符望閣)은 정방형의 건물로 겉으로는 2층이며, 실제 내부는 3층으로 되어 있습니다. 남색과 황색유리기와의 사모지붕 형태의 건물입니다.
<참고사진>
건륭(乾隆)년간 매년 음력12월 21일 황제는 이곳에서 왕공대신(王公大臣)들에게 상을 내리고 식사를 대접하였습니다. 또한 가경(嘉慶)황제는 일찌기 이곳에 이르러 부망각(符望閣)을 노래하는 시(詩)를 읊기도 하였습니다.
부망각(符望閣) 툇칸
부망각(符望閣) 위에서 남쪽 방향 조망(眺望) <참고사진>
부망각(符望閣)은 건복궁화원(建福宮花園)의 연춘각(延春閣)을 모방하여 지었는데, 녕수궁화원에서 제일 높고 큰 건물이어서 이곳에 오르면 자금성(紫禁城)의 안팎의 아름다운 경치를 잘 감상할 수 있습니다.
건복궁화원(建福宮花園)의 연춘각(延春閣) <참고사진>
부망각(符望閣) 동쪽의 봉석(峰石) <참고사진>
부망각(符望閣) 동쪽의 채색담장 및 화병 형태의 문동(門洞) <참고사진>
부망각3층 부망각 2층[암층]
부망각1층상반부 부망각1층하반부
부망각(符望閣) 내부 조감도(鳥瞰圖) <참고사진>
부망각(符望閣) 1층 내부 <참고사진>
<참고사진>
내부에서 때때로 방향을 잃어버리기도 하기에 부망각을 "미루(迷樓)"라고 칭하기도 합니다.
부망각(符望閣) 3층 내부 <참고사진>
부망각(符望閣) 실내는 서로 다른 양식의 장식으로 교묘하게 공간을 분리하였으며, 그 장식은 정교하고 아름다우며 금(金), 옥(玉), 법랑(琺琅)으로 장식되어 있습니다.
부망각(符望閣) 실내장식 <참고사진>
부망각(符望閣) 실내장식 <참고사진>
● 벽라정(碧螺亭)
벽라정(碧螺亭) 위치도 <참고사진>
벽라정(碧螺亭) <참고사진>
벽라정(碧螺亭)은 부망각(符望閣) 전면의 가산(假山) 위에 세운 정자(亭子)로 그 평면 형태가 매화(梅花)를 닮아 벽라매화정(碧螺梅花亭)이라 부르기도 하며, 또한 내부 및 단청도 매화문양으로 장식하였습니다.
처마 밑의 건륭어필 현판 "벽라(碧螺)" <참고사진>
청(淸) 건륭37년(1772)에 건설되었으며, 2층의 지붕 형태와 5개의 기둥을 가진 건물로 2층 지붕은 비취 녹색유리기와, 아래 지붕은 남색유리기와로 이어져 있고, 양층의 지붕 가장자리는 자주빛 맑은 유리기와를 사용하였습니다.
벽라정(碧螺亭)의 난간(欄干) 벽 <참고사진>
벽라정(碧螺亭)의 난간은 흰돌을 사용하여 매화문을 조각해 놓았습니다.
<참고사진>
벽라정(碧螺亭)의 남쪽으로는 석교(石橋)가 있어 췌상루(萃賞楼) 2층과 통할 수 있게 되어있습니다.
<참고사진>
벽라정(碧螺亭)의 동서쪽 돌계단을 이용하여 산 밑으로 내려갈 수 있습니다.
<참고사진>
지붕은 매화나무의 모양을 본떠 매층 5개의 추녀마루를 조성하였으며 그 위에는 각각 5개의 잡상(雜像)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벽라정(碧螺亭)의 보정(寶停)과 잡상(雜像) <참고사진>
벽라정(碧螺亭) 지붕의 꼭대기의 보정(寶停)은 남색 바탕에 흰색의 빙매(氷梅: 얼어있는 매화나무)를 장식하였으며, 허리 부분에 흰색 매화 문양 조각 6개를 빙둘러 붙여 놓았습니다.
매화문양이 그려진 채화 단청 <참고사진>
벽라정(碧螺亭) 내부 천장의 매화(梅花) 도안 천화(天花) <참고사진>
● 운광루(雲光樓)
운광루(雲光樓) 위치도 <참고사진>
운광루(雲光樓) <참고사진>
운광루(雲光樓)는 제4원락(院落)의 서남쪽에 위치하며, 청(淸) 건륭37년(1772)에 건설되었고 서쪽으로는 궁담과 접해있습니다.
건복궁화원(建福宮花園)의 옥호빙(玉壺氷) <참고사진>
운광루(雲光樓) 건물의 형식과 제도는 '건복궁화원(建福宮花園)'의 '옥호빙(玉壺冰)'을 모방하였습니다.
'ㄱ'자형 건물 운광루(雲光樓) <참고사진>
운광루(雲光樓)는 'ㄱ'자형 건물로 남향과 동향이며, 상하 2층이고 앞쪽에 툇칸을 두었고, 윗층의 북쪽에는 석교(石橋)가 있어 벽라정(碧螺亭)으로 통하는 가산(假山)과 서로 연결 되어 있습니다. 남향 건물의 상하 양층은 췌상루(萃賞楼)에 접해있는 유랑(遊廊)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운광루(雲光樓)의 석교(石橋) <참고사진>
운광루(雲光樓) 내에는 "양화정사(养和精舍)"라는 편액이 걸려있고, 동쪽에 불당(佛堂)이 있으며, 서쪽에는 "운광(雲光)"이란 편액이 걸려있습니다.
운광루(雲光樓)의 북쪽 <참고사진>
운광루(雲光樓)에서 건륭제와 가경제가 "양화정사(养和精舍)" 시(詩)를 지었다고 합니다.
● 옥수헌(玉粹軒)
옥수헌(玉粹軒) 위치도 <참고사진>
옥수헌(玉粹軒) <참고사진>
옥수헌(玉粹軒)은 청(淸) 건륭37년(1772)에 건설되었으며 서쪽 궁담에 기대어 지었으며 동쪽으로 부망각(符望閣)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3칸의 녹색/황색유리기와 지붕으로 앞쪽에 툇칸을 두었습니다.
건복궁화원(建福宮花園)의 응휘당(凝暉堂) <참고사진>
옥수헌(玉粹軒)은 '건복궁화원(建福宮花園)'의 '응휘당(凝暉堂)'을 모방하여 세웠습니다.
옥수헌(玉粹軒) 중앙칸 서쪽벽화 <참고사진>
옥수헌(玉粹軒) 내부는 3실(室)이 있고 남쪽은 '득한실(得閑室)', 북쪽에는 불당(佛堂), 그리고 실내에서 북쪽의 죽향관(竹香館)으로 가는 통로가 있습니다.
<참고사진>
옥수헌의 남쪽은 석산(石山)과 접해있고, 전면에는 기단을 쌓아 부망각 서쪽과 연결하였습니다.
● 죽향관(竹香館)
죽향관(竹香館) 위치도 <참고사진>
죽향관(竹香館) <참고사진>
죽향관(竹香館)은 청(淸) 건륭37년(1772)에 세웠으며 부망각(符望閣)의 서북쪽, 옥수헌(玉粹軒)의 북쪽에 서쪽 궁담에 기대어 위치하고 있습니다.
건복궁화원(建福宮花園)의 벽림관(碧琳館) <참고사진>
죽향관(竹香館)은 '건복궁화원(建福宮花園)'의 '벽림관(碧琳館)'을 모방하여 세웠습니다.
<참고사진>
상,하 양층의 황색/녹색의 유리기와 지붕으로 주루(主樓)는 3칸, 양쪽의 의 1칸은 양끝에 유랑(遊廊)이 있어 북쪽으로는 권근재(倦勤齋), 남쪽으로는 옥수헌(玉粹軒)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참고사진>
앞쪽에는 궁(弓)형의 담장이 있고, 담장 중앙에 8각 구멍을 뚫어 만든 통로 문(門)이 있습니다.
팔각 통로 위 석판에 새겨진 글 <참고사진>
옥수헌(玉粹軒)과 이어지는 유랑(遊廊) <참고사진>
죽향관(竹香館) 남쪽 한켠에는 가산(假山)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권근재(倦勤齋)와 이어지는 유랑(遊廊) <참고사진>
● 권근재(倦勤齋)
권근재(倦勤齋) 위치도 <참고사진>
권근재(倦勤齋) <참고사진>
권근재(倦勤齋)는 녕수궁화원(寧壽宮花園)의 북쪽 끝 부망각(符望閣) 뒤에 남향(南向)의 건물로 북쪽으로는 붉은 담장에 기대어 있는데, 건륭제의 퇴임 후 휴식처로 화려하게 지었습니다.
<참고사진>
청(淸) 건륭37년(1772)에 건설되었으며, '건복궁화원(建福宮花園)'의 '경성재(敬胜斋)'를 모방하여 세웠습니다.
건복궁화원(建福宮花園)의 경성재(敬胜齋) <참고사진>
<참고사진>
권근재(倦勤齋)는 정면 9칸 건물로 녹색유리기와에 가장자리는 황색기와 지붕으로 앞쪽에 툇칸이 있고 처마 밑에 채색화로 단장하였습니다.
채색 단청 <참고사진>
<참고사진>
처마 밑 정 중앙에 건륭 어필인 "권근재(倦勤齋)" 현판이 걸려 있습니다.
권근재(倦勤齋) 현판 <참고사진>
왼쪽은 부망각(符望閣), 오른쪽이 권근재(倦勤齋) <참고사진>
동쪽의 5칸은 부망각(符望閣)과 마주보고 있으며, 5칸 동쪽과 서쪽에는 유랑(遊廊)과 접해 있습니다.
서쪽 유랑(遊廊) <참고사진>
권근재(倦勤齋) 동쪽 끝 유랑(遊廊) 사이 회원당(懷遠堂)과 진비정(珍妃井)으로 가는 문 <참고사진>
권근재(倦勤齋) 내부 위치도 <참고사진>
희대(戱臺) <참고사진>
서쪽 4칸의 실내 서쪽 끝에는 사모지붕 정자(亭子) 형의 작은 희대(戱臺)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는 자금성에 현존하는 4개의 희대(戱臺) 중 하나입니다.
<참고사진>
희대(戱臺)의 바로 앞에는 평대(平臺)가 마련되어 있고, 희대의 정면에는 2층의 객석(客席)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희대(戱臺) 남북 양쪽의 월호문(月壺門) <참고사진>
<참고사진>
서쪽 4칸 중에서 가장 중요한 장식은 170㎡의 벽과 천장에 그린 그림 일명 통경화(通景畵) 입니다.
벽에 그린 통경화(通景畵) <참고사진>
희대(戱臺)에서의 공연 장면 <참고사진>
희대(戱臺)에서 바라본 객석과 1층의 보좌(寶座) <참고사진>
보좌(寶座) <참고사진>
동쪽 5칸의 내부 전경 <참고사진>
동쪽 5칸의 내부와 보좌(寶座) <참고사진>
녕수궁화원(寧壽宮花園)Ⅳ
===================================================================================================
'답사와 여행(해외) > 중국(북경-자금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國(北京) - 천궁보전(天穹寶殿)/천궁보전 지역 (0) | 2012.08.25 |
---|---|
中國(北京) - 진비정(珍妃井)/양성전(養性殿)지역 (0) | 2012.08.20 |
中國(北京) - 녕수궁화원(花園)Ⅲ/양성전(養性殿)지역 (0) | 2012.08.14 |
中國(北京) - 녕수궁화원(花園)Ⅱ/양성전(養性殿)지역 (0) | 2012.08.14 |
中國(北京) - 녕수궁화원(花園)Ⅰ/양성전(養性殿)지역 (0) | 2012.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