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와 여행(해외)/중국(북경-자금성)

中國(北京) - 녕수궁화원(花園)Ⅰ/양성전(養性殿)지역

케인스 2012. 8. 4. 21:59

 

                           녕수궁화원(寧壽宮花園)Ⅰ

  

    중국 북경(北京)/자금성, 내정(內廷)의 양성전(養性殿)

  

 

☞  녕수궁화원(寧壽宮花園) 구역: 서로(西路)

   

                                     

녕수궁화원(寧壽宮花園) 구역 <참고사진>

                                                                                                                               

                                                     녕수궁화원(寧壽宮花園) 위치 <google참고사진> 

                               

양성전(養性殿)지역의 서로(西路)에는 속칭 건륭화원(乾隆花園)이라고 부르는 녕수궁화원(寧壽宮花園)이 있습니다. 녕수궁화원(寧壽宮花園)은 자금성 동북부 녕수궁(寧壽宮) 북쪽에 위치하며, 양성전(養性殿) 서쪽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 녕수궁화원(寧壽宮花園)

 

      

                                 

                              녕수궁화원(寧壽宮花園) 위성사진 및 평면도 <참고사진>

 

녕수궁화원(寧壽宮花園)은 청(淸) 건륭제(乾隆帝)가 녕수궁(寧壽宮)을 다시 지을 때인 건륭31년(1771)부터 건륭41년(1776)동안 6년에 걸쳐 조성된 화원(花園)으로 건륭제 퇴위 후를 보고 지었기에 후에 건륭화원(乾隆花園)으로 불려지기도 하였습니다.

 

    녕수궁화원(寧壽宮花園) 스케치 <참고사진>

 

녕수궁화원(寧壽宮花園)은 남북으로 길이 160m, 동서 37m의 직사각형 대지위에 조성되어, 정원이 딸린 건물들이 4곳의 원락(院落)으로 나뉘어져 각각 독특한 형태를 가지고 있기에 '궁중원(宮中園)', 혹은 '내정(內廷)의 원림(園林)'으로 학계에서 인정 받고 있습니다.

 

녕수궁화원(寧壽宮花園)의 고화(古畵)  <참고사진>

 

녕수궁화원(寧壽宮花園)의 주 건물은 고화헌(古華軒)으로 남향이며 화원의 중축선상(中軸線上)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가산(假山), 정자(亭子) 등이 구성되어 있는 원락(院落)으로 서쪽에는 계상정(禊賞亭) 포하(抱廈) 가운데에 "유배거(流杯渠)"가 있는데, 왕희지(王羲之)의 곡수류상(曲水流觴)으 본떠 설치하였습니다. 수초당(遂初堂)은 'ㄷ'모양의 전형적인 삼합원(三合院) 형식입니다. 수화문(垂花門) 내에는 호석(湖石)이 받침대에 얹혀 그윽하고 우아한 자태를 뽐내고 있습니다. 췌상루(萃赏楼)는 2층의 누각(樓閣) 건물로 앞쪽 정원에는 가산(假山)으로 가득하며 용수정(聳秀亭)이 높은 곳에 자리하고 있고, 삼우헌(三友軒)이 가산(假山) 깊숙이 자리하여 수려한 풍경을 연출하고 있습니다. 마지막 원락에는 녕수궁화원(寧壽宮花園)에서 제일 높고 화려한 아름다움을 지닌 부망각(符望閣)이 있습니다. 부망각(符望閣) 앞 가산(假山)에는 5개의 기둥으로 지어진 매화형(梅花形)의 작은 정자(亭子)인 벽라정(碧螺亭)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녕수궁화원(寧壽宮花園)의 주요건축물에는 연기문(衍祺門), 고화헌(古華軒), 욱휘정(旭輝亭), 억재(抑齋), 수초당(遂初堂), 죽향관(竹香館), 췌상루(萃賞樓), 연취루(延趣樓), 삼우헌(三友軒), 용수정(聳秀亭), 벽라정(碧螺亭), 부망각(符望閣), 옥수헌(玉粹軒), 권근재(倦勤齋) 등이 있습니다.  

 

 

●  연기문(衍祺門)

 

  

연기문(衍祺門) <참고사진>

 

녕수궁화원(寧壽宮花園)으로 들어서려면 연기문(衍祺門)을 지나야 합니다. 연기문(衍祺門)은 양성문(養性門) 광장 서쪽에 남쪽을 향해 자리하고 있으며 정면3칸, 측면2칸의 황유리기와에 가장자리는 녹색유리기와 맞배지붕으로 세웠습니다. 

 

연기문(衍祺門) <참고사진>

 

                    연기문(衍祺門) 앞 계단 양쪽에는 동항(銅缸)이 각각 하나씩 있습니다.

 

연기문(衍祺門)과 가산(假山) <참고사진> 

  

     연기문(衍祺門)에 들어서면 안쪽 가산(假山)의 산석(山石)이 앞을 가로 막고 있는듯 보입니다.

 

                              

                                                                                             <참고사진>

 

                                                   연기문(衍祺門)의 현판 <참고사진>

 

연기문(衍祺門) 잡상 <참고사진>

 

                                          안쪽에서 본 연기문(衍祺門) <참고사진>

 

연기문(衍祺門) 안쪽에는 행랑(行廊)으로 조성되어 동, 서 양쪽으로 서로 통하게 되어 있으나 서쪽의 행랑문은 폐쇄되어 있고 동쪽의 행랑문으로 들어서면 힐방정(擷芳亭)이 있는 작은 정원과 통하게 됩니다.

 

 

  제1원락(院落)

 

 

                          

                                                  제1원락(院落) <참고사진>

 

녕수궁화원(寧壽宮花園)의 정문(正門)인 연기문(衍祺門)을 들어서면 눈 앞에 병풍 모양의 가산(假山, 쌓아서 만든 산)이 나타나고, 돌길을 따라 가산을 지나면 고목들 사이로 고화헌(古華軒)이 있습니다. 제1원락(院落)주(主) 건물은 고화헌(古華軒)이며, 고화원 동쪽 언덕에 승로대(承露臺)가 있고, 서쪽으로는 유배거(流杯渠)가 있는 속칭 유배정(流杯亭)이라고 하는 계상정(禊賞亭)이 있으며, 계상정의 북쪽 언덕에 욱희정(旭輝庭)이 있습니다. 고화원 동남쪽에는 가산(假山) 위에 힐방정(擷芳亭)이라 이름지어진 작은 정자가 있으며, 거정(矩亭)과 억재(抑齋)라는 건물이 가산 위의 힐방정을 둘러싸고 있는 듯 배치되어 있습니다.

 

 

●  가산(假山)  

 

 

가산(假山) 위치도 <참고사진>

 

연기문(衍祺門) 앞 가산(假山) <참고사진> 

 

        연기문(衍祺門)을 들어서면 앞에 가산(假山)이 조성되어 있어 시야를 가로막고 있습니다.  

 

                     

                                                                                                             <참고사진>

  가산(假山)사이로 돌로 포장된 길이 뚫려있습니다. 돌길은  고화헌(古華軒)으로 이어져 있습니다.

  

                                                                                                             <참고사진>

  가산(假山)사이의 돌길을 따라가면 서쪽에 계상정(禊賞亭) 북쪽에는 고화헌(古華軒)이 있습니다.

 

 

 

●  고화헌(古華軒)

 

 

고화헌(古華軒) 위치도 <참고사진>

 

고화헌(古華軒) <참고사진>

 

연기문(衍祺門) 앞 가산(假山)을 지나면 고목들 사이로 고화헌(古華軒)이 보입니다. 왼쪽의 건물은 유배거(流杯渠)가 있는 계상정(禊賞亭)이며, 오른쪽으로 돌길을 따라가면 승로대(承露臺)에 이릅니다.

 

                                   고화헌(古華軒) <참고사진>

 

고화헌(古華軒)은 녕수궁화원의 주(主) 건물로 청(淸) 건륭37년(1772)에 세웠으며, 4면이 틔어있는 정면3칸 측면1칸이지만 사방 모두 1칸의 툇칸이 덧붙여 조성된 남향 건물입니다. 황유리기와에 가장자리는 녹색기와로 마감한 팔작지붕건물입니다.

 

고화헌(古華軒) 기단 서쪽의 치석(置石) <참고사진>

 

고화헌(古華軒) 기단 동쪽의 치석(置石) <참고사진>

 

고화헌(古華軒)과 금사추(金絲楸:오동나무) <참고사진> 

 

고화헌 기단 아래 서남쪽에는 고화헌을 세우기 전부터 오동나무가 한 그루 있었습니다. 이 오동나무가 꽃을 피울 때의 풍경이 너무도 아름다워 건물의 이름을 "고화원(古華軒)"이라 하였는데, 고대 중국문학에서는 '화(花)'와 '화(華)'가 발음이 같아, 이를 빌려 "고화원(古華軒)"이라 이름하였습니다. 

 

                                       

                               오래된 오동나무[古楸树] <참고사진> 

 

                                                         오동나무 <참고사진> 

 

 

 

                               건륭제 어필인 "고화헌(古華軒)" 현판 <참고사진>

 

고화헌(古華軒) 내부 <참고사진>

 

고화헌(古華軒) 중앙칸 내부 상단 밑 후면 내부 상단 등 모두 4칸에는 나무 용조각 4괴(塊)가 걸려 있으며, 후면 중앙칸에는 양쪽에 주련(柱聯)이 걸려있는데 모두 고추(古楸:옛 오동나무)에 관해 건륭제가 지은 시구절입니다.

 

목판 용조각 1  <참고사진>

 

목판 용조각 2  <참고사진>

 

목판 용조각 3  <참고사진>

 

목판 용조각 4  <참고사진>

 

후면 중앙칸에는 양쪽에 주련(柱聯)  <참고사진>

 

주련(柱聯) 내용 일부 <참고사진>

 

                                            천화(天花) <참고사진>

 

녹나무[楠木]로 조각된 초화문(草花紋) 천화판(天花板) <참고사진>

 

                                       고화헌(古華軒)의 뒷면 <참고사진> 

 

격선(隔扇) 장식 <참고사진> 

 

기단(基壇)의 채색석(彩色石)장식 <참고사진>

 

 

●  승로대(承露臺)

 

 

 

승로대(承露臺) 위치도 <참고사진>

 

                                                승로대(承露臺) <참고사진>

 

승로대(承露臺)는 고화헌(古華軒) 동쪽에 위치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노대(露臺)라고 부르며 선대(仙臺)라 칭하기도 합니다.

 

                     

                                                                                                          <참고사진>

 

         승로대(承露臺)는 청(淸) 건륭37년(1772), 태호석(太湖石)으로 쌓은 가산 위에 세웠습니다.

                      

                                                                                                                                 <참고사진>

승로대(承露臺)의 면적은 7㎡이며 높이 0.42m의 백석(白石)난간으로 둘려져 있고, 로대(露臺)내의 지면에는 엷은 황색 반석(斑石)이 깔려있으며, 높이 있어 멀리 조망할 수 있습니다.

 

                                                                                                            <참고사진>

승로대(承露臺)의 남, 북에는 아래와 연결된 계단이 있어 승로대 밑 석동(石洞:굴)에 이르며, 굴의 전면과 남쪽에는 동문(洞門)이 있습니다.

 

승로대(承露臺) 밑 석동(石洞) 정문(正門)  <참고사진>

 

정면의 문은 붉은색의 금정궁문(金釘宮門)이며 남쪽의 문은 주칠 판문(板門)입니다. 정문의 높이는 1.9m, 폭 0.8m 이며, 가장자리는 백석(白石)으로 마감 처리하였습니다.

 

승로대(承露臺) 밑 석동(石洞) 남문(南門)  <참고사진>

 

             남쪽의 문은 주칠 판문(板門)이며 가장자리는 백석(白石)으로 마감 처리하였습니다.

                                     

                                                                                                                    <참고사진>

굴 안에는 북쪽에 불감(佛龕)이 있으며, 동쪽 벽 위에는 건륭제의 글씨로 된 경문(經文)이 석각(石刻)되어있는데, 겨울에 햇빛이 굴 안으로 들어와 경문(經文)위로 비친다지만 현재는 볼 수 없습니다.

 

 

●  계상정(禊賞亭)

 

  

계상정(禊賞亭) 위치도 <참고사진>

 

                         계상정(禊賞亭)과 유배거(流杯渠) 그리고 고화헌(古華軒) <참고사진>

 

계상정(禊賞亭) <참고사진>

 

계상정(禊賞亭)은 청(淸) 건륭37년(1772) 건설되었으며, 동향(東向)으로 전면 3칸,측면 3칸의 건물이며 앞쪽에 포하(抱厦)를 내어 그 밑에 유배거(流杯渠)를 조성하였습니다.

 

                                                                                                                                                                   <참고사진>

평면은 “凸”자형으로 팔작지붕 형태이나 가운데는 사모지붕으로 황유리기와에 가장자리는 녹색기와를 얹었으며, 처마 밑을 채화로 단장하였습니다.

               

      

유배거(流杯渠) <참고사진>

 

계상정(禊賞亭) 전면 포하(抱厦) 지면에는 돌로 만든 길이 27m의 거(渠:도랑)가 있는데 이를 '구곡18만(九曲十八灣)이라 합니다.

 

유배거(流杯渠) <참고사진>

 

유배거(流杯渠)는 왕휘지의 <난정서(蘭亭序)>에 나오는 곡수류상(曲水流觴: 매년 음력 3월3일 곡수에 둘러 앉아 술잔을 띄어놓고 술잔이 흐르다 멈추면 그 앞에 앉은 사람이 술을 마시는 놀이)의 고사(故事)를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계상정(禊賞亭)을 속칭 유배정(流杯亭)이라고도 합니다.

 

곡수류상도(曲水流觴圖) <참고사진>

 

유배거(流杯渠)에 필요한 물은 계상정(禊賞亭) 남쪽 가산(假山) 뒤쪽의 우물에서 취하여 항아리에 담아 사용하였습니다. 

 

                                                                                                                                                        <참고사진>

건륭제는 매년 음력 3월3일 유배거(流杯渠) 주위에 앉아 신하들과 함께 술을 마시며 시를 지었다고 합니다.

 

 죽문(竹紋)의 한백옥 대리석 난간  <참고사진>

 

계상정 내외에는 대나무 문양으로 장식하였고, 처마 밑에도 대나무문양이 조각되어있는 한백옥 대리석 난간으로 둘러져 있습니다.   

 

      계상정(禊賞亭)과 욱휘정(旭輝庭)을 잇는 유랑(遊廊)  <참고사진>

 

           계상정(禊賞亭) 북쪽에는 유랑(遊廊)이 있고 욱휘정(旭輝庭)과 서로 결되어 있습니다.

 

계상정(禊賞亭) 북쪽 유랑(遊廊) <참고사진>

 

 

●  욱휘정(旭輝庭)

 

 

욱휘정(旭輝庭) 위치도 <참고사진>

 

욱휘정(旭輝庭) <참고사진>

 

욱휘정(旭輝庭)은 청(淸) 건륭37년(1772)에 가산(假山) 위에 동향(東向)으로 세웠으며 정면3칸, 측면1칸의 황유리기와에 가장자리는 녹색기와 지붕으로, 처마 밑에는 정교하고 아름다운 채색화로 장식하였습니다.

 

욱휘정(旭輝庭) <참고사진>

 

남쪽은 계상정(禊賞亭)의 유랑(遊廊)과 접해있고, 퇴산 위 높은 곳에 위치하여 동, 남 양쪽에서 일출(日出)을 맞이하기 더없이 좋은 위치에 있습니다. 

 

욱휘정(旭輝庭) 밑 가산(假山) 속의 동굴 <참고사진> 

 

동굴 문 <참고사진> 

 

 

●  힐방정(擷芳亭)

 

 

힐방정(擷芳亭) 위치도 <참고사진>

 

연기문(衍祺門)에서 힐방정(擷芳亭) 가는 길 <참고사진>

 

                    

                                                힐방정(擷芳亭) <참고사진>

 

동쪽의 행랑 문을 들어서면 오래된 나무가 하늘을 가리고 동남쪽 모퉁이에 돌을 쌓아 만든 가산(假山)이 있고 그 위 상부에 4개의 기둥으로 지어진 힐방정(擷芳亭)이라는 작은 정자(亭子)기 있습니다.

 

                       

                                                힐방정(擷芳亭) <참고사진>

 

힐방정(擷芳亭)은 녹색과 황색 유리기와로 이은 사모지붕 형태의 정자(亭子)로 돌로 만든 가산(假山) 위에 세워 길을 내 아래 위로 오르내렸습니다.

 

                     

                                                                                                        <참고사진>

높은 곳에 지었기에 주위의 담장 위로 솟아있어 화원의 안팎 풍경을 감상할 수 있으며, 앉을 수 있도록 흰 대리석 난간을 설치하였습니다.

 

                    

담 밑의 분경(盆景) <참고사진>

 

 

●  억재(抑齋)와 거정(矩亭)

 

 

                            

억재(抑齋)와 거정(矩亭) 위치도 <참고사진>

       

         

억재(抑齋)와 거정(矩亭) <참고사진>

 

힐방정(擷芳亭)의 북쪽에는 억재(抑齋)라는 건물이 있고, 억재 서쪽으로 접해있는 유랑(遊廊)은 남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이어져 있기에 작은 정원을 감싸고 있는 형국입니다. 그리고 유랑과 억재 사이 모퉁이에 정자를 짓고 거정(矩亭)이라 하였습니다.

 

                                     억재(抑齋) <참고사진>

 

억재(抑齋)는 청(淸) 건륭37년(1772)에 세웠으며, 남향으로 겨우 2칸의 건물입니다. 황유리기와에 가장자리는 녹색기와 지붕이며, 처마 밑에는 채색화로 장식하였습니다.

 

 

                                            소불당(小佛堂)인 억재(抑齋) <참고사진>

 

                        억재(抑齋)는 소불당(小佛堂)으로 내부에는 불감(佛龕)이 있습니다.  

 

 

                                                                                                                          <참고사진>

억재(抑齋)의 동쪽 칸은 문이 있어 앞뒤로 통할 수 있으며, 양성전(養性殿)의 서배전(西配殿) 불당(佛堂)으로 은밀하게 통하였습니다. 억재의 남쪽에는 힐방정(擷芳亭), 서쪽에는 거정(矩亭), 북쪽으로는 승로대(承露臺)에 이릅니다.

 

                                      거정(矩亭) <참고사진>

 

거정(矩亭)은 억재(抑齋)의 서쪽에 위치하는 방형의 정자로 청(淸) 건륭37년(1772)에 세웠으며, 서쪽에서 동쪽을 향하는 형태로 황유리기와에 가장자리는 녹색기와 지붕이며, 처마 밑에는 채색화로 장식하였습니다.

 

               

                                                                                                                     <참고사진>

거정(矩亭)의 남, 북, 동쪽의 삼면은 유랑(遊廊)과 접해있으며, 남쪽으로는 연기문(衍祺門)으로 통행이 가능하며, 북쪽으로는 승로대(承露臺), 동쪽으로 억재(抑齋)에 이릅니다.

 

                             거정(矩亭)과 연결되어 남쪽으로 조성된 유랑(遊廊) <참고사진>

 

  

                                                                                                                             <참고사진>

거정(矩亭) 안에는 건륭제 어필인 "矩亭" 편액이 걸려있고, 천장부에는 편직문(編織紋) 천화(天花)가 장식되어 있습니다.

 

 

 

 

                           녕수궁화원(寧壽宮花園)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