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해남(땅끝)

케인스 2007. 6. 30. 00:48

                                                          해남(땅끝)

 

 

땅끝[토말/土末]

 

행정상으로 우리나라의 끝은 제주도 남쪽의 마라도이지만, 육지의 최남단은 북위 34도 17분 21초의 해남군 송지면 갈두산 사자봉으로 토말(土末), 바로 땅끝이라 불립니다. '신증동국여지승람' 만국경위도에서는 우리나라 전도(全圖) 남쪽 기점을 땅끝 해남현에 잡고, 북으로는 함경북도 은성부에 이른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또한 육당 최남선의 '조선상식문답'에서는 해남 땅끝에서 서울까지 천리, 서울에서 함경북도 은성까지를 2천리로 잡아 우리나라를 3천리 금수강산이라 하였습니다. 두륜산과 달마산을 거쳐왔는데 땅끝을 아니 볼 수는 없는 일입니다.

 

 

       

             땅끝 가는 길 - 유채꽃의 노란 색갈은 남도의 들을 상징하는 듯합니다.

 

           

                                 땅끝 가는 길 - 아름다운 길입니다

             

      

                                                            땅끝 바닷가

                                                             

       

                                            땅끝 바닷가 두 개의 섬인 맴섬

                           

                   

                                    땅끝해남 '맴섬일출'   <참고사진:뉴시스>


 

                

          땅끝에서 어느 섬으로...   여객선을 보면 저의 마음도 함께 떠나는 듯 설레입니다.

 

           

                                               땅끝의 사자봉과 땅끝전망대                

 

                

                                                           땅끝 바닷가

 

       

                                                           땅끝 해변

 

            

                                                         땅끝 해변의 숲

 

    

                                                              땅끝 해변

 

 

땅끝탑비
- 땅끝탑비 -
 
이 곳은 우리나라 맨 끝의 땅
갈두리 사자봉 땅 끝에 서서
길손이여
땅끝의 아름다움을 노래하게
먼 선 자락 아스란 백령도, 흑일도, 당인도
장구도, 보길도, 노화도, 한라산까지

수묵처럼 스며가는 정
한 가슴 벅찬 마음 먼 발치로
백두에서 땅끝까지 손을 흔들게
수천년 지켜온 땅 끝에 서서
수만년 지켜갈 땅 끝에 서서
꽃밭에 바람일 듯 손을 흔들게
마음에 묻힌 생각
하늘에 바람에 띄워 보내게

 

글 손광은, 글씨 하남호

1987.7.18                          <참고자료: 해남군>

 

   

                           

                  

                               땅끝전망대에 오르기 위해 모노레일을 이용했습니다.

 

                  

                                              땅끝모노레일

 

땅끝모노레일카는 해남군과 한국모노레일(주) 상호간 공동투자로 2005년 12월19일 개통하여, 땅끝마을에서 땅끝 전망대까지 약 395m를 60m/분의 주행속도로 운행하고 있습니다. 승차인원은 40명(20인승 2량)으로 순왕복 주행소요시간은 약13분(시간당 4회 왕복), 수송인원은 160명/시간 이라고 합니다.

 

                                                 갈두산 사자봉의 땅끝전망대

 

전망대에서는 날씨가 좋으면 멀리 한라산이 보일 때도 있다고 합니다. 행운이 따라야 보이겠지요...

 

땅끝은 원래 갈두(曷頭)라 하였고, 갈두리에 있는 뒷산을 갈두산이라 하였습니다. 갈두를 우리말로 표현하면 칡머리라는 뜻인데, 아마도 칡이 많이 자생하고 있는 산이라 하여 유래된 듯합니다.

  

                 

                                                           땅끝전망대

 

땅끝 전망대는 2002년 1월31일에 재설립 하였으며 대지면적 2,560㎡, 건축면적 385.27㎡, 지하1층, 지상9층의 규모로서 최고높이가 39.5m에 이릅니다.

 

 

                

                                                땅끝전망대

 

                                                전망대에서 바라본 땅끝마을

 

                                      전망대에서 바라본 땅끝마을               

 

            

                                              전망대에서 본 갈두산 앞 바다

 

전망대에서는 앞으로 펼쳐지는 크고 작은 섬들이 한눈에 들어와 감탄을 자아내기에 부족함이 없습니다.왼쪽 멀리 노화도가 보입니다.

            

              

                                               저~기 등대

 

            

                                전망대 앞 자그마한 섬.  여인의 모자 같이 예쁩니다.

 

            

                                                           귀로(歸路)

 

                                                           갈두산 봉수대

 

이곳은 육지의 최남단 갈두산(葛頭山) 해발 156.2m 정상에 위치한 봉수대(烽燧臺)이다. 갈두산 봉수는 광무(光武)10년(1906) 영암군(靈巖郡)에 속하였던 송지면(松旨面)이 해남군(海南郡)에 이속(移屬)됨에 따라 편입된 지역이다.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 동국여지지에 동쪽으로 강진현(康津縣) 좌곡산(佐谷山) (현 북일면 봉태산), 서쪽으로 해진군(海珍郡) 화산(花山) (현 현산면 관두산[烽台山])에 준하여 설치된 것으로 전하고 있으며, 조선초에 설치되어 고종(高宗) 때 폐지(廢止)된 것으로 보인다.

 

봉수제도는 삼국시대(三國時代)부터 시작되어 조선시대(朝鮮時代) 세종(世宗)의 4군6진 개척과 더불어 확립되었다. 낮에는 연기(煙氣), 밤에는 횃불로써 국가의 급한 소식을 왕에게 전달하는 동시에 해당지역에도 알려 적(敵)의 침략(侵略)에 대비했던 군사통신방법(軍事通信方法)으로 그 수에 따라 각각 의미를 가지고 있다.

 

조선시대 법전인 경국대전(經國大典)에서는 평상시에는 1개의 홰, 적이 나타나면 2홰, 경계에 접근하면 3홰, 경계를 범하면 4홰, 접전하면 5홰를 올리도록 했다. 그러나 만약에 적이 침입했을 때 안개, 구름, 비바람으로 인하여 봉수가 전달되지 않을 경우에는 화포(火咆)나 각성(角聲) 또는 기(旗)로써 알리거나 봉수군(熢燧軍)이 직접 달려가 알렸다.

 

갈두산 봉수대는 원형을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파괴되어 있었던 것을 자연석을 이용하여 막돌로 쌓아 복원하였으며, 봉수의 직경은 4.5m 내외이며, 하부는 바위돌을 사용하고 상부로 올라갈수록 작은 돌을 이용하여 축조하였다.             <갈두산 봉수대 안내판에서...>

 

 

                                       

                                                           땅끝유래비

 

땅 끝 유 래

 

이곳은 한반도의 최남단으로 북위 34도 17분 21초의 해남군 송지면 갈두산 사자봉 땅끝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 만국경위도에서는 우리나라 전도(全圖) 남쪽 기점을 이곳 땅끝 해남현에 잡고, 북으로는 함경북도 은성부에 이른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육당 최남선의 '조선상식문답'에서는 해남 땅끝에서 서울까지 천리, 서울에서 함경북도 은성까지를 2천리로 잡아 우리나라를 3천리 금수강산이라 하였다. 오래전 대륙으로부터 뻗어 내려온 우리민족이 이곳에서 발을 멈추고 한겨레를 이루니, 역사 이래 이곳은 동아시아 3국 문화의 이동로이자 해양문화의 요충지라고 할 수 있는 곳이다.      2001. 12. 3

 

            

                                                땅끝을 알리는 땅끝비(碑)

                           

태초에땅이생성되었고인류가발생하였으니한겨레를이루어국토를그은다음국가를세웠으니맨위가백두산이며맨아래가사자봉이라우리조상들이이름하여땅끝또는토말이라하였고극남북의34도17분21초이며대한민국전라남도해남군송지면갈두리이다.장한지고거룩한지고우리의삼천리강토겨레여여기서서저대자연을굽어보며조국의무궁을기원하자             <2003년9월30일 / 김봉호 저 / 오재백남준 서>

 

땅끝을 애찬한 위의 시는 해남에서 유명한 우록(友鹿) 김봉호(희곡작가)선생이 시를 쓰고, 전라남도에서 가장 한글을 잘쓰며 해남이 고향인 오재 박남준 선생이 글을 썼다고 합니다.

 

       img12.gif          다운받으시려면 그림 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신뒤 다른이름으로 그림저장(익스플로러).. Save Images As(넷스케이프)를 선택하세요...

                               예전의 토말비 <참고사진 - 1981년 건립. 지금은 땅끝비와 교체됨>

              

1980년 보길도로 가는 뱃길이 열리면서 땅끝은 부각되기 시작하였는데, 땅끝을 한자로 지말(地末) 또는 토말(土末)로 표기할 수 있는데, 토말의 어감이 지말보다 특이하였기 때문에 토말이라는 명칭을 비석과 탑에 새겨 토말비와 토말탑이라 하였던 것 같습니다.

 

15년간 땅끝은 토말로 불려지다가, 1994년 7월10일 해남에서 지도를 제작한 천기철씨가 우리말 찾기의 일환으로 땅끝.해남주변지역 안내도를 제작하면서, 지도에 정식으로 땅끝탑과 땅끝비로 표기하고, 1995년 해남군에 건의하면서 땅끝이라는 이름이 공식적으로 불려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 이후로 해남군은 토말비와 토말탑을 정식으로 땅끝비와 땅끝탑으로 고치게 되었습니다.

 

 

[시비(詩碑)]

 

해남은 시인의 고장이라고 할 정도로 많은 시인들을 배출한 곳입니다. 또한 많은 유명문인들이 이곳 육지의 마지막 땅끝에 머무르며 자신들의 감정을 시로써 읊기도 하였습니다. 해남군은 이곳 산책로에 지난 2002년 땅끝의 상징성과 이미지를 높이기 위해 당대 한국문학을 대표하는 시인들 7명의 작품을 조각품으로 형상화해 시와 함께 감상할 수 있도록 설치하였습니다.   <땅끝 시비 조각품 안내문에서...>

 

                              

                       땅끝 - 윤금초                                                  땅끝 - 고은

 

        반도 끄트머리 땅끝이라 외진 골짝                                땅끝에
        뗏목처럼 떠다니는 전설의 돌섬에는                              왔습니다.
        한 십년 내리 가물면 불새가 날아온단다.                        살아온 날들도

                                                                                      함께 왔습니다.

        象牙質 큰 부리에 선지빛 깃털 물고
        햇살 무동 타고 미역 바람 길들여 오는,                          저녁
        잉걸불 밝혀서 먹는 그 불새는 여자였다.                        파도소리에

                                                                                      동백꽃 집니다.

        달무리, 해조음 자갈자갈 속삭이다.
        십년 가뭄 목마름의 피막 가르는 소리.
        삼천년에 한번 피는 우담화꽃 이울 듯
        여자의 속 깊은 宮門, 날개 터는 소릴 냈다.

 

        몇날 며칠 앓던 바다, 파도의 가리마 새로
        죽은 도시 그물을 든 낯선 사내 이두박근?
        기나긴 적요를 끌고 훠이, 훠이, 날아간 새여

 

                             

         땅끝 마을에서 부르는 노래 - 송수권                              애린 -  김지하             

          

        달마산 찾아 땅끝 마을                                           땅끝에 서서
        불끈 솟은 사자머리 턱봉을 오르니                           더는 갈 곳 없는
        오늘은 바람불고 물파랑만 높다.                              땅끝에 서서
        저 미황사 스님들 궁고 치는 날인가 보다.                  돌아갈 수 없는 막바지

                                                                                 새 되어서 날거나

        백두대간을 따라오다 마지막 끝난 지점                     고기 되어서 숨거나
        돌아서서 보면 다시 처음의 시작이기도 한                 바람이거나 구름이거나
        이 길은 언제나 희망이였고 믿음이었다                     귀신이거나 간에
        그러므로 축복이 열리는 땅                                     변하지 않고는
        갈두리에 와서 하룻밤 지새고나니                            도리없는 땅끝에
        가슴 속에 벌써 불곰같은 아침해가 뜬다.                   혼자서서 부르는

                                                                                 불러

        누군가 첫발을 내딛었을 때                                     내 속에서 차츰
        그 길은 늘 혼자였고 두려움이었다                           크게 열리어
        그러므로 내 외로운 낯선 방황도                              저 바다만큼
        오늘 이곳에 와서 다시 첫발자국을 찍는다.                저 하늘만큼 열리다

                                                                                 이내 작은 한덩이

                                                                                 검은 돌에 빛나는

                                                                                 한 오리 햇빛

                                                                                 애린

                                                                                 나.

 

                           

             땅끝 마을에 서서 - 오세영                                     토말행(土末行) - 황동규

 

        누가 일러                                                         이증처럼 시간이 몸을 조여오고
        땅끝 마을이라 했던가                                         방에도 계속 전화벨이 울릴 때는
        끝의 끝은 다시                                                  꿈꾸는 자들이 아는 그곳으로
        시작인 것을......                                                나는 가야겠다.
        내 오늘 땅끝 벼랑에 서서
        먼 수평선을 바라보노니                                      꿈과 길의 끝 해남군 토말 같은 곳
        천지의 시작이 여기 있구나.                                 겨울날 동백 채 피기 전
        삶의 덧 없음을                                                  아무도 없는 전망대에 올라
        한탄치 말진저                                                   시간(時間) 벗은 다도해와
        낳고 죽음이 또한 이 같지 않던가.                         혼자 볼 때는 건더기 같은 갈매기들이
        내 죽으면                                                         어울리는 곳.
        한 그루 푸른 소나무로 다시 태어나
        땅끝 벼랑을 홀로 지키는                                     바람에 안긴 성긴 비자나무들이
        파수꾼이 되리라.                                               마음대로 소리내며

                                                                              바람과 지겹게 입 맞추는 곳.

 

                              

                    남도행 - 고정희                                                    시비설립의 글

 

        그리운 해남으로                                                 여기에 세워진 시비(詩碑)들은
        달려가는 길                                                       이곳 땅끝을 소재로 쓰여진 시들을 
        어머니 무덤 아래                                                조형미를 갖춰 제작된 시비에 새겼으며,
        노을 보러 가는 길                                               고정희 시인의 시비는 제작자가     

        삼천리 땅 끝                                                      기증을 하였다.
        적막한 물보라                                                

        남쪽으로 남쪽으로                                                           2003년 11월 20일
        마음을 주다가                                                              한국시비공원 연구소 제작
        문득 두 손 모아
        절하고 싶어라
        그림 같은 산과 들에
        절하고 싶어라
        무릎꿇고 남도땅에
        입맞추고 싶어라

 

                   

                                                              땅끝 산책로

 

                       사자봉 아래 땅끝마을(갈두마을)로 내려와 다시 바라본 전망대

 

땅끝마을은 옛날에 칡머리로 불렸다고 합니다. 이곳 땅끝마을 끝까지 구멍가게 대신 편의점이 들어서 있습니다.

 

                                                                 유채

 

                       

                                                           어선과 전망대

 

                        

                                                               정박(碇泊)

 

                               땅끝마을 선착장 (보길도로 가는 배도 이곳에서 다닙니다)                        

 

                          

                                                         땅끝마을리사무소

 

                                     

                                          땅끝마을리사무소 앞의 땅끝마을 표시석

 

     

                                             땅끝마을리사무소 앞의 시비(詩碑)

 

     땅끝의 노래 - 명기환                                               아득하여라 - 문효치

 

   더 이상 갈곳없는 땅끝에서                                      세월의 너울너머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사라져버린
   노래를 부르게 하소서                                             그대의 안부.

   오늘 하루만이라도                                                 아득하여라      

   욕심의 그릇을 비우게 해주시고                                퍼질러 앉아 울고있는
   지난날의 잘못을                                                    바다 저 끝
   뉘우치는 용서의 빈그릇으로                                    저 혼자 솟구치는
   가득 채워지게 하소서                                             은빛 파도만

   땅의 끝                                                                발아래 땅 끝으로
   새로운 시작                                                          올라오는데
   넘치는 희망으로                                                    가슴속, 동백꽃 다발로
   출렁이게 하소서                                                    붉게터지는

                                                                             벅찬 그리움

                                                                             어찌하리야.

 

 

                  

                        계산(溪山) 용진호(龍珍浩)선생(先生) 시조(時調) 시비(詩碑)

 

                            땅끝 日出祭(일출제)

 

                            묘시(卯時)에 눈 뜨면서
                            자시(子時)부터 귀를 열고
                            해천(海天)이 혼혼(昏昏)할 때
                            닭울음을 타고 오다
                           용왕(龍王)의 소명(召命)을 받아
                           사신(使臣)으로 왔구나.

                           어둠이 갈던 만경(萬頃)
                           훨훨타는 노을 밭에
                           여명(黎明)을 좇으면서
                           풀풀 나는 오색(五色) 구름
                           부채살 황홀(恍惚)에 뜨는
                           저 장관(壯觀)을 보아라.

                           부활(復活)의 밝은 등(燈)을
                           받쳐들고 활짝 펴니
                           금파(金波)길 이랑마다
                           서광(瑞光)으로 여는 마당
                           제상(祭床)에 경복(慶福)을 비는
                           소지(燒紙) 한 장 올린다.

 

 

 

2007.04.16