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와 여행(국내)/인천광역시

인천(자유공원)

케인스 2008. 4. 4. 21:29

 

                      인천(자유공원)

 

 

인천 중구 / 자유공원

 

 

                                                한국 최초의 서구식 공원

 

인천직할시 중구 송학동에 위치하고, 고종25년(1888년) 11월9일 인천항구 각국 조계 장정 제1관(仁川港口各國租界章程第1款)에 의해 공원으로 확정 되었으며, 도면에 미, 영, 로, 청, 일(美, 英, 露, 淸, 日) 등 각국 외교관이 공동 서명하고, 로서아인 토목기사 '사바틴'이 측량하여 한국 최초의 서구식 공원을 만들었다. 처음에는 각국공원', '만국공원'이라 부르던 것을 1914년 각국 지계제도의 철페와 함께 일본인들이 '서공원'으로 호칭했으나 1950년 9월15일 인천상륙작전으로 수복할 당시, 맥아더 장군이 지휘하여 가장 먼저 상륙을 단행한 사적지임을 기념하여, 1957년 개천절을 기해 맥아더 동상을 세우고 '자유공원'이라 개칭하였다.  <안내판에서..>


  

                           ~~~~~~~~~~~~~~~~~~~~~~~~~~~

 

 

 

          

                                                   제3 패루 / 자유공원 입구  

 

                                  

                                                  계단을 오르면 자유공원

 

          

                                                       연오정(然吾亭)

 

독립운동가 조훈(趙勳: 1886.10.29~1938.1.22)선생께서 가산을 털어 마련하였다고 합니다.

 

                                      

                               검여 유희강(劍如 柳熙綱)님의 솜씨 然吾亭(연오정)

 

                                   

                                               한미수교 100주년 기념탑

                                                                                                

한미수호통상조약은 1882년 5월22일 대조선국 전권대관 신헌과 대미국 전권대신 로버트 윌슨 슈펠트와의 사이에 제물포 화도진 언덕에서 조인 체결되었다.

 

이 조약은 그로부터 전개되는 모든 한미 양국관계의 발전에 가장 기본적이며 역사적인 시발점이 되었다.

 

과거 100년 동안 한미 양국은 여러 내외 정세의 변화와 굴절에 대응하면서 정치 외교 경제 군사 문화에 걸쳐 양국간의 우호 친선과 공동의 이익을 위한 협력관계를 추구 유지해 왔고 발전시켜 왔다.

 

특히 자유와 평화 정의와 인도 신의와 평등의 추구를 통한 세계 인류 공통의 이상과 목표의 실현을 위해서 보다 더 긴밀하고 공고한 유대와 협력을 위해서 양국은 뜨거운 혈맹의 관계를 맺기에 이르렀다.

 

한미소호조약 체결 100주년을 맞이하여 그 역사적 의미를 재음미하고 앞으로의 양국과 양국국민의 상호 신뢰와 우호 협력관계의 계속적인 발전과 전진을 희구하는 표징으로 여기 유서깊은 이 고잔에 기념탑을 세운다.

 

                         1982년 12월14일           한미수교100주년기념사업위원회   

 

                      

 

                                              

 

                      

 

                      

                                             조각작품  "움직임 그 100년"

 

탑 중앙에 놓여있는 이 기념 조각은 한, 미 양국간의 영원한 우애와 유대를 상징하고 있으며, 한국 추상조각의 1세대 작가인 최만린님의 작품입니다. 

 

                                  

         

                       

 

                                               

탑의 외형은 돛을 형상화 시킨 형태이며 인간, 자연, 평화, 자유를 8개탑으로 구성함으로써 양국이 상견례하는 뜻과 결속을 나타 내고 있습니다. 탑신 높이는 20M, 18.5M, 17M, 15.5M 각2기이며 내부는 철, 외부는 동으로 제작되었습니다.  탑의 설계는 건축가 강석원씨가 하였으며, 현대건설이 시공하였습니다.

 

          

 

          

                                           자유공원에서 바라본 인천항

 

자유공원에서는 시가지 일부와 항만시설 그리고 인천 앞바다를 한 눈에 바라볼 수 있습니다. 

                 

          

 

          

                                                   꽃들로 잘 가꾸어진 공원

 

                      

 

자유공원은 한국 최초의 서구식 공원으로 1897년에 세워진 서울의 파고다 공원(현 탑골공원)보다 9년 가량 빨리 세워졌습니다.  

 

                                                      맥아더 장군동상

      

이 동상은 1950년 6월25일 북한의 남침으로 국가가 전란의 위기에 처해 있을때 맥아더장군이 온갖 난관을 무릎 쓰고 인천상륙작전을 강행하여 전세를 바꾸어 놓은 업적과 우리 국민의 애정과 우의를 기리기 위해 맥아더장군 동상 건립위원회에서 1957년 9월15일 자유공원에 건립하였습니다.

                      

                      

                                                   맥아더장군 동상 건립문

 

           

 

                      

 

                      

 

               동상재질 : 청동  /  탑 신 : 높이 3M, 둘레 2M  /  기 단 : 높이 5M, 둘레 7M

                                               

                                                      

 

          

 

          

 

   

 

  

 

                      

                            더글라스 맥아더(Douglas MacArthur:1880-1964)

 

더글라스 맥아더는 1880년 1월25일 미국 아칸소주 리틀록에서 태어났습니다. 맥아더는1903년 미국육군사관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그 후 육군에 근무하여 1930년 대장으로 승진하였습니다. 군에서는 극동 전문가로 알려졌고, 1936년 필리핀군의 고문으로 근무하다가 1937년 제대하였습니다. 그 후 대일관계가 긴박하였던 1941년 7월 현역에 복귀하여 미국 극동군사령관으로 필리핀에서 근무하다가 제2차 세계대전을 맞이하였습니다.

 

1942년 초 일본군의 공격으로 마닐라를 빼앗기고 오스트레일리아로 이동, 연합군 남서태평양 방면 연합군사령관으로서 대일작전을 지휘하였습니다. 그 해 가을부터 뉴기니작전을 비롯하여 반격작전을 전개, 1945년 7월에는 필리핀을 완전히 탈환하고, 이어 8월에 일본을 항복시키고 일본점령군 최고사령관이 되었습니다. 1950년 6월25일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UN군 최고사령관으로 부임하여 인천 상륙작전을 지휘, 전세를 역전시켜 적을 한국-만주국경까지 몰아내는 데 성공하였습니다. 그러나 중국군의 개입으로 다시 후퇴를 하게 되자 그는 만주폭격과 중국연안봉쇄, 대만의 국부군의 사용 등을 주장하였고, 이로 인해 트루먼 대통령과의 대립으로 1951년 4월 사령관의 지위에서 해임되었습니다.

 

맥아더는 퇴역 당시 ‘노병(老兵)은 죽지 않고, 사라질 뿐이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습니다. 이 유명한 연설은 장군으로서의 굳은 의지를 밝혔을 뿐 아니라, 그 연설을 들은 수천만의 미국 국민들의 가슴 속에그 말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였습니다. 그 밖에도 수많은 일화를 남긴 맥아더 장군은 1964년 4월5일 월터리드 육군 병원에서 명예로운 일생을 마쳤습니다. 

 

                                 

                                        인천시민헌장비(1965년 6월1일 건립)

      

                                 

                                  

                                             통일목(統一木)

 

                                                여기 통일을 갈망하는 마음을

                                                한 그루 나무를 심어

                                                그 이름 통일목이라 불러

                                                영원히 자라게 하리라

                       

                                                서기一九七二年四月三日     

                                        新風會(인천광역시 지역친목모임) 식수

 

          

 

                                            통일목(統一木)

 

                                              그 누가 통일을 원치 않으리오
                                              다 못한 민족의 슬픔이거니
                                              그 아픔 달래기 위해
                                              네 이름 통일목이라 부르리라
                                              영광된 통일의 그 날을 위해

 

                                   西記一九七三年 四月三日         新風會  植木

 

          

 

 

 

                      

                                                          꽃동산 공원

 

                             

                                                 석정루(石汀樓)  <자료사진>

 

자유공원 산자락 서쪽에서 서해안을 바라보고 있는 석정루는 사업가 이후선[아호:석정(石汀)]씨가 30여년간 자유공원을 산책하며 건강을 지켜온 감사의 뜻으로 누각을 지어 인천광역시에 기증한 것입니다.

 

석정루는 팔각정이며, 2층 58평 규모로 지어져 1966년 6월23일 준공되었습니다.  현판은 서예가 동정 박세림 선생이, 현액은 우초 장인식 선생이, 제물포 고등학교의 최승렬선생이 '기림'이란 제목의 제영을 남겼습니다. 석정루에 오르면 서해안 앞바다와 영종도를 바라볼 수 있습니다. 

 

          

                    (구) 제물포 구락부 [(舊) 濟物浦俱樂部] 서쪽 출입구

 

구락부라는 말은 클럽(club)의 일본식 발음을 한자로 차용한 것입니다.  제물포구락부는 인천에 몰려든 외국인들의 사교모임으로, 1892년 8월에 발족한 조직입니다.

 

                                (구) 제물포 구락부 [(舊) 濟物浦俱樂部] 정면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사적 제17호(1993.7.6 지정)인 이 건물은 인천에 거주하던 미국·독일·러시아·일본인들이 사교장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건축한 회관으로 1901년 6월 22일 낙성되었습니다. 벽돌로 된 2층 건물로서 지붕을 양철로 덮었습니다.

 

          

 

          

                                                   제물포 구락부 내부

 

(구) 제물포 구락부에는 내부에 사교실, 도서실, 당구대 등과 밖에는 테니스 코트도 있었습니다.  

 

               

                                                 (구) 제물포 구락부 사진

 

          

 

1913년 각국의 조계(租界)들이 철폐됨에 따라 이 건물은 일본 재향군인회관· 부인회관으로 이용되었으며 정방각으로 불리기도 하였습니다. 8.15 광복 이후에는 주한미군에게 점유되어 장교구락부로 되었고, 한국전쟁 중 다시 미군사병구락부로 사용되기도 하였습니다. 1953년부터 1990 까지는 인천시립박물관으로 이용되었으며, 1990년부터 2006년까지는 인천시 중구 문화원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이 건물은 드디어 2007년 제물포구락부로 재탄생하게 되었습니다.

 

          

                    2005년도에 방영된 SBS 수목드라마 "건빵선생과 별사탕"의 촬영지

 

                      

                      인천 학도의용대 호국기념탑(仁川學徒義勇隊護國記念塔)

 

맥아더 동상 뒤편에는 ‘인천학도의용대 호국기념탑'(좌)과 기념동상(우)이 나란히 서 있습니다. 이 동상은 비극적인 전쟁에 나서야 했던 어린 학도병의 용맹성과 애국심을 표현하고 있으며, 학도병임을 표현하기 위한 ‘연필탑'이 특이합니다.

 

                                    

 

                                 

                        인천학도의용대호국기념동상(仁川學徒義勇隊護國記念銅像)

                   

          

                                                       홍예문(虹霓門)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9호(2002.12.23 지정)이며, 무지개처럼 생긴 문이라는 뜻의 홍예문(虹霓門)은 인천시내 남북간 교통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철도 건설을 담당하고 있던 일본 공병대가 1906년 착공하여 1908년에 준공하였으며 처음에는 혈문(穴門)이라고 불렀습니다. 홍예문이란 문 얼굴의 윗머리가 무지개의 형상처럼 반쯤 둥글게 된 문을 뜻하는 보통명사입니다.

 

          

 

인천을 상징할만한 대표적인 축조물의 하나인 홍예문으로 통하는 길의 건설은 각국조계와 축현역(동인천역)을 연결하기 위해 구한말, 시내 유지들이 출연하기 시작한 후 국고에서 그 비용을 부담하였습니다. 당시 교통사정이 매우 열악했으므로 일본 지계나 항구에서 만석동으로 가려면 서북 해안선을 따라 가야 했으므로 일본인들은 비교적 단구간인 현 송학동 마루턱을 깎아 만석동으로 통하는 길을 만듦과 동시에 화강석 홍예문을 쌓아 각국 지계와 측후소 쪽으로 진출을 꾀하게 되었습니다.

 

          

 

축조양식은 화강석과 벽돌을 혼용(混用)한 아아치 구조로서 조형미가 수려한 건축물이며, 그 당시 일본의 토목공법 및 재료에 대한 사료로서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1906년 공사를 시작했으나 거대한 암석들이 앞을 가로막아 3년여에 걸쳐 완성되었습니다. 반석 위에 세워진 돌문답게 지금까지 건재한 모습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이곳은 영화촬영지로도 유명합니다.

 

 

 

2008.04.19 

 

 

 

 

 

'답사와 여행(국내) > 인천광역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개항장일대)  (0) 2008.04.04
인천(차이나타운)  (0) 2008.03.31
인천(월미공원)  (0) 2008.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